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R Decomposi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6초

다물체계의 선형 동역학식을 이용한 대차의 진동 해석 (Vibration Analysis of a Bogie Using Linearized Dynamic Equations of a Multibody System)

  • 강주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21-32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속된 다물체계의 비선형 운동방정식으로부터 QR분해법을 이용하여 선형 운동방정식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물체계의 선형 진동 방정식을 철도차량 대차에 적용하여 대차의 고유 진동모드를 구하고 레일의 변위 입력에 대한 대차프레임의 전달 함수를 구하여 대차의 진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차의 고유 모드는 35Hz이하에서 나타났고 198Hz이상에서 국부모드가 계산되었다. 대차 프레임의 수직변위 전달함수는 수직변위 모드와 피치 모드가 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방향 전달함수는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전후방향 전달함수는 속도에 관계없이 전후방향 변위 모드가 주로 가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QRD-M 및 QRPIC 을 이용한 효율적인 신호 검출 기법 (An Efficient Signal Detection Scheme using QRD-M and QRPIC)

  • 김재정;유영환;송형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1-22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채널상태에 기반하여 QRD-M (QR-decomposition based M algorithm)및 QRPIC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QR-decomposition)을 이용한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QRD-M 검출기법은 성능은 좋지만 복잡도가 높고, QRPIC 기법은 성능은 떨어지지만 복잡도가 낮다. 제안된 검출 기법은 채널상태에 따라 QRD-M 검출 기법을 사용할지 QRPIC 검출 기법을 사용할지 결정하게 되므로 기존의 QRD-M 검출 기법보다 성능은 조금 감소하지만 복잡도가 크게 낮아진다.

  • PDF

A Simplified Efficient Algorithm for Blind Detection of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s

  • Pham, Van Su;Mai, Linh;Lee, Jae-Young;Yoon, Gi-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3호
    • /
    • pp.261-265
    • /
    • 2008
  • This work presents a simplified efficient blind detection algorithm for orthogonal space-time codes(OSTBC). First, the proposed decoder exploits a proper decomposition approach of the upper triangular matrix R, which resulted from Cholesky-factorization of the composition channel matrix, to form an easy-to-solve blind detection equation. Secondly, in order to avoid suffering from the high computational load, the proposed decoder applies a sub-optimal QR-based decoder. Computer simulation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decoder allows to significantly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while still satisfying the bit-error-rate(BER) performance.

Efficient Detection of Space-Time Block Codes Based on Parallel Detection

  • 김정창;전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2A호
    • /
    • pp.100-107
    • /
    • 2011
  • Algorithms based on the QR decomposition of the equivalent space-time channel matrix have been proved useful in the detection of V-BLAST systems. Especially, the parallel detection (PD) algorithm offers ML approaching performance up to 4 transmit antennas with reasonable complexity. We show that when directly applied to STBCs, the PD algorithm may suffer a rather significant SNR degradation over ML detection, especially at high SNRs. However, simply extending the PD algorithm to allow p ${\geq}$ 2 candidate layers, i.e. p-PD, regains almost all the loss but only at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plexity. Here, we propose a simplification to the p-PD algorithm specific to STBCs without a corresponding sacrifice in performance. The proposed algorithm results in significant complexity reductions for moderate to high order modulations.

Fixed-Complexity Sphere Encoder for Multi-User MIMO Systems

  • Mohaisen, Manar;Chang, Kyung-H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1호
    • /
    • pp.63-69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xed-complexity sphere encoder (FSE) for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MIMO) systems. The proposed FSE accomplishes a scalable tradeoff between performance and complexity. Also, because it has a parallel tree-search structure, the proposed encoder can be easily pipelined, leading to a tremendous reduction in the precoding latency. The complexity of the proposed encoder is also analyzed, and we propose two techniques that reduce it. Simulation and analyt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in a $4{\times}4$ MU-MIMO system, the proposed FSE requires only 11.5%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needed by the conventional QR decomposition with M-algorithm encoder (QRDM-E). Also, the encoding throughput of the proposed encoder is 7.5 times that of the QRDM-E with tolerable degradation in the BER performance, while achieving the optimum diversity order.

