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VARIABILIS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2초

Weibull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굴참나무 임분 재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Prediction of Stand Volume and Carbon Stock for Quercus variabilis Using Weibull Distribution Model)

  • 손영모;표정기;김소원;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99-6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굴참나무 임분의 직경분포와 ha당 재적 및 탄소량을 추정하는데 있다. 영급과 임분구조를 고려하여 굴참나무 임분에서 354개소를 조사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임령에 따른 직경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Weibull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수의 추정은 단순적률법(Simplified method-of-moments)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자료 중에서 80%는 모형개발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20%는 개발된 모형의 검정에 사용하였다. 모형의 검정에는 적합도지수(Fitness Index)와 평균오차제곱(Root Mean Square Error), Kolmogorov-Smirnov 통계치가 이용되었다. 검정자료에서 추정된 지위지수, 수고, 재적식의 적합도지수는 각각 0.967, 0.727, 0.988이고 평균오차제곱은 2.763, 1.817, 0.007이며, Weibull 모형의 Kolmogorov-Smirnov 적합도는 75%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에서 50년생의 굴참나무임분이 14의 지위지수와 697본의 분수를 나타내는 경우, 재적은 $188.69m^3/ha$이고 지상부 탄소량은 90.30 tC/ha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활엽수 수종에 대한 생장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굴참나무 탄소량 추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부여 석성산성의 식생 구조 및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 이선;이동혁;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33
    • /
    • 2009
  • Vegetation structure of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were 127.06, 70.29, 69.63, 12.39 and 8.57.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 김준선;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속리산의 식생은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 조림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철쭉 하위군집 3)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4)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2. 소나무-졸참나무군집 3. 소나무-굴참나무군집 4. 졸참나무군집 5.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6. 서어나무군집 7. 신갈나무군집 1) 전형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8. 물푸레나무군집 9. 노린재나무군집 10. 굴참나무군집

  • PDF

Reflectance water index를 이용한 참나무속 3종 낙엽의 함수량 추정 (Estimation of Water Content in Leaf Litter of Three Quercus Species by Reflectance Water Index)

  • 서계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5-279
    • /
    • 2018
  • Water status of intact plants has been optically estimated by measuring reflectance at the wavelengths 1,450 nm and 1,900 nm based on their signal strengths. Although another water band at 970 nm is considered to have very small signals, the band apparently lie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inexpensive spectrometer and plain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 used in wild fire studies. However measurement of the reflectance at 970 nm has been rarely applied to estimate the water status of dead plant materials such as fallen branch, twig, and leaf. To t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water reflectance at 970 nm to estimate the water content (WC) in leaf litter, the reflectance in various WC values were measured in the leaf litter of three Quercus species (Q aliena, Q aliena, Q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C in the leaf litter can be determined by reflectance water index (WI) in the three Quercus species ($WC=1,450{\times}WI-1,378.8$, r=0.865).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 and WC among the litter of the three Quercus species.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Growth Difference among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under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82-87
    • /
    • 2009
  • 우리나라의 주요 우점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물생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광, 토양수분, 영양소를 이들 3종의 참나무 유식물에 각각 실내에서 처리하여 그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광이 높을수록 잘 자라는 경향이 있었고, 신갈나무만이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신갈나무는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수분구배에 따라 생육의 차이가 없었고, 상수리나무만이 약간 높은 구배에서 잘 자랐을 뿐이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모두는 영양소가 적을 때 잘 자랐고, 높을수록 못 자랐다. 영양소 구배에 따른 감소정도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신갈나무는 피음조건에, 상수리나무는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 그리고 굴 참나무는 유기물이 적은 조건에서 각각 적응한 종이라고 판단된다.

추이대 2차림의 식생구조 분석과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 두륜산을 중심으로 - (Studies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Anticipation of Vegetation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on Secondary Forest in Ecotone)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5-377
    • /
    • 2011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추이대에 속하는 두륜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삼림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수평적 변화를 구성종과 상관식생의 우점종을 통해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삼림식생은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붉가시나무-황칠나무군락, 편백나무식재림 등 3개의 군락단위로 구분되었다. 각 삼림군락의 분포와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모든 삼림군락에서 출현한 동백나무군강의 식별종, 구분종,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의 구성종 요소, 상관식생의 주요종을 통하여 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가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율을 보이는 지역부터 점차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

굴참나무재의 목섬유 및 도관 cellulose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s of the Vessel Elements and the Wood Fibers of Quercus variabilis BLUME)

  • 김남훈;이원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15-20
    • /
    • 1993
  • X-ray diffractograms of the vessel elements and the wood fibers of Quercus variabilis BLUME were recorded and resolved into characteristic reflections of cellulose I.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tio of integrated intensity and crystallinity index between vessel elements and wood fibers.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cellulose crystal structure in the hardwood species was varied with the elements of wood.

