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plus-P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Implementation of Graphic Window Library for RTOS Qplus-P (실시간 운영체제 Qplus-P용 그래픽 윈도우 라이브러리 구현)

  • Kim, Do-Hyung;Kim, Sun-Ja;Kim, Seu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5
    • /
    • pp.479-486
    • /
    • 2003
  • As the Internet appliances like digital TV, Internet set-top boxes, and Internet phone, are showing up in the market, the economics of 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 which is an essential for controlling those devices, is expanding faster than ever before. ETRI has developed describes RTOS called Qplus-P, targeting various platforms ranging from PDA to Internet set-top box and home server.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graphic window library for Qplus-P. The Qplus-P graphic window library was implemented using tiny-X graphic server and gtk graphic toolkit, which are open source software. To port this library to various aliances, hangul processing, screen rotation, touch screen, and graphic acceleration functions are added to the tiny-X graphic server of the implementd graphic window library. Currently, Qplus-P graphic window is running on ARM-based appliances such as iPaq PDA, Samsung S3C2400 board, Zaurus PDA, and on Home Server that uses x86 processor. Qplus-P graphic library is provided as a of Qplus-P target builder.

The Development of Qplus-P Window Manager for Small Internet Appliance (소형 정보가전 기기용 QPlus-P 윈도우 매니저 개발)

  • Kim, Do-Hyung;Kang, Woo-Cheol;Jung, Young-Jun;Kim, Seu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195-202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window manager based on the real time operating system, Qplus-p, for small internet appliance. Current window managers for small internet appliance are originally developed for desktop environment and then modified for embedded systems. So they have inadequate functions for small internet appliances and do not perfectly support Hangul. The Qplus-P window manager adds the Hangul processing function to Matchbox window manager, a royalty-free window manager for small Internet appliance and provides a new Hangul input method called Amikey. Input mode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from Hangul mode to English mode and vice versa by Amikey. In addition, Qplus-P window manager provides Hangul supported basic applications such as web browser, e-mail client, MP3 player. We developed the window manager by porting open sources to target system after adding Hangul supported functions to them.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LX level3 C Standard Library for RTOS Qplus-P (EL/IX 단계 3을 적용한 실시간 운영체제 Qplus-P용 C 표준 라이브러리의 설계 및 구현)

  • Kim, Do-Hyung;Shin, Chang-Min;Park, Sung-Mi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9A no.4
    • /
    • pp.485-490
    • /
    • 2002
  • As the products of internet appliance, such as digital TV, internet set-top box, and internet phone, are continually produced, the market of real time operating system which controls those products is being highly increased. ETRI developed the extensible real time operating system, Qplus-P, which can be used from PDA to internet set-top box and home server.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 standard library for real-time operating system Qplus-P. The Qplus-P C standard library follows EL/IX API level, which is proposed to the real-time operating system international standard by the RedHat. And, the C standard library functions, which are needed to support the Tiny-X and Kaffe, are also implemented. The implemented C standard library can reduce the size of library about 30% compare to the C library that does not follow EL/IX API level.

Pervasive computing with Qplus-P real-time embedded operating system (편재형 컴퓨팅을 위한 Qplus-P 실시간 임베디드 운영체제)

  • 강우철;정영준;손동환;김가규;윤희철;이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130-132
    • /
    • 2004
  • 프로세서, 센서 등의 소형화와 저가격화는 어느 곳에서나 유무선 네트웍과 연결되는 편재형 디바이스들의 출연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점점 많은 기능을 가지고 인텔리전트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용 RTOS는 특정 제품에의 의존도가 높고, 멀티미디어 응용과 같은 새로운 편재환경에의 요구 사항을 지원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소형의 휴대 정보 단말에서부터 홈 서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편재형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확장성과 풍부한 기능을 갖춘 표준 실시간 OS의 개발이 필요하다. Qplus-P는 이와 같은 편재형 컴퓨팅을 지원하기 위한 실시간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에는 실시간 운영체제 커널, 라이브러리 및 응용, 사용자 개발 도구가 포함된다. 특히 커널은 확장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다양한 내장형 기기에 적용 가능한 이식성을 지원하며, 사용자 개발 도구는 특정 내장형 기기에서의 OS의 이식을 지원하는 개발 도구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API Implementation for Internet Appliances (정보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실시간 운용체제용 API 제안)

  • 신창민;김도형;박승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920-923
    • /
    • 2002
  • As the new technologies, such as IEEE 1394, USB, Bluetooth, PLC are appeared, the embedded real time operating system which is satisfied the various technologies is needed. This paper proposed and implemented C standard library which is independently used in real time operating system and which supports an application development interface. The proposed C standard library is based on EL/IX, an Embedded Linux API based on POSIX, which is suitable for other embedded operating systems as well. And because the proposed C standard library has four level, it supports various Internet appliances, such as digital TV, settop box. The developed C library is tested at Qplus-P real time operating system which is developed at ETRI.

  • PDF

The Implementation of Stmart Phone Edition based on Embedded Linux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스마트폰 에디션 구현)

  • Kim Do-Hyung;Yun Min-Hong;Kim Sun-Ja;Lee Cheol-H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2A no.7 s.97
    • /
    • pp.597-604
    • /
    • 2005
  • The paper describes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edition based on embedded Linux, which is composed of smartphone middleware and basic applications. Existing smartphone platforms entails loyalty expenses and has difficulties on customization due to the closed policy of their source codes. Although GPE - based on embedded Linux has solved the loyalty issues, other problems are remained unsolved. Since GPE has been designed for relatively large PDA-level devices, applications are generally inoperable under the condition of small LCD size and input methods without touch-screen; the condition is typical limitations of the smartphones. In the implemented smartphone edition of the paper no loyalty is required, because the smartphone edition is based on embedded Linux. It also supports keypad-only operating functionality such as moving between folders or running applications with operations. Besides, it provides more user-friendly environment to use the smartphone editionscreen interfaces and indicatorsto those of the regular cellular phones.

센서 네트워크용 초소형 OS

  • Song, Jun-Geun;Ma, Pyeong-Su;Park, Seu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7
    • /
    • pp.26-35
    • /
    • 2007
  • 최근 몇 년간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물류, 유통, 환경 감시, 홈오토메이션,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관련 분야의 시장 또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 유선 센서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과는 많은 차이를 가진다. 우선 극도로 제한된 시스템 자원만을 가질 수 있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 무선매체를 통해 유기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수천 개의 자율적인 하드웨어 노드들로 구성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센서 노드에 적합한 운영체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난 몇 년간 센서 노드하드웨어의 발달과 더불어 많은 센서 네트워크용 초소형 운영체제가 개발되어왔다. 현재 많이 알려져 있는 센서 네트워크용 OS로는, 가장 활발한 참여를 보이고 있는 TinyOS[3]부터 SOS[4], MANTIS[5], Contiki[6], T-kernel[7] 등이 있으며, 국내 기술로 개발된 Nano-Qplus[8] 등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배경 지식과 플랫폼 등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다루고, 본론에서 센서 네트워크용 운영체제가 가져야 할 조건과 현재 개발되어 있는 센서 네트워크 OS들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OS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분야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고려해 볼 때 atlas의 장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액티베이터의 사용 효과로 생각되며, 이는 차후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Ledge는 세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4. 파일 binding 횟수는 MC군이 가장 적고 PT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two 전동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사용하는 것이 single length technique과 유사한 성형 효율을 보이면서도 더 안전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