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D 과제정보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Research on management plan of Defense Facilities and Equipments through DRES (국방연구시설장비 정보시스템(DRES)을 통한 국방연구시설·장비 관리 방안 연구)

  • Kim, Jin-si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9 no.3
    • /
    • pp.79-88
    • /
    • 2018
  • Major countries stay to expand invest in R&D to promote new growth engines in the future and to secure new technologies and Korea is also expanding to R&D investment. Quality of R&D investment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quantity of R&D investment because Korea's indicator related to R&D investment is already world class with other countries's investment scale by comparison with GDP. According to this trend, Korea's policy in R&D is focusing the R&D Innovation Plan and "Utilization of R&D Facility and Equipment(F&E)" has been getting important. In this research, it research on facility and equipment management plan through Defense R&D Equipment information System(DRES). It analyzes existing process F&E in Defense field and Nation. Furthermore, it explains major process, function, and menu reflecting Defense F&E management rule enacted recently. Lastly, it show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Defense F&E management.

An Implementation of URI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R&D Reference Information Ontology (국가 과학기술 R&D 기반정보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URI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구현)

  • Koo Hee-Kwan;Jung Han-Min;Kang In-Su;Sung Won-Kyung;Yi Seung-June;Shim B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217-219
    • /
    • 2006
  • 전체적인 관점으로 국가 과학기술 R&D를 조망하는 국가 과학기술 R&D 기반정보 온톨로지는 인력정보, 과제정보, 성과정보를 포함하며 여러 URI들과 연계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일 URI 체계가 아닌 시스템 적이고 다층적인 국가 과락기술 R&D 기반정보 온톨로지의 인스턴스 레벨에 필요한 다중 URI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관리적인 측면에서 웹 인터페이스 기반 URI 등록과 조회를, 서비스 측면에서 URI 질의중심의 웹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 정보(KISTI의 KOI, 학술진흥재단의 부서 및 기관, 국가과학기술인력 종합정보시스템의 인력DB)와 연계를 기반으로 가용성 및 재사용성을 높이고 신규정보를 위한 URI 생성규칙을 제공함으로써 URI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완성도를 높였다.

  • PDF

사회문제해결형 R&D 현황 및 특성 분석 : NTIS Data를 중심으로

  • Im, H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5-755
    • /
    • 2017
  •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이라는 국가 R&D사업의 본연의 임무에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요구가 커지고 있다.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더불어 조류 인플루엔자, 미세먼지오염 등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과학기술지식이 기여하라는 사회적 요청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산업 지원과 학문 발전을 중심으로 발전해오던 국가R&D시스템이 이제는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시스템 격상이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정부는 2012년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안)'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다(多)부처 기획을 통해 11개 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를 다(多)부처 사업으로서 2015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는 단일 부처사업으로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을 2104년부터 추진하였다. 논문이나 특허보다는 현장문제의 해결책, 솔루션 생산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현장의 사용자나 시민이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리빙랩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을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성격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형 R&D라는 이 새로운 시도가 국가R&D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NTIS data를 통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다부처 기획으로 선정되어 추진된 과제들의 특성, 즉 연구적용분야, 연구 단계 등을 분석하고 단일부처 사업으로 수행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및 유사 단일부처 사업 과제들의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수행주체, 연구방법론 등 사회문제해결형 R&D 기획에서 제시한 새로운 방법들의 수행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공분야 국가R&D 시스템의 발전 및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in National R&D Projects for the Hydrogen Economy (수소 경제를 위한 국가R&D과제에서 연료전지전기차의 지식구조 탐색)

  • Choi, Jung Woo;Lee, Ji Yeon;Lee, Byeong-Hee;Kim, Tae-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306-317
    • /
    • 2021
  • With a global shift from carbon economy towards hydrogen economy, leading countries such as the U.S., Europe, China, and Japan are focusing their research capabilities on hydrogen research and development(R&D) by announcing various hydrogen economy policies. South Korea also has been following this global trend by announcing hydrogen economy roadmap in January 2019 and legislating hydrogen economy related law. In this paper, we tried to figure out the national R&D trend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FCEV) and its knowledge structure by using recent 10-year project data of Nation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Service(NTIS). We collected 1,479 FCEV-related projects and conducted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FCEV-related R&D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over the entire process of hydrogen production, transport, storage, and utilization. Furthermore, the paper provides insights into the government's policy agenda building and market strategy on the hydrogen economy.

