• 제목/요약/키워드: R&D Trends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5초

국가보건의료 R&D 정책 방향에 따른 간호서비스 R&D 전략 연구 (Nursing Service R&D Strategy based on Policy Direction of Korean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 이선희;배병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9
    • /
    • 2016
  • Purpose: To develop strategi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nursing service based on the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ed R&D in Korea.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o develop strategies for promoting R&D in nursing by analyzing investment trends and status quo, policy directions, and implementation of the details of government supported R&D through government reports, websites of relevant agencies and literature reviews. Results: Few nursing experts participated in clinical research on overcoming major diseases and in R&D for well-being and care. Development of nursing topics that mee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ed R&D were lacking. Insufficient implementation of nursing service R&D in a timely manner equipped with a performance-based system. Few research studies in R&D projects that included research using big data or contributing to developing medical instruments. Finally, an insufficient number of nursing specialists participated on government R&D advisory committees. Conclusion: For nursing service R&D development efforts should be toward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s by sensitively recognizing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ed R&D. The promotional capacity of nursing service R&D must be reinforced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collaborative associ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the inclusion of nurse specialists on government R&D advisory committees.

LDA 토픽모델링을 통한 ICT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연구토픽 및 동향 탐색 (Investigation of Research Topic and Trends of National ICT Research-Development Using the LDA Model)

  • 우창우;이종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9-18
    • /
    • 2020
  •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모델을 적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행되고 있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의 연구과제에 대한 주요 연구 토픽과 동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에는 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로부터 최근 5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연구과제 정보를 다운로드받고 이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EZone 시스템과 매칭하여 ICT 분야 연구과제 5,200건을 확보하고, 토픽모델링 기법중 하나인 LDA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토픽과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로, ICT분야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토픽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같은 지능정보기술로 확인되었고 연구동향에는 초실감미디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진행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토픽모델링 결과는 향후 ICT분야 연구개발 계획 및 전략수립, 정책, 과제기획 등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 협업시스템 (A R&D Collaborative Work System for Open Innovation)

  • 민재홍;정옥조;강신각;함진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5호
    • /
    • pp.198-208
    • /
    • 2013
  • 개방형 혁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인터넷을 통한 공동작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가상의 작업공간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R&D 분야에서는 연구원이 보유한 전문기술들을 묶어서 집단지성으로 이끌어 내어 창의와 협업을 지원하는 R&D 협업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식성이 높고 다양한 R&D 협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확장성과 안정성을 구현한 R&D 협업시스템을 소개한다. 향후에도 R&D 및 ICT 환경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보완 개발을 통하여 R&D분야에 적용할 경우 미래 전 산업 연구 개발 분야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테리어 쇼룸에 전시된 벽지의 CMF 디자인 경향 연구 -2019년 뉴욕 D&D Building 사례를 중심으로 - (CMF Design Trends of Wall-covering for Interior Showrooms: A Case Study of New York D&D Building in 2019)

  • 이준한;김선미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1-12
    • /
    • 2019
  • The study investigated trends in wall-covering displays in interior design stores. Although studies reported design trends at well-known exhibitions overseas such as Heimtextil and Maison objet, many different cases present actual realistic design flows.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market flow rather than design as an exhibition concept, and presents the interior CMF trends in 2019. The CMF design of wall-covering displayed in New York D&D Building in 2019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 was the most frequently seen show-window, but like R, which is a strong color, it is also used to convey surrealistic images. The store entrance was designed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inside, and was constructed to reflect the actual trend. In the 2019 New York market, the wall-covering of Gray and YR were displayed through the shop entrance to suggest substantial sales. In addition, the demand for gold metallic wall-covering is significant as gold was strong in many forms. This study represents a valuable resource to identify trends in wall-covering from 2017 to 2019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presents a valuabl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topics related to the use of wall-covering for interior decora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최근 연구 개발 동향 (Recent R&D Trends of Solid Oxide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 표성수;임탁형;이승복;박석주;송락현;신동렬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9-13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스택 제조 및 시스템 연구개발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의 전기화학장치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응용분야에 따라 중대형 분산발전, 가정용 열병합 발전, 보조전원 및 휴대용 발전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0 kW급 이상의 SOFC 발전시스템의 경우 원통형 셀로 구성된 발전시스템이 연구개발의 주를 이루고 있다. 더불어, SOFC 발전시스템 연구개발의 경우 매년 증가하는 세계 전력소비량에 대응하기 위해 발전시장에 진입 가능한 고성능, 장수명의 SOFC 소재 및 발전시스템에 R&D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가의 농·식품 R&D 투자 정책 및 동향 (Investment policy and trends of agri-food R&D in major overseas countries)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4호
    • /
    • pp.410-421
    • /
    • 2020
  • 농·식품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해서, 해외 주요국가의 R&D 정책 및 투자 동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해외 주요국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R&D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 지원과 함께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농산업 생산성에 대한 공공투자를 줄이고, 기후변화·식량안보·식품안전·국민건강·자연환경 등의 사회문제 부각에 따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와 환경 간의 조화, 인체영양과 건강뿐만 아니라 동식물 건강, 통합적 생태계 접근 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는 식품안전, 영양과 건강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이, 식품가공, 제조는 민간부문이 주로 투자하는 편이다. 한편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에는 민간투자보다 공공부문에서의 투자가 크게 앞서고 있으며, 정부가 중장기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등 연구개발혁신을 주도하는 입장이다. 비록 국가마다 시급한 현안사항과 대응방안이 다르지만,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혁신 및 발전전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역할 분담을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글로벌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활용한 노화 관련 융합 R&D 영역 탐색 및 주요국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ring of Convergence R&D Areas Related to Aging and Comparative Analysis by Major Countries using Global R&D Funding Project Data Information)

  • 이도연;김승욱;김근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4_2호
    • /
    • pp.683-691
    • /
    • 2020
  • In the era of super-aged societi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related to aging are very important agend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R&D planning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country. In order to respond promptly to this agenda,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national-level convergence R&D policy. In this study, we utilized the global R&D funding project data from major nations (US, Europe, Japan), and then standardized them with the same fiel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R&D related to aging,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co-occurrence matrix to explore convergence R&D areas in the US, Europe, and Japan related to aging.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by country suggested that different points on the interdisciplinary area and the convergence of aging-related R&D by each country. Thes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understandings for the status of convergence in aging-related global R&D, the current technology trends, and establish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R&D policy.

고해상도 3D 데이터 생성 기술 분석 및 연구 동향 (Trends in High-Resolution 3D Data Generation Technologies)

  • 김현주;최중용;오아름;지형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3호
    • /
    • pp.64-73
    • /
    • 2022
  • As the COVID-19 pandemic has decreased face-to-face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our interest in cultural communication via virtual world has grown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applications that use three-dimensional (3D) data generation technology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virtual performances, and realistic content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entertainment and gaming industries. Additionally, improved computing capacit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high-resolution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in 3D scanning and photogrammetry technologies that can support high-quality 3D data generation and introduces the high-resolution 3D data generation technology developed and reported in ETRI.

마찰교반접합장비의 기술개발 동향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Friction Stir Welding Machine)

  • 김영표;김철희;김영곤;주성민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4권3호
    • /
    • pp.1-5
    • /
    • 2016
  • At present, FSW(friction stir welding) process is being considered as an actual way for production of various industrial products. However FSW process involves high temperature and load on the tool during welding. These are make a difference between FSW machine and general machine tools. From this reason, development of FSW machine needs very careful consideration on stiffness of machine structure, spindle and moving axis including machine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authors investigate on the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FSW machine in order to share the information for more extension of FSW technology with related researchers and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