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경쟁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2초

실질적 경쟁과 잠재적 경쟁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목표대비 성과 수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ctual and Potential Competition on Firms' R&D Investm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formance Relative to Aspiration Level)

  • 구본진;배종태;김용식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2호
    • /
    • pp.177-205
    • /
    • 2016
  • 점차 치열해지고 있는 경쟁환경은 기업들에게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R&D 투자를 통하여 지속적인 혁신을 달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과 기업의 R&D 투자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쟁을 실질적 경쟁과 잠재적 경쟁으로 이원화하여 각각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 관계가 기업의 목표대비 성과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였다. 미국 Compustat 데이터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실질적 경쟁은 기업의 R&D 투자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잠재적 경쟁은 R&D 투자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목표대비 성과 수준의 조절효과는 기업의 성과가 목표보다 낮았을 때는 실질적 경쟁의 음(-)의 효과를 강화시키고, 잠재적 경쟁의 양(+)의 효과를 약화시켰고, 목표보다 높았을 때에도 실질적 경쟁의 음(-)의 효과를 강화 시키고, 잠재적 경쟁의 양(+)의 효과를 약화시켰으나 그 조절효과는 기업의 성과가 목표보다 낮았을 때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질적 경쟁 및 잠재적 경쟁과 기업의 R&D 투자의사결정의 관계 그리고 목표대비 성과 수준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산업의 권역별 역량 비교분석 - 입지분석과 CT R&D 역량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ame capability by region -focus on the analysis of LQ index and CT R&D competence level-)

  • 김연정;양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33-144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 중 게임산업의 CT R&D 성과지표의 타당성을 도출하여 권역별 게임산업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게임산업의 권역별 경쟁력 분석을 위해 권역별 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LQ분석과 R&D 역량 분석을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게임 CT분야의 R&D 영역 분석을 수행하였다. 권역별 평균 LQ분석 결과, 수도권이 포함된 경우 수도권만 고경쟁력 산업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을 제외한 경우는 대경권, 동남권, 충청권의 순서로 경쟁력이 나타났다. 권역별 게임산업 CT R&D 역량은 수도권이 강세에 있으며, 네트워크 역량, 성과역량을 제외한 역량구성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권역별 게임산업의 R&D 역량은 충청권 수도권 호남권의 순서로 비교우위의 R&D 역량을 보이며, 특히 충청권은 성과역량에서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에 있는 기업군 네트워크 및 기술력과 이를 지원하는 R&D 기관의 상호호혜적인 벤처생태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World Class SI 기업으로의 도약: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모델 개발 (A R&D Model for Korean SI Compani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이연희;최진영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3-94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SI 기업의 R&D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 대형 SI 기업들이 World Class SI로 성장하는데 견인차가 되도록 최초로 SI 기업의 R&D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날로 치열해 지는 SI 시장환경에 비추어 볼 때 향후 국내 대형 SI 기업들간의 보다 치열한 경쟁은 물론이고 국내외에서 선진 IT 서비스 기업들과 경쟁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SI 기업들이 선진 IT 서비스 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 남으려면 핵심 경쟁력을 확보해야만 하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연구개발의 강화를 제시한다. 즉, SI 기업은 R&D를 통해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IT 기술을 적시에 도입하여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기존의 기술 및 프로세스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D는 부가가치 창출, 미래혁신 주도, 신기술의 검증/평가/확산 담당, 응용기술의 표준획득 및 특허취득, 프로세스와 품질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R&D 역할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앙 R&D와 사업부 R&D를 동시에 운영하는 Hybrid Organization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국내 대형 SI 기업의 R&D 담당자들과 설문,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의 현실 적용성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R&D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국제 R&D 경쟁과 최적관세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R&D Competition and Optimal Tariff)

  • 이동생;이종민
    • 무역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9-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두 나라의 대표적인 두 기업이 R&D 경쟁과 쿠르노 경쟁을 하는 상황을 전제로 외국기업의 R&D 외부효과가 국내 주요 경제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국내정부의 보호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무역정책의 문제를 규명한다. 국제적 과점의 2단계 모형을 통해 우리는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정책에서 존재하는 유일한 해를 구하고, 나아가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R&D 투자의 외부효과에 따른 주요 경제변수들의 변화 패턴과 일국의 최적관세 패턴을 추적한다. 이론적인 주요 예측으로 기업들이 R&D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두 경우에 모두 R&D 외부효과가 클수록 R&D 투자율과 수준이 감소하고, 사회후생은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그 수준은 보호무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드러난다. 또 이 연구의 가장 관심사항인 R&D 투자의 외부효과와 최적관세율 간의 관계에서는 두 변수 간에 부(-)의 관계가 나타난다. 이는 정책적으로 R&D 투자의 외부효과가 커짐에 따라 최적관세율을 낮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와 개별기업의 R&D 투자 - 지식교류 및 경쟁강도가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Network Structure on the Individual Firm's R&D Expenditure : Empirical Evidence on Korean Data)