Recommendation System for Research Field of R&D Project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이용한 R&D과제의 연구분야 추천 서비스)

  • Kim, Yunjeong;Shin, Donggu;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2
    • /
    • pp.1809-1816
    • /
    • 2021
  •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st research trends using data related to national R&D projects and to produce and utilize meaningfu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of automatic classification technology was also required in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 so we conducted research to automatically classify and recommend research field. About 450,000 cases of national R&D project data from 2013 to 2020 were collected and used for learning and evaluation. A model was selected after data pre-processing, analysis,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valid data among collected data. The performance of Word2vec, GloVe, and fastText was compar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optimal model combin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ccuracy of only the subcategories used as essential items of task information is 90.11%.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study of other classification systems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research field.

R&D Redundancy and Similarity Check System (클라우드 기반 R&D 연구 보고서 문서표절 및 유사도 검출 시스템)

  • Shin, Hyojoung;Park, Kiheung;Haing, Huh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1-32
    • /
    • 2016
  • 최근 정부의 R&D 연구에 대한 지원 규모 증가로 인해 전국가적으로 활발하게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예산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기술 연구개발 과제의 중복연구로 시간과 예산을 낭비하는 사례를 노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R&D 과제 선정과정에서 연구주제의 중복성 방지 등 근원적 혁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술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하둡, 아마존 웹 서비스)과 같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도입된 클라우드 기반 R&D 연구 보고서 문서표절 및 유사도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SaaS 형태의 "on-demand software"로 웹 접속만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PDF

An analyze of the status of R&D personnel inthe fields of AI and 5G (인공지능, 이동통신 분야의 연구개발 참여 연구인력 현황 분석)

  • Kim, Eungyeong;Kim, Y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362-364
    • /
    • 2022
  • 정부는 혁신성장 확산을 위해 'D·N·A와 BIG3 전략'을 마련하여 '18년 0.7조원에서 '22년 3.5조원까지 5년간 10.9조원의 재정투자와 AI와 5G를 융합한 기술 개발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I와 5G 분야에 대해 국가R&D 참여 인력의 현황을 분석하여, 정부 재정투자에 비례하여 국가R&D 참여 연구인력이 활성화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NTIS에서 Top20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과제 71,760건, 참여 인력 785,80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각 분야의 과제와 연구비(정부투자연구비), 연구개발수행주체별, 연구개발단계별 학위 분포 등 참여연구인력 추이를 심층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연구인력은 정부 재정투자에 비례하여 활성화 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참여 연구인력 양성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A Study on Gathering,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National R&D Research Information in Korea Institutes (출연(연)의 국가 R&D관련 연구정보의 연계 활용에 관한 연구)

  • Yang, Myung-Seok;Joo, Won-Kyun;Kim, Tae-Hyun;Lee, Min-Ho;Park, Gun-Chul;Choi, K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672-67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정부 출연(연)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와 과제의 수행으로 인해 발생된 연구성과들에 대한 체계적인 수집과 정보 연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집된 연구과제 및 성과정보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의 사용자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활용하여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에서 국가 R&D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보수집 방법, 정보의 활용과 분배,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등에 대한 모델 제시를 통해 향후 국가차원의 연구개발 정책 추진 및 지원에 활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Research Topic and Trends of National ICT Research-Development Using the LDA Model (LDA 토픽모델링을 통한 ICT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연구토픽 및 동향 탐색)

  • Woo, Chang Woo;Lee, Jong 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7
    • /
    • pp.9-18
    • /
    • 2020
  • The research objectives investigates main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field, Korea using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one of the topic modeling techniques. The experimental dataset of ICT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 of 5,200 was acquired through matching with the EZone system of IITP after downloading R&D project dataset from 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during recent five years. Consequently, our finding was that the majority research topics were found as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I, big data, and IoT, and the main research trends was hyper realistic media.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opic modeling on the national R&D foundation dataset become the powerful information about establishment of planning and strategy of futur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ICT field.

A Study on the Exploring of Convergence R&D Areas Related to Aging and Comparative Analysis by Major Countries using Global R&D Funding Project Data Information (글로벌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활용한 노화 관련 융합 R&D 영역 탐색 및 주요국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Doyeon;Kim, Seungwook;Kim, Keun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23 no.4_2
    • /
    • pp.683-691
    • /
    • 2020
  • In the era of super-aged societi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related to aging are very important agend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R&D planning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country. In order to respond promptly to this agenda,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national-level convergence R&D policy. In this study, we utilized the global R&D funding project data from major nations (US, Europe, Japan), and then standardized them with the same fiel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R&D related to aging,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co-occurrence matrix to explore convergence R&D areas in the US, Europe, and Japan related to aging.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by country suggested that different points on the interdisciplinary area and the convergence of aging-related R&D by each country. Thes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understandings for the status of convergence in aging-related global R&D, the current technology trends, and establish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R&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