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various toothpastes on remineralization of white spot lesions

  • Jo, Su-Yeon;Chong, Hyun-Jeong;Lee, Eon-Hwa;Chang, Na-Young;Chae, Jong-Moon;Cho, Jin-Hyoung;Kim, Sang-Cheol;Kang, Kyung-Hw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13-118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luoridated,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complex (CPP-ACP)-containing, and functionalized ${\beta}$-tricalcium phosphate (fTCP)-containing toothpastes on remineralization of white spot lesions (WSLs) by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D) Biluminator$^{TM}$ 2. Methods: Forty-eight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reasons from 12 patients, with artificially induced WSL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four treatment groups: fluoride (1,000 ppm), CPP-ACP, fTCP (with sodium fluoride), and control (deionized water) groups. Specimens were treated twice daily for 2 weeks and stored in saliva solution (1:1 mixture of artificial and human stimulated saliva) otherwise. QLF-D Biluminator$^{TM}$ 2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fluorescence, indicating alterations in the mineral contents of the WSLs,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2 weeks of treatment. Results: Fluorescence greatly increased in the fTCP and CPP-ACP groups compared with the fluoride and control groups, whic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fTCP- and CPP-ACP-containing toothpastes seem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WSLs than 1,000-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s.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과 Laser Fluorescence를 이용한 법랑질 우식증의 조기 진단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ARLY DETECTION OF ENAMEL LESIONS USING DIFOTI AND LASER FLUORESCENCE)

  • 맹명호;김승오;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7-220
    • /
    • 2006
  • 새로 개발된 조기 진단 장비들로는 laser fluorescence device(LFD), 초음파 진단 시스템,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CLSM),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 시스템 그리고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DIFOTI) 시스템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DIFOTI시스템과 LFD를 이용하여 유치 교환 시기에 있는 환아 21명, 25개의 유치를 대상으로 각 치아당 $1{\sim}3$점을 선정하여 구강내에서 초기 우식법랑질에 대한 DIFOTI 이미지 촬영 결과와 LFD 계측값을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을 대표값으로 한 결과를 CLSM과 비교하여 진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실 연구에서는 인공우식 용액을 이용하여 수거된 40개의 유치를 협설면에 $2{\times}3mm$ 크기의 창을 형성하고 4, 8, 12, 16일간 탈회시키면서 그 변화를 DIFOTI 시스템과 LFD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CLSM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에서 촬영된 DIFOTI의 민감도는 88.2%이었고, 특이도는 76.9%이었다. 2. 구강내에서 측정된 LDD의 민감도는 76.5%이었고, 특이도는 69.2%이었다. 3. 실험실 연구에서 유치 법랑질의 탈회 기간에 따른 DIFOTI 광투과율의 회귀 분석한 결과, 탈회 시간에 따라 광투과율은 감소하였다(r=-0.96, p<0.05). 4. 실험실에서 탈회 기간에 따른 LFD의 측정값의 회귀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5. DIFOTI 이미지의 광투과율과 CLMS의 병소 깊이에 대한 상관 계수는 -0.688이었으나(p<0.05), LFD의 측정값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QLF를 이용한 항우식 제품의 인공우식 재광화 효과에 대한 연구 (REMINERALIZATION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CARIOGENIC PRODUCTS ON ARTIFICIAL CARIES LESION USING QLF)

  • 송주현;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7-296
    • /
    • 2008
  • 본 연구는 항우식 제품인 저농도의 불소 양치액(500 ppm NaF)과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를 포함하는 치아 연고, 그리고 이 두 제품을 같이 사용했을 경우, 인공 우식 병소의 재광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3대구치 협면에 인공우식을 유발하였고, 시편을 16개씩 4군으로 나누어, 28일 동안 매일 2 회 다음과 같은 항우식 제품을 시편에 처리하였고, pH 순환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1군: 대조군(무처치) 2군: Tooth $Mousse^{(R)}$ (GC Co. Japan) 3군: 치카치카$^{(R)}$ (삼일제약. 한국) 4군: 치카치카$^{(R)}$+Tooth Mousse$^{(R)}$ 무기질 소실량(${\Delta}Q$)의 장기적인 변화를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elta}Q$는 1군에서는 28일동안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군과 3군에서는 처치전에 비해 14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4군에서는 7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2. ${\Delta}Q$는 1군 < 2군, 3군 < 4군 순이었다. 3. ${\Delta}Q$는 1군과 비교시 2군은 7일, 3군과 4군은 3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고, 2군은 3군과 전 기간 동안 유의차가 없었다. 4군은 2군과 3군에 비해 28일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4. 모든 군에서 재광화 속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 PDF

마이크로 레이저 형광 여기법을 이용한 미세채널 내부에서의 산소 확산에 대한 정량적 가시화 (Quantitative Visualization of Oxygen Transfer in Micro-channel using Micro-LIF Technique)

