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D산출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Effect of TR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s and Patent Applications (특허권보호제도의 변화가 연구개발지출과 특허권 산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Jo, Seong-Pyo;Kim, Hui-Je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4 no.3
    • /
    • pp.43-69
    • /
    • 2006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TR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s and patent applications in manufacturing firms. The first set of tests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patent applications and R&D expenditures and firm specific factors such as firm size and capital intensity. The next set of tests add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R&D intensity of the industry and development of TRIPS. We divide the sample period into three subperiod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RIPS subperiod 1(1984-1988) before TRIPS, subperiod 2(1989-1994) after negotiation of TRIPS and subperiod 3(1995-2000) after agreement on TRIPS. Regression model reveals that the coefficient on firm size is significantly positive over the all sample Period, while that of R&D expenditures of R&D intensive firms is significantly positive in subperiod 2 and 3(1989-2000) and that of capital intensity is significantly negative only in subperiod 3(1995-2000).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ici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promotes the patent application of R&D intensive firms.

  • PDF

A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 -Focusing on Dynamic DEA Model-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효율성 분석 및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동태적 DEA 모형을 중심으로-)

  • Im, In-Jong;An,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11a
    • /
    • pp.884-906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효율성 분석기법인 DEA를 활용하였다. 투입요소로 연구비, 연구인력, TLO 인력, TLO 운영비 네 가지를, 산출요소로 기술이전 계약건수, 기술이전 수입료 두 가지를 선정하여 기술이전 효율성을 산출하였다. 기술이전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지역적 위치, 연구기관 유형, 민간부문 연구개발비 비중, 인센티브 제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된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4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기관 지방이전 시 먼저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학연협력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연구기관별로 설립 목적에 맞는 R&D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민간수탁 증대가 R&D 효율성(기술이전 효율성)과 직접적으로 연결이 될 거라는 단편적인 생각은 버리고 폭넓은 의견수렴과 심층적 조사가 필요하다. 넷째, 인센티브 제도나 규정을 운영함에 있어 TLO 인력에게 직접적인 동기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정부 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 효율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가 R&D 체계를 개선하는데 유의미한 정책의 개발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확대되고, 향후 축적될 자료를 활용한 정교한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 PDF

The HRTF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udiences head width and distance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보정 방법)

  • Myung, Hyun;Kim, Hyu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6-80
    • /
    • 2000
  • 본 논문은 입체 음상 정위 시스템에 있어서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음상 정위를 원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먼저 표준 반경에서 표준 머리 크기의 더미 헤드를 이용해 측정된 표준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제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방위각과 고도각을 기준으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를 보정한다. 음상 정위하고자 하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입력받게 되면, 입력받은 위치로부터 청취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 후에 보정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머리전달함수를 가져와서 입력 모노 신호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와 콘볼루션하여 입체음향을 생성하게 된다.제안된 방법에 의해 청취자의 머리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3차원 음상 정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Linking System for National R&D Information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Kwon, Lee-Nam;Kim,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
    • /
    • pp.195-202
    • /
    • 2008
  • Reference linking based on a identification system is being widely used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National R&D information contain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D programs such as the output and equipment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participant and project information. The reference linking service enables the user to freely look up output of a certain program, participant of a project, equipment information from the project or participant and all other information that originates from a R&D project without having to search for it. The reference linking service in the area of national R&D will enable the linking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produced at different source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Linking System for National R&D Information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Kwon, Lee-Nam;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2-177
    • /
    • 2007
  • Reference linking based on a identification system is being widely used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National R&D information contain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D programs such as the output and equipment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participant and project information. The reference linking service enables the user to freely look up output of a certain program, participant of a project, equipment information from the project or participant and all other information that originates from a R&D project without having to search for it. The reference linking service in the area of national R&D will enable the linking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produced at different sources.