  • PDF

삼림환경인자(森林環境因子)에 의한 굴참나무임분(林分)의 생산력추정(生産力推定) (Estimation of Productivity for Quercus variabilis Stand by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 이동섭;정영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1-18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굴참나무의 생장인자(生長因子) (흉고직경(胸高直徑), 수고(樹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및 간재적(幹材積))와 삼림환경(森林環境)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인자(因子)와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하여 임지(林地)의 생산력(生産力)을 추정(推定)하고, 적지선정(適地選定)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하는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이 때 고려(考慮)된 인자(因子)는 삼림환경인자(森林環境因子)로 령급(齡級) 외(外) 19개(個)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인자(因子)로 토양산도(土壤酸度) 외(外) 11개(個), 총(總) 32개(個) 인자(因子)이다. 경북(慶北)과 충북지방(忠北地方)에서 선정(選定)된 이들 생장인자(生長因子)와 삼림환경인자(森林環境因子)는 99개(個)의 표준지(標準地)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되었다. 여기에서 채택(採擇)된 인자(因子)는 이산변수(離散變數)와 연속변수(連續變數)이다. 각각의 인자(因子)를 3~4개(個)의 계급(階級)으로 분류(分類)하여, 총(總) 110개(個)의 계급(階級)으로 구분(區分)하였다. 그리고 각 계급(階級)을 별개(別個)의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였다. 즉 이는 의사변수(擬似變數)(dummy variable)로 하여 그의 값을 1 혹은 0으로 놓았다. 각 인자(因子)의 첫 계급(階級)은 통계학적(統計學的) 고려(考慮) 때문에 정규방정식(正規方程式)에서 제외(除外)시켰다. 먼저 4개(個)의 굴참나무 생장인자(生長因子)와 110개(個)의 계급(階級)과의 관계(關係)를 회귀분석(回歸分析)하였다. 다음으로 4개(個)의 생장인자(生長因子)와 32개(個)의 독립변수(獨立變數)간의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를 계산(計算)하였다. 마지막으로 계급간(階級間)의 범위(範圍)를 구(求)하기 위하여 상대점수(相對點數)를 추정(推定)하였다. 이와 같이 통계분석(統計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임목생장인자(林木生長因子)와 삼림환경인자(森林環境因子)와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수고(樹高)를 종속변수(從屬變數)로 하는 것이 추정율(推定率)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생장인자(生長因子) 중(中) 수고(樹高)를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의 추정기준(推定基準)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効率的)이라 사료(思料)된다. 2) 입목지(立木地)의 생산력(生産力)은 전체(全體) 삼림환경인자(森林環境因子)에 의하여, 그리고 무입목지(無立木地)는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인자(因子)에 의하여 추정(推定)할 수 있다. 3) 전체(全體)의 임목생장인자(林木生長因子)에 공통(共通)으로 크게 관여(關與)하는 인자(因子)는 령급(齡級), 유효토탐(有効土探), 임목밀도(林木密度), 모암(母岩), 위도(緯度), 토양습도(土壤濕度) 등으로서, 이들 인자(因子)의 양부(良否)가 곧 적지적수(適地適樹)의 기준(基準)이 될 수 있다. 4) 임목생장(林木生長)에 대한 계급간(階級間)의 상대점수차(相對點數差)가 공통(共通)으로 큰 인자(因子)는 모암(母岩), 위도(緯度),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 령급(齡級), 유효토탐(有効土探), 토양습도(土壤濕度), 유기질함량(有機質含量) 등으로서 이들 인자(因子)의 계급(階級)에 따라 적지적수(適地適樹)를 선정(選定)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環境傾度에 의한 母岳山 植物個體群의 分布類型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ce populations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in mt. moak provincial park, korea)

  • Kim, Jeong-Un;Yim, Yang-J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65-375
    • /
    • 1992
  • The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were applied fo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es populations in mt. moak provincial park in korea. The species populations were sequentially ordered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soil moisture, soil ph,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vation and were grouped into seven ecological groups by the two-dimensional analyses of temperature-moisture gradient : zelkova serrata group on mesic-lower parts near the streames and well drained stony slopes, carpinus tschonoskii group on mesic-middle parts, quercus acutissima group on lower parts destroyed by human activities, quercus variabilis group on xeric-middle parts, quercus serrata group on xeric-upper middle parts, quercus mongolica group on xeric-upper parts and pinus densiflora group on xeric-rock ridge lines, hillocks and lower parts interfered by human. Four forest vegetation types, zelkova forest dominated by the c. tschonoskii group on mesic-middle parts, oak forest dominated by the groups of q. acutissima,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on xeric sites and pine forest dominated by the p. densiflora group on dry and poor sites, were separated in mosaic chart by the two-dimensional analysis.

  • PDF

진도 첨찰산의 식생에 관하여 (On Vegetation of Mt. Cheomchal in Jindo Island)

  • Chang, Seok-Mo;Han-Sung Chang;Jong-Hong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3호
    • /
    • pp.153-173
    • /
    • 1988
  • The structure of vegetation of Mt. Cheomchal, Jindo-gun, Chollanamdo were surveyed from 1985 to 1987. The vascular plants was listed 785 taxa classified into 680 speciesm 1 subspecies, 95 varieties, 9 forma, 484 genera, 139 families, and 42 orders. The floral data show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value 1.71 in Pte-Q and N-$D_1-R_5-$e in biological type. Vegetation of Mt. Cheomchal i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Quercus salicina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Camellia japonica community 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coreana community and Carpinus tschonoskii-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s pine for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