  • 천쥐안;김현동;김경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4-39
    • /
    • 2012
  • In the present study, oxygen transfer process across gas-liquid interface in a Y-shape micro-channel is quantitatively visualized using the micro laser induced fluorescence (${\mu}$-LIF) technique. Diffusion coefficient of Oxygen ($D_L$) is estim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compared to its theoretical value. Tris ruthenium (II) chloride hexahydrate was used as the oxygen quenchable fluorescent dye. A light-emitting diode (LED) with wavelength of 450 nm was used as the light source and phosphorescence images of fluorescent dye were captured by a CMOS high speed camera installed on the microscope system. Water having dissolved oxygen (DO) value of 0% and pure oxygen gas were injected into the Y-shaped microchannel by using a double loading syringe pump. In-situ pixel-by-pixel calibra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Stern-Volmer plots over whole flow field. Instantaneous DO concentration fields were successfully mapped according to Stern-Volmer plots and DL was calculated as $2.0675{\times}10^{-9}\;m^2/s$.

QLF(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를 이용한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물의 인접면 우식 재광화 효과에 관한 연구 (REMINERALIZATION EFFECT OF INTERPROXIMAL CARIES ADJACENT TO GLASS IONOMER RESTORATIONS: IN VITRO STUDY USING QLF)

  • 이혁상;현홍근;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4-249
    • /
    • 2011
  •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초기 우식 치질에 재광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세 가지 종류의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X $GP^{TM}$, $Vitremer^{TM}$, $F2000^{TM}$)를 실험군으로, 복합 레진(Filtek $Z250^{TM}$)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3개월간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재광화 효과를 시편의 파괴 없이 1개월 간격으로 QLF로 시편의 상을 얻고, 이렇게 얻은 상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을 측정하여 ${\Delta}Q$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시편의 재광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인접면 수복물은 인공 우식 병소가 있는 치아 시편과 수복재료(세 가지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복합 레진)를 접촉시켜 재현하였고, 이것을 인공 타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pH 7.0, $37^{\circ}C$를 유지하였다. 치아 시편들은 실험 시작 후 30, 60, 90일 뒤에 꺼내어 QLF로 촬영하였다. 얻어진 영상을 QLF를 이용하여 시편 각각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을 측정하였고, ${\Delta}Q$의 변화량(${\Delta}{\Delta}Q$), 즉 무기질 소실 변화량을 계산하여 얻어진 값을 ANOVA로 분석하고, Dunnett C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 검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병소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이 증가하였다. 2. 무기질 소실량(${\Delta}Q$)의 변화량인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은, 1 개월 후에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복합레진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며(p<0.05), 글라스 아이오노머 중에서는 Fuji IX $GP^{TM}$$Vitremer^{TM}$, $F2000^{TM}$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p<0.05). 2 개월 후에는 Fuji IX $GP^{TM}$가 나머지 군에 비해 ${\Delta}{\Delta}Q$가 유의하게 컸으며(p<0.05), 3 개월 후에는 모든 군간에 ${\Delta}{\Delta}Q$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세 가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서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 즉 재광화 정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4. 대조군인 복합 레진 군에서도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은 증가하였다.

유치 수복물에 따른 주변 법랑질의 탈회 저항성: QLF를 이용한 연구 (RESISTANCE TO DEMINERALIZATION OF ENAMEL OF PRIMARY TEETH ACCORDING TO RESTORATIONS: IN VITRO STUDY USING QLF)

  • 권해숙;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4-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치 수복물의 불소 방출 여부에 따른 주변 법랑질의 탈회 저항성과 재광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전 유전치 48개를 16개씩 임의로 세 군으로 나누어, $Filtek^{TM}$ Z250(1군), F2000(2군), $Ketac^{TM}$ N100(3군)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충전하였다. 3일 동안 인공 우식 병소를 유발한 후, 14일 동안 인공 타액에 담가 재광화를 유발하였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실험 단계와 시간에 따른 무기질 소실량(${\Delta}Q$)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탈회가 일어난 인공 우식 병소의 ${\Delta}Q$ 값은 3군, 2군, 1군 순으로 작게 나타났고, 이 중 3군은 1군에 비해 유의한 탈회 저항성을 보였다. 2. 1군, 2군, 3군 모두 재광화 1일 후부터 초기 인공 우식 병소의 ${\Delta}Q$ 값과 비교 시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관찰 기간 동안 지속적인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재광화 속도를 의미하는 ${\Delta}$(${\Delta}Q$)/일 값은 각 군에서 처음 1일 동안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급속히 감소하였다. 4. 수복 재료에 따른 재광화 정도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판중인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 및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Fluoride Ion Released and Remineralization Effect on the Initial Caries Lesion of the Various Fluoride Varnishes)

  • 이가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3-451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불소이온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불소 바니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MI $varnish^{TM}$와 V $varnish^{TM}$에서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p < 0.05) 반면 CS $varnish^{TM}$가 가장 낮은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을 보였다(p < 0.05).