  • PDF

Development of an Economic Effect Analysis Model for R&D Performance of the Expressway &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국토해양 분야 R&D 성과의 경제적 효과 분석 모델 개발 -도로교통연구원의 성과를 중심으로-)

  • Kim, Dong Young;Kim, Byungil;Chun, Hyunkon;Kim, Hyoungk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5D
    • /
    • pp.697-703
    • /
    • 2011
  • Studies have shown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positively impacted the upbringing of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s economic effect has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develops an economic effect analysis model for R&D performance. In-depth interview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produced a total of 11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onsider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A case study which involved the Expressway &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turn on investment of the institute was 3.3 times of the R&D investment.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analyze an economic effect analysis model for R&D performance.

Regional R&D efficiency of knowledge and value creation in Korea (지역R&D의 지식창출 및 가치창출 효율성 분석)

  • Min, Sujin;Kim,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81-1296
    • /
    • 2017
  • 세계경제가 범국가적 경쟁에 접어면서 과거보다 지역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R&D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역R&D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학술적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을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15개 국내 지역의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율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R&D투입과 산출요소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수도권과 대전에 양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DEA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식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86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구, 광주, 대전, 강원, 전남, 경북 지역이 효율적이었다. 반면 경남 지역은 0.630으로 지식창출에 있어 가장 비효율이 큰 지역이었다. 가치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677 수준이며 지식창출보다 지역 간 점수 편차가 컸다.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지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지역은 0.198으로 가장 비효율적이었다. 종합하여 비교하면 광주, 대전, 강원 지역만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이 모두 1.000점으로 효율적이었고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발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생산성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PDF

An Efficiency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Public 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ve Research: Employing the Input-Output Itemization Model (투입 및 산출 분해모형을 활용한 산학연 협력연구의 효율성 분석)

  • Kim, Hong-Young;Chung, Suny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473-484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ollaborative R&D projects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13-2015. For this analysis, input and output variables of projects were considered, and a combination of those variables was itemized. The output-oriented variable return to scale (VRS) model extended from the DEA methodology was adopted to evaluate the cooperation efficiency of the types of R&D collaboration,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ject leader's organizations. In additio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fficiency results of the scientific, technical, and economical outcome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cooperation efficiency between large compan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was relatively high. Conversely, cooperation among medium-sized companies, small businesses and universities was particularly inefficient. The clustering results demonstrated the variou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ypes depending on publications, patents, technical loyalties and the number of commercial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iated investment portfolio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efficiency results of diverse cooperation types among industries,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기술가치평가를 적용한 R&D 평가관리체계의 효율성 제고 : ICT분야 기술의 경제적 가치와 매출발생 효과 비교분석

  • Seong, Taek-Eung;Lee, Heon-Hwi;Kim, Hyo-Eun;Park, Hy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89-696
    • /
    • 2017
  •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ICT 기계, ICT 금융, ICT 의료, ICT 나노 등과 같이 기술분야별 영역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학제간 연구(Interdisplinary Research)가 일상화됨에 따라 국가 R&D 과제도 융합기술의 형태로 진화, 발전하고 있다. 부처별 R&D 과제의 결과물에 대한 성과평가는 현 시점에서 정성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의견법 결과를 참조하고 있으며, 일부 과제에 있어서 특허의 상태적 우위도(등급화) 결과를 반영하는데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3~5년전 기술가치평가가 수행된 정부 R&D 과제에 대해, 가치평가 결과를 매출발생 시점 이후의 매출액 증감분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특히 ICT 분야 R&D 과제로부터 산출된 기술적 성과(특허 10건 선정)에 대해, 해당 기술을 사업화한 주체(기업)의 매출액 실적을 비교하여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 공공 R&D 과제의 평가관리 체계에 포함할 수 있는 실질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술가치평가 모형 및 참조정보 활용방안은 R&D 평가년도의 성과물에 대한 경제적 가치 수준 파악을 할 수 있는 평가툴이 되는 동시에, 차년도 국가 R&D 과제에 지원한 우수 기술 보유 기관의 미래 수익성을 파악하여 과제선정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정보지원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