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1초

강원도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 김유신;김남영;김영설;이학봉;김세창;김지홍;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26-235
    • /
    • 2012
  • 본 연구는 백두대간 괘병산 및 갈미봉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괘병산 및 갈미봉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93과 279속 408종 4아종 56변종 9품종 등 총 4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치식물계수는 1.00이었다. 조사된 477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총 8과 11속 11종으로 총 11분류군이 나타났고,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2과 2속 2종으로 총 2분류군 및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은 13과 14속 15종 1변종으로 총 16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6과 17속 17종으로 총 1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6%이고, 도시화지수는 약 5.3%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생활형을 종합한 Biological Type은 $H-D_4-R_5-e$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7가지의 용도 중 약용자원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용자원이 50.7%를 나타냈다.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군목 1군단 4군락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철쭉군목(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ace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 군락(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B. 소나무-신갈나무 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일본잎갈나무 군락(Larix kaempferi Community), D. 조릿대-신갈나무 군락(Sasa borea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오대산국립공원 중대사-비로봉 구간 식물군집구조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Jungdae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 한봉호;최진우;노태환;김동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64-776
    • /
    • 2015
  •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인 중대사~비로봉 구간에 대한 산림식생현황 및 천이계열, 변화양상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대사~비로봉 구간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m{\times}20m(400m^2)$의 방형구 17개소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조사구별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표본목의 생장량 및 수령, 유사도지수, 종다양도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DCA분석 결과, 군집 I(신갈나무-피나무군집), 군집 II(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III(신갈나무-잣나무군집), 군집 IV(전나무-신갈나무군집), 군집 V(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5개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조사구별 상대우점치 분석결과,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높을수록, 전나무는 해발고가 낮을수록 군집내 상대 우점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군집 I, 군집 II, 군집 III은 현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군집 IV, 군집V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이 약화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본목의 수령은 85~161년(평균 123년)이었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5개의 군집은 이질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해발고의 군집 I과 낮은 해발고의 군집 IV, V간의 이질성이 높았다. 단위면적 $400m^2$당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 III(1.1109) > 군집 II(1.0475) > 군집 I(1.0125) > 군집 IV(0.9918) > 군집 V(0.8686)의 순으로 높았다.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의 종다양도는 과거 연구 및 주변 지역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반면, 전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의 경우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덕산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Daedeok)

  • 서동주;백원기;이우철;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7-295
    • /
    • 2006
  • 본 연구는 대덕산에 분포하는 식물자원의 종류를 조사하고 자생지 식생을 파악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덕산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은 81과 206속 358종 69변종 14품종 1아종으로, 총 442 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7분류군이었으며, 희귀식물은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등칡,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가시오갈피, 지리산오갈피나무, 대성쓴풀, 토현삼, 도라지모시대, 솔나리, 말나리, 나도개감채, 노랑무늬붓꽃, 개불알꽃 등 15 종류이었고, 귀화식물은 총 16분류군이었으며 귀화율은 3.6%로 낮았다 한편 생활형 조성은 $H-D_4-R_5-e$ type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식물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41.0%, 약용 식물 32.8%, 관상용 1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가래나무 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으로 대표되며, 신갈나무 군락군은 사스래나무-신갈나무 군락(Betula erman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하위 군락(typical community)으로 세분되었다.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uryeong to Sosagogae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0-157
    • /
    • 2004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구간 능선부에 10개의 방형구(5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0개 조사구는 떡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떡갈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7295∼2.6525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등록한 흰참꽃나무가 삼봉산 주변 바위틀에서 여러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Both Sides

  • Huh, Man-Kyu;Cho, Joo-Soo;Jang, Gi-B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8
  • The characters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which is associated with human activities recently extended around the field of Saengbiryang-myeon at Sanseong-gun in Gyeongsangnam-do. The C. crenata community and its outskirts were investigated for several ecological parameters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C. crenata is prevailing in the plantation area, wherea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are prevailing in its outskirts. The mean species diversity of plantation was lower than that of natural forests. In stratification of investigated areas, overstory tree layer was dominant in the zone of plantation and dominant layers in the natural forest were understory tree layer, shrub, and herb. Plant biomass and net production which estimated from degree of green naturality were much higher in natural forests than those of the plantation community.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LSD) post hoc analysis revealed that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y had significantly greater than densities than C. crenata community.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 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idge Area of Naesosa in the Byunsan Peninsula National Park)

  • 김봉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42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위치한 내소사 주변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세봉관음봉 구간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소나무군집과 소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변산반도 내소사지역의 세봉관음봉지역은 대부분이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단풍나무와 대팻집나무, 사람주나무와 산딸나무, 산딸나무와 굴피나무, 팥배나무와 서어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소나무와 서어나무, 쇠물푸레와 서어나무,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대팻집나무와 팥배나무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0.665{\sim}1.169$범위로 나타났다.

