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L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세련된 QoS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한 계층적 전송 기법 (Fine-grained Layered Transmission)

  • 김종수;이승원;김인환;정기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470-472
    • /
    • 2000
  • 본 논문은 Layered Transmission(LT)기법의 단점인 세밀하지 못한(coarse-grained) QoS 확장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계층 단위로 세션을 떠나기 이전에 각 계층 내에서 프레임을 생략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기존의 LT 기법보다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따라서 좀 더 세밀한 QoS 확장성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네트워크 대역폭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패킷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 PDF

Designing Usability Assessment to Improve User's Acceptability on 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 Lim, Shinyoung;Kim, Jongbae;Kim, Jeong-Hyun;Lee, Hee-Sook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48
    • /
    • 2012
  • Usability assessment has been installed into a wide range of software that focuses on assessing product usage from the user's perspective. Usability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technolog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is being discussed and tentatively designed which is also expanded to the products for non-disabled people with minor adjustment of the usability assessment protocol. Designing an appropriate usability assessment protocol by referencing the currently available international standards on software usability tests with number of modifications to produce valuable feedbacks is under evaluation process regarding product usability enhancement. The feasibility study on usability assessment protocol into quality of life technologies is presented with discussions on further research.

  • PDF

실내외 환경에서 안정적인 자율 주행을 위한 스마트 휠체어 시스템 및 주행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mart Wheelchair System and Navigation Technology For Stable Driving Performance In Indoor-Outdoor Environments)

  • 이래경;오세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7호
    • /
    • pp.153-16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약자(노약자, 장애인 등)들의 사회 경제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의 일환으로, 다양한 실내외 환경에 대해서 안정적이고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스마트 휠체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주행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특히, 휠체어 탑승자(장애인, 노약자)의 인지/조작능력 부족에 따른 자동/수동 주행 시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환경에 최적화된 센서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휠체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다양한 주행 환경의 변화에 실시간 대응은 물론, 탑승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적 구조의 주행 프레임워크를 제안,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에 대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개발된 스마트 휠체어 시스템과 주행 시스템에 대한 안전성은 물론 효율성을 증명,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Refining Ideas for Social Problem Solving Based on Design Thinking in Digital Convergence Era)

  • 백승철;조성혜;김남희;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6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자원 문제, 환경문제 등 사회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경제, 문화, 교육 등에서의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문제 발생과 복지예산의 증가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망에서 정부와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본질적인 발생 원인과 이해관계자, 지역성과 문화에 대한 복합적 조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혁신회사 IDEO, 스텐포드 d.school등의 디자인 사고 기반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서비스화를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NGO, 공익활동가 등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뇌성마비 마비말장애 성인의 파찰음 실현 양상 분석 (Acoustic analysis of Korean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 문지현;김선희;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45-55
    • /
    • 2021
  • 본 연구는 경직형 경도-중등도 뇌성마비 마비말장애 성인이 산출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어의 마찰음과 파찰음은 조음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음인데, 기존 연구들은 마찰음에만 집중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비말장애 화자가 산출한 파찰음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QoLT_SPEECH_2014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파찰음 /tɕ, tɕh, ͈tɕ/이 어두 초성 및 어중 초성에 위치하는 단어를 선정하여 경도-중등도 경직형 장애 남성 화자 6명과 비장애 남성 화자 5명의 발화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국어의 파찰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찰음의 음향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찰구간의 길이, 묵음 구간의 길이,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 중심적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중 초성 파찰음에서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긴 마찰구간의 길이를 보였다, 2)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긴 묵음 구간의 길이를 보였다, 3) 무게중심의 경우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4)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큰 왜도 값을 보였다, 5)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큰 중심적률 값을 보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인이 산출한 파찰음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장애인이 산출한 파찰음과의 차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