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4초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hseo in Chungnam Province)

  • 신학섭;윤충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51
    • /
    • 2014
  • A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to September 2011 in order to examine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in Mt. Ohseo area. It wa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vegetation conserva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imilarity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Ohseo for each layer, follow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actual fores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community type of Mt. Ohseo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vegetation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Quercus serrata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vegetation type 4 show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index of 0.5236, and vegetation type-2 show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of 0.6606. The community similarity betwee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0.679, and the community similarity between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between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howed the levels of 0.5, respectively.

대전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군락 분류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of Dodeokbong and Baekwunbong in Daejeon)

  • 김효정;이미정;지윤의;안승만;이규석;송호경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16-223
    • /
    • 2002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의 지류인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산림군락을 분류하고 이 지역의 식생 현황 파악과 국립공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89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낮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굴참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에 비해 해발고가 낮은 남사면의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고 폭이 좁은 건조한 능선 부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어나무군락은 주로 남사면 계곡부의 중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리기다-곰솔군락은 조림군락이다.

한국 충북 중.북부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류 삼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spp.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of Middle and Northern Parts,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김헌규;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07-214
    • /
    • 2005
  •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 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시루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졸참나무-상수리나무하위단위(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group), A-2. 신갈나무하위단위(Quercus mongolica group), B. 신갈나무-철쭉군락(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 떡갈나무-홀아비꽃대군락(Quercus dentata-Chloranthus japonicus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각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Jilmoi Wetlands to the Donghae Observatory, Baekdudaegan Mountains

  • Choi, Jin-Woo;Kim, Kyung-Won;Yeum, Jung-Hun;Hwang, Won-Seo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0-26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sectin stretching between the Jilmoi wetlands and the Donghae Observatory and to set the criteria for the basic data for a management plan including restoration afterwards. 12 plots($10m{\times}40m$, $20m{\times}20m$) were set up to analys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ordination by DCA, importance percentage and property,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growth increments of major woody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l analyzed. Veget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ommunity III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The P. densiflora community declined when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an understory layer in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both canopy and understory layers in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 P. densiflora declined and it was assumed to succeed to F. rhynchophylla or T. amurensis through Q. mongolica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of small and middle sized trees. The age of P. densiflora was between 47 to 51 years old and Q. mongolica was 61years old. T. amurensis was 61 years old and the growth of Q. mongolica slowed a little. As the result of Shannon's index of species diversity, community I ranged from 0.9578 to 1.1862, community II ranged from 0.7904 to 1.2286 and community III ranged from 0.8701 to 1.032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were low compared to uncultivated mountain soil and it were analysed to be inappropriate for tree growth.

TWINSPAN과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집(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 송호경;장규관;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299-305
    • /
    • 1995
  • 신갈나무군집(群集)과 환경(環境) 요인(要因)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오대산(五臺山)과 점봉산(點鳳山) 지역(地域)에 81개(個)의 조사구(調査區)를 설치(設置)하여 식생(植生) 조사(調査) 실시(實施)하였으며, TWNSPAN과 CANOCL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중요치(重要置)가 높은 종(種)은 신갈나무, 당단풍, 피나무, 까치박달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등(等)의 순(順)이다. 신갈나무군집(群集)은 신갈나무전형군집(群集), 신갈나무 까치박달나무군집(群集), 신갈나무 - 분비나무군집(群集)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다. 주요(主要) 군집(群集)들과 환경(環境) 요인(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신갈나무전형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다른 군집(群集)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전실소(全室素)가 비교적 적은 곳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신갈나무 - 까치박달나무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다른 군집(群集)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Mg, Ca 등(等)의 양료(養料)가장 많은 곳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신갈나무 - 분비나무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다론 군집(群集)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Mg, Ca 등(等)의 양료(養料)가 비교적 적은 곳에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의 분포(分布)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환경(環境) 요인(要因)들은 해발고(海拔高) 전실소(全室素)이다.

  • PDF

민통선.비무장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 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

  •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3-74
    • /
    • 2010
  • In this study, wetlands and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rail, road of DMZ area and Civilian Control Line were studied as follows: Plant communities hierarchical system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methods of Braun-Blanquet (1964)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tland vegetation major communities; Scirpus wichurae community, Scirpus fluviatilis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Typha oriental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Juncus alat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ragmites commun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Alnus japonic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Prunus padus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Amorpha fruticosa community were surveyed.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a DMZ area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Carex pumila,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Rosa rugosa, Calystegia soldanella, Lathyrus japonica and Aster hispidus, species that are of typically sand dune vegetation.

소나무림(林)과 신갈나무림(林)의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 분석(分析)과 천이(遷移)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 송호경;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23-232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과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Mueller-Dombois & Ellenberg의 방법에 의하여 16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으며, CCA ordination과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 분석에서 소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군락 또는 굴참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갈나무 군락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 우정림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교목층에 공존하는 삼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은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잣나무와 분비나무 등이 교목층에 혼재되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2.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나무 군락에서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보통이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보통인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 등이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사면부에 분포하고, 분비나무, 주목, 잣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고 $Mg^{{+}{+}}$, $Ca^{{+}{+}}$, C.E.C 등이 적은 능선부에 분포하며, 서어나무, 젓나무 등이 해발고가 중간이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분포하고 이엇다. 또한 음나무, 까치박달나무, 만주고로쇠 등이 습하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에는 분포하고,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건조하고 해발고가 낮은 능선부에는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A Study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Fourth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Plot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 박홍철;김은옥;김우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2-500
    • /
    • 202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목조사를 통한 식생군락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리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수-면적 곡선을 작성한 결과, 총 40개의 조사구(총 면적 16,000 ㎡)가 지리산국립공원의 출현 종 및 식생현황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면적 및 개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WINSPAN Classification 결과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IV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백나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하고 있다. IV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다. 아교목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반발달하고 있다.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면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n the South and North Slopes of Donghaksa Valley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 김현숙;김호준;이규석;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61
    • /
    • 2004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in south and north slopes of Donghaksa valley for supplying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valley. With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forest of the south and north slopes of Donghaksa valley was classified as four groups;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The domin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mongolica. Comparing the north and south slopes, Quercus variabilis were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in the south and Carpinus laxiflora in the north. Pinus densiflora were the next dominant species in both south and north slopes. According to the DBH analysis result,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had density of normal distribution style among the entire community. Therefore, their dominance are expected to continue for now. But, Quercus mongolica and Carpinus laxiflora are expected to extend their influence in the future in terms of competition with Pinus densiflora.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DCCA ordination w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result told us that Quercus variabilis is distributed mainly on the south slope in a mid-steep and mid-altitude are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ppeared on the north slope in the steep high-altitude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in total nitrogen and CEC.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distributed on both south and north slopes in a gentle slope and low-altitude area. Carpinus laxiflora is distributed on the north slope in a mid-steep and mid-altitude area.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 김갑태;추갑철;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7
    • /
    • 2003
  • 백두대간의 대덕산-금대봉에 이르는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 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 자연생태계보전지역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보전지역에 6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5개의 군집 일본 잎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우점군집, 물푸레나무-신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당단풍우점군집, 신갈나무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팥배나무와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고로쇠나무와 올괴불나무, 마가목 ; 다릅나무와 복자기 ; 물푸레나무와 물박달나무; 올괴불나무와 층층나무, 마가목; 복자기와 짝자래나무; 산돌배와 귀룽나무 ; 층층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까치박달; 피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산뽕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4443~1.2036 범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