소나무림 및 신갈나무림의 최소면적과 군락구조 (Minimal Areas and Community Struct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 Kim, Jong-Woon;Deuk-Im Lee;Woe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51-462
    • /
    • 1995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inimal areas and the community structures in pine IPinus densiflora) and oak (Quercus mongolica) frests was carried out. Basic tool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pecies diversity and classical ayntaxonomy (Z.-M. School) of the phytocoenosis. Total 120 nest-quadrats in 40 stands situated at the syngeographical region of the Lindero-Quercion mongolicae were investigated. Each stand was classified on the basis of species combination, and species abundance was computed with net contribution degree (NCD). Composition ratio of plant-from and rate of actual species diversity (ASD) to syntaxa were computed for better interpretation of the minimal areas. Four syntaxa were structured: Saso-Quercetum mongolicae, Viola albid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ex humm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Juniper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ir minimal areas were determined as 305, 196, 169, and 81 ㎡, respectively. Aconsistent regularity between species composition ratio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multi-layered plant community was hardly found. The minimal area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rate of ASD, and a phytocoenosis developed by diverse arboreta in the understory and shrub-layer should be investigated with larger sampling sizes.

  • PDF

Vegetation community composition and changes of Jinaksan (Mt.) in Korea

  • Seungah Yang;Mira Lee;Badamtsetseg Bazarragchaa;Hyoun Sook Kim;Sang Myong Lee;Joongku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65-180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62 nested quadrat plots of Jinaksan to identify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al method and analyzed importance value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variableis community, Q. aliena community, Pinus densiflora, Q. acutissima, Zelkova serrata, Carpinis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 significance value was highest in Q. mongolica (62.75) followed by P. densiflora (55.16), Q. variabilis community (25.03), Z. serrata (22.17), Q. aliena (18.30),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16.86), C. laxiflora (13.25), Q. acutissima (10.72), C. tschonoskii (10.08), Q. serrata (8.02), Fraxinus sieboldiana (6.93), Acer pseudosieboldianum (6.73), and Styrax obassis (5.73). Quercus mongolica displayed a stable distribution pattern, presenting a reverse J-shaped curve fro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alysis, and it was judged that current state would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P. densiflora is expected to dominate for the time being and Quercus species are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데미샘 주변의 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Daemisaem Region)

  • 변무섭;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37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y area in the Daemisaem region were listed as 302 taxa; 81 families, 196 genera, 251 species, 1 subspecies, 42 varieties, 7 forms and 1 hybri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7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Salix purpurea var. japonica, Thalictrum uchiyamai, Lespedeza ${\times}$ tomentell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Cirsium chanroenicum.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Silene jenisseensis, Cimicifuga heracleifolia in class IV, 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davurica, Lonicera subhispida) in class III, 3 taxa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Ligularia fischeri, Cirsium chanroenicum) in class II, 13 taxa (Glyceria leptolepis, Meliosma oldhamii,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8 families, 20 genera, 23 species, 1 varieties, 2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7.9% of all 302 taxa vascular plants. The vegetation community of the selected Daemisaem region were growth of configuration to slope, ridge and valle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in the slop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n the ridge,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cer mono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Morus bombycis community in the valley.

대전 장태산 자연휴양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d Management Plan for J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Daejeon City)

  • 권혜진;이지혜;신창환;최재용;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6-128
    • /
    • 2008
  • Vegetation structure of J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Daejeon City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preferable management plan.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hirty plots. Adopting phytosociological method,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winfolds of natural and afforested area. A natural forest were composed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fforested area were with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errata in natural forest were 59.69%, 48.32%, 39.10%, 21.53%, respectively. According to diameter of breast hieght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occupancy of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ould be continuously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nagement plan for natural forest and afforested area was recommended in line with the progress of natural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