공간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감소된 계산량의 QRM-MLD 신호검출기법 (A Reduced Complexity QRM-MLD for Spatially Multiplexed MIMO Systems)

  • 임태호;김재권;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C호
    • /
    • pp.43-5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간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시스템을 위한 수신부 신호 검출기법인 QRM-MLD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with QR Decomposition and M-algorithm)를 다룬다. 최근 산업현장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요구되는 보행자 속도로 움직이는 환경에서 1Gbps를 달성하기 위해 $4{\times}4$ MIMO 시스템에 QRM-MLD기법을 사용하여 1Gbps 전송속도의 testbed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QRM-MLB기법과 동일한 오류성능을 가지지만 계산량을 현격하게 줄이는 새로운 reduced complexity QRM-MLD기법을 제안한다. 두 가지 방식의 계산량을 엄밀하게 비교하여 계산량 감소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방식과 동일한 오류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QR 분해 및 순차적 간섭제거 기반의 MIMO 신호검출 기법을 위한 향상된 순서화 방법 (An Improved Ordering Method for MIMO Signal Detection Using QR Decomposition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박상현;김재권;양원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C호
    • /
    • pp.1010-10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QR분해 및 순차적 간섭제거 기반의 MIMO 신호검출기법을 위한 새로운 검출 순서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을 위한 신호검출기법으로서 한 개의 공간 레이어에는 모든 가능한 성 상점을 추정 신호로 시도하고 나머지 레이어의 추정치는 순차적 간섭제거를 수행하여 후보 벡터들을 생성한 후 각 후보 벡터의 ML 메트릭을 계산하여 송신 벡터를 추정하는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신호검출기법에는 기존 V-BLAST의 순서화와는 다른 순서화를 적용해야 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호검출기법을 위한 새로운 순서화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성능의 이득을 달성할 수 있음을 모의실험을 통해 보인다.

비선형 감마 곡선 알고리즘 개선을 위한 구간 분할 다항식 곡선 접합 (The Segmented Polynomial Curve Fitting for Improving Non-linear Gamma Curve Algorithm)

  • 장정훈;조호상;장원우;강봉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3-168
    • /
    • 2011
  • 본 논문은 감마보정을 위한 비선형 곡선 알고리즘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비선형 감마 곡선 생성 방법은 Gauss-Jordan 역행렬을 적용한 최소 자승 다항식(Least Square Polynomial)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다항식 계수 값 계산 과정 중 고차행렬의 역행렬 연산에서 $10^{-11}$ 이하의 매우 작은 값은 절단함으로써 곡선접합의 정밀도가 감소된다. 또한 입력으로 사용되는 샘플 포인트가 10-bit 기준으로 0~1023의 밝기 값에 대하여 고루 분포되어있는 경우에만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차 다항식의 계수 값을 반데몬드 행렬(Vandemond Matrix)에 SVD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와 QR분해법(QR 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행렬의 고유치와 직교성분만으로 연산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구간을 분할하여 각 구간의 다항식을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다항식을 이용하여 곡선 접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입력 데이터와 곡선 접합결과의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 Error: MSE)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TD)를 통한 오차율 비교 결과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 에러 범위에서 MSE가 약 $10^{-9}$ 이고 STD는 약 $10^{-5}$로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QR-분해를 이용한 효율적인 차원 감소 방법과 문서 분류에의 응용 (Efficient dimension reduction using QR-de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to text categorization)

  • 이문휘;박정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358-360
    • /
    • 2006
  • LDA는 그룹간 간격을 최대화하고 그룹내 분산을 최소화하는 선형변환을 구함으로써 차원 감소된 공간에서 분별력(classification performance)을 높이는 선형 차원 감소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샘플 문제(undersampled problem)에서 LDA를 적용할 수 있도록 QR-분해를 이용한 효율적인 차원 감소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되는 방법은 문서 분류 문제에서처럼 한 문서가 몇 개의 카테고리에 중복적으로 속하는 경우 등 데이터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확장 QR-RLS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의 결정 궤환 등화기 (A Systolic Array Structur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based on Extended QR-RLS Algorithm)

  • 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C호
    • /
    • pp.1518-1526
    • /
    • 2004
  • 본 논문은 확장 QR-RLS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를 갖는 적응 결정 궤환 등화기에 대해서 소개한다.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빠른 시변환 채널로 인해 고속의 수렴 특성을 갖는 등화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근에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QR-RLS 알고리즘 기반의 등화기가 소개되었으며, RLS 알고리즘이 갖는 높은 수렴 속도와 시스토릭 어레이의 병렬 파이프라인 형태로 구현 가능함으로 인해 계산상의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QR-RLS 알고리즘은 별도의 등화기 가중치 추출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적응 처리 과정을 완전한 파이프라인 형태로 수행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 QR-RL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곱근 연산을 배제한 계산과정을 통해 채널 출력의 입력으로부터 가중치 갱신까지 완전환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한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의 결정 궤환 등화기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