정량광형광기를 이용한 어린이의 구강건강관리교육 효과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Home-using Portable Device for Children)

  • 이정상;김신;정태성;신종현;이은경;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1-30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휴대용 정량광형광기인 Q-scan을 이용한 구강관리교육이 어린이가 구강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효과적인 지를 평가하였다. 6 - 12세의 어린이 중 치아우식위험도 검사결과 중위험 또는 고위험도로 분류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Q-scan 사용군(I군)과 대조군(II군)의 두 군으로 나누고, Qray-cam을 이용하여 simple plaque score (SPS)를 평가한 뒤, 동일한 구강관리교육을 시행하였다. I군에게는 추가적으로 Q-scan을 매일 사용하게 하였다. 한 달 뒤 두 군 모두 SPS와 Cariview score를 재평가하였다. 두 군 모두 구강관리교육 후 Cariview score 및 SPS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 < 0.001). 두 군 간의 변화된 Cariview score 차이는 유의하였고(p = 0.022), I군에서 II군 대비 감소폭이 더 컸으며, SPS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937). 어린이의 구강위생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은 기존의 구강관리교육만으로도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나, 가정에서 휴대용 정량광형광기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은 구강관리에 대한 어린이들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데에 도움을 주므로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

탄산음료 유발 법랑질 침식에 대한 항우식 제품의 예방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CARIOGENIC PRODUCTS ON ENAMEL EROSION INDUCED BY CARBONATED BEVERAGE IN VITRO)

  • 송주현;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2
    • /
    • 2010
  • 본 연구는 항우식 제품인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를 포함하는 치아크림, 불소 바니쉬, 저농도 불소 양치액을 치아에 도포하는 것이 단시간 탄산음료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을 예방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법랑질 시편에 다음과 같은 항우식 제품을 도포하였고, 인공타액에 24시간 보관한 후, 콜라에 1분 증류수에 1분씩 5회 번갈아 처리하였다. 1군: 대조군(무처치) 2군: CPP-ACP 치아크림군 3군: 불소 바니쉬군(1,000 ppm F) 4군: 저농도 불소 양치액군(227 ppm F) 5군: 불소 바니쉬 + CPP-ACP 치아크림군 6군: 저농도 불소 양치액 + CPP-ACP 치아크림군 미세경도와 침식깊이를 측정하였고,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안정된 형광 격자에 대한 부피 형광 변화인 ${\Delta}Q$를 측정하여 무기질 감소량을 평가하였다. 6일 동안 실험을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경도는 1군$\leq$2군$\leq$4군<6군<3군$\fallingdotseq$5군 순이었다. 2. 평균 침식깊이는 5군$\fallingdotseq$3군<6군<4군$\fallingdotseq$2군$\fallingdotseq$1군 순이었다. 3. ${\Delta}Q$는 1군$\fallingdotseq$2군$\leq$4군$\leq$6군$\leq$3군$\fallingdotseq$5군 순이었다. ${\Delta}Q$의 감소율은 1군과 2군, 4군과 6군, 3군과 5군이 각각 유사하였다. 4. ${\Delta}Q$는 미세경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96, p<0.05), 침식깊이와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6, p<0.05).

법랑질 병소 회복율 평가를 위한 QLF 기술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QLF technology to monitor recovery rates of enamel caries lesions with human saliva)

  • 김경민;구혜민;이은송;강시묵;;권호근;김백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6-164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assess changes in remineralization by stimulated human saliva over a short period of 48 hours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technology. Materials and Methods: Bovine incisor surfaces were demineralized for 10 days. Two types of stimulated saliva were collected from 7 healthy persons. 24 hours after tooth brushing (Stimulated saliva group) and immediately after tooth brushing with 1,000 ppm NaF dentifrice (Dentifrice saliva group).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saliva and fluorescence images were obtained by QLF-digital (QLF-D $biluminator^{TM}$,) at 2, 4, 6, 12, 24, and 48 hours fluorescence loss (${\Delta}F%$) of the lesion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fluorescence differences between before (${\Delta}F_{baseline}$) and after (${\Delta}F_{treatment\;time}$) the remineralization process. Results: Before the remineralization, the mean ${\Delta}F_{baseline}$ of the initial demineralized specimens was $-18.42{\pm}0.15$ (%). In both groups, the ${\Delta}F$ values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2 hou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indicating recovery of the lesions by approximately 40% after 2 hours. After 48 hours, remineralization rates were slightly higher (49%) for the stimulated saliva group than for the dentifrice saliva group (41%),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With QLF minute degrees of remineralization by saliva can be measured in periods as short as 2 hours. Additionally no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of remineralization were observed in the dentifrice saliva group when compared to the stimulated saliva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