  • 복득규;박용규
    • 산업클러스터
    • /
    • 제1권1호
    • /
    • pp.16-28
    • /
    • 2007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가 개별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클러스터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것에 비해 본 연구는 구축된 네트워크에서의 지식교류 및 경쟁 강도가 개별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자동차부품, 제약, 인쇄회로기판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지식교류의 강도가 강한 기업일수록 R&D 투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쟁이 개별 기업의 R&D 투자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은 실증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지식교류의 기회를 넓혀주는 클러스터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기업 간 가격 경쟁을 기술개발경쟁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PDF

다국적기업의 경쟁적 R&D 투자에 관한 경제성 분석 (Research on economic analysis on Competitive R&D investment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 박석강;김길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439-458
    • /
    • 2009
  • 본 논문은 직접투자를 실시하고 있는 2 국 2 기업모델을 이용하여 다국적 기업의 R&D 활동을 자국에 유치하기 위한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대해서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다국적 기업의 R&D 활동에는 경쟁기업의 기술력을 높이는 파급효과 있으며 다국적 기업은 경쟁기업으로부터 파급효과를 얻기 위해서 자회사에 R&D 자원을 투입하여 R&D 활동을 실시하는 유인을 가진다. 또한 정부는 다국적 기업의 기술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다국적 기업이 자국의 자회사에 투입하는 R&D 자원을 증가하도록 다국적 기업의 R&D 투자에 대해서 보조금 정책을 실시하여 자국내의 R&D 활동을 유치하는 동기를 가진다. 따라서 양국정부는 다국적 기업의 R&D 투자에 대해서 보조금을 지급하고 R&D 투자에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기업이 자회사에 투입하는 R&D 자원량은 증가하며 기술력은 상승한다. 또한 기업의 이윤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경제후생에도 영향을 주며 양국은 상대국 기업의 R&D 활동에 의해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양국정부가 상호협조적인 전략으로 기업의 R&D 활동에 대해서 보조금을 증대시키는 정책에 의해 기업이 자회사에 투입하는 R&D 자원은 증가하며 양국의 경제적 이익이 증가하게 된다.

국내 캐릭터산업의 권역별 문화콘텐츠 역량과 R&D 성과 분석 (The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 industry - CT competence level and R&D performance)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231-242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중 캐릭터산업의 권역별 경쟁력을 권역별 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LQ 입지계수로 분석하였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캐릭터산업의 R&D 역량 측면의 권역별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 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역량을 기준으로 권역별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비교 우위의 경쟁력을 제시하였다. 권역별 입지분석 평균지수를 살펴보면 수도권이 포함된 경우 기업 매출에 있어 모든 권역이 LQ지수 1이상의 경쟁력을 보임에 따 라 평균적으로 모든 권역이 경쟁력을 보였다. 수도권을 제외한 경우는 제주권, 동남권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캐릭터산업의 R&D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 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역량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 권역이고 경쟁력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권역별 캐릭터 산업의 경쟁력은 수도권, 제주권, 동남권이 비교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 (Obstacles to innovation and R&D cooperation)

  • 박정수;허문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2호
    • /
    • pp.81-100
    • /
    • 2015
  • 본 연구는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장애요인을 자금부족과 정보부족으로 조명하고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의 장애요인인 자금부족은 수직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보부족은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R&D협력의 선행요인으로서 기업 내부의 활동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혁신의 장애요인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경쟁의 구도가 기업과 경쟁사 사이의 기업 간 경쟁에서 서로 다른 협력 집단들 간의 경쟁구도로 변화함에 따라 R&D협력 유형을 범위를 수평적 협력까지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융합산업의 시장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or Convergence Industry)

  • 박은영;곽동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99-10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융합산업으로 급부상되고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제도개선 및 융합R&D지원 측면에서 융합산업의 시장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는 융합산업 이슈분석, 융합산업 경쟁력 강화 방향성 설정, 방향성 기반의 경쟁력 강화 방안 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융합산업을 시기에 따라 도입, 확산, 발전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지원방안으로 전문가 참여형 융합R&D, 개방형 융합R&D, 맞춤형 융합R&D, 시장 진입 제도개선, 공공구매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융합신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진입 애로점을 해결하고 융합 역량강화 및 경쟁우위 확보하여 융합신시장 진입 유도, 시장 정착 안정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내 다국적기업 R&D랩의 진출동기에 따른 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ntry Mode Selection Originated from the Entry Motivation of MNCs' R&D Labs in China)

  • 조대우;김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290-311
    • /
    • 2010
  • 본 논문은 다국적기업 R&D랩들의 중국내 비즈니스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국적기업이 중국에 어떤 진출동기로 어떤 유형의 R&D랩을 설립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하였다. 다국적기업 R&D랩의 중국진출동기를 중국의 시장이나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시장요인, 중국의 훌륭한 인적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인적자원요인, 중국내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우위요인과 정치적 환경요인 4가지로 분류하고, R&D랩 유형을 글로벌 기술센타, 현지 시장지원 랩, 현지 기술지원 랩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진출동기별 선택 가능한 R&D랩 유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시장요인을 지향하거나 경쟁우위를 지향하는 다국적기업들은 현지 시장지원 랩을, 중국의 자원요인을 지향하는 다국적기업들은 글로벌 기술센터를 많이 설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감세, 면세 등 정책적 이점을 지향하여 R&D랩을 진출하는 다국적기업들은 현지 기술지원 랩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