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ST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새로운 제초성 N-phenyl-3,4-dimethylphthalimide 유도체의 정량적인 구조와 독성과의 관계 (QSTR) (Quantitative Structure Toxicity Relationships (QSTR) of New Herbicidal N-phenyl-3,4-dimethylphthalide Derivatives)

  • 성낙도;양숙영;강학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02
  • 새로운 제초성 N-phenyl-3,4-dimethylphthalimide 유도체의 구조변화에 따른 물리-화학 파라미터와 다루어진 바 없는 TOPKAT 프로그램으로 계산된 랫트 및 마우스 등의 급만성 독성에 관한 판별점수(DS) 및 치사율과의 관계(QSTR)를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발암성은 랫트보다 마우스가 그리고 수컷보다는 암컷이 높은 경향이었다. $R_2$-기만이 변화하는 조건에서 Hansch-Fujita 식을 유도한 결과, 발암성에서 랫트 암컷을 제외한 마우스(암, 수) 및 랫트 수컷은 공통적으로 LUMO 에너지가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이었으며 마우스 암컷과 수컷의 발암성에 관한 선택성 요소는 주로 $R_2$-치환기 길이의 적정값(약 $(L)_{opt.}=5.0{\AA}$)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Free-Wilson 식으로부터 $R_2$-기의 기여도는 랫트 수컷의 경우, 탄화수소로 구성된 치환체가 그리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불소 치환체들의 기여도가 우세한 경향이었다.

CoMFA Based Quantitative Structure Toxicity Relationship of Azo Dyes

  • Pasha, F.A.;Nam, Kee-Dal;Cho, Seung-Jo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2호
    • /
    • pp.145-149
    • /
    • 2007
  •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toxicity of azo dyes have been performed with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techniques. 3D QSTR analyses indicate that the steric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s are important. The steric field based model gives strong correlation ($q^2$=0.57, $r^2$= 0.92). The steric field in conjunction with electrostatic field give more strong correlation ($q^2$=0.57, $r^2$=0.95). All study indicates that a bulky and electronegative group at benzene ring and a small group at position 3 of aniline ring might be significant to reduce the mutagenicity.

Alkyl-3,4-dihydroxybenzoate와 N-Alkyl-3,4-dihydroxybenzamide 유도체의 피부 감작성에 관한 홀로그래피적인 정량적 구조와 독성과의 관계(HQSTR) (Holographic Quantitative Structure-Toxicity Relationships on the Skin Sensitization of Alkyl-3,4- dihydroxybenzoate and N-Alkyl -3,4- dihydroxybenzamide Derivatives)

  • 김상진;성낙도;정훈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96
    • /
    • 2005
  • 일련의 alkyl-3,4-dihydroxybenzoate (A)와 N-alkyl-3,4-dihydroxybenzamide (B) 유도체들의 치환기(R1 및 R2) 변화에 따른 피부 감작성과의 관계를 HQST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유도된 피부 감작성에 관한 HQSTR 모델은 매우 양호한 예측성(cross-validated $r^2_{cv}.,\;q^2=0.744$)과 적합성(non-cross-validated, $r^2_{ncv}$. =0.978)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이 클수록 피부 감작성이 낮은 반비례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R1-치환기 사슬 중 C1 ${\~}$ C3 원자 부분은 피부 감작성에 기여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ster (A)는 amide (B)보다 피부 감작성이 낮으나(AB) 특징을 나타내므로 미백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매우 이상적인 화합물임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