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C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을 위한 QOC 신호검출 기법 (A QOC Signal Detection Method for Spatially Multiplexed MIMO Systems)

  • 임태호;김재권;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9C호
    • /
    • pp.771-777
    • /
    • 2010
  • 본 논문은 공간다중화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신호검출 기법인 QR-OSIC with Candidates (QO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QOC 기법은 부분적인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알고리즘과 maximum likelihood (ML) metric 연산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후보 심볼 벡터 없이 최적 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얻는다. 제안된 QOC 기법은 hard, soft decoding 시스템에서 모두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oft decoding 시스템을 위한 송신 신호의 모든 비트의 log likelihood ratio (LLR)을 기존 LLR estimation 알고리즘 없이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하다. 제안된 신호검출 기법은 고정된 연산복잡도를 가지며 파이프라인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VLSI 구현에 효율적인 특성을 보인다. $4{\times}4$ 16-QAM MIMO 시스템을 위한 신호검출 기법을 VLSI 구현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QOC 신호검출기가 K-Best 신호검출기에 비해 27% 크기를 가지면서 하드웨어 지연은 더욱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권취기에서의 단차 회피 제어 감시 시스템 (Development of the QOC Monitoring System in Downcoiler)

  • 최용준;황원호;이영진;이민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5-958
    • /
    • 2003
  • Strip top mark is one of the major problem areas in hot strip coiling operation. The key for good coiling is having a precise detection instrument of strip head end and an understanding of QOC(quick open control) control algorithm and mechanism.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QOC monitoring system that is useful for avoiding strip top mark at coiling process. In this study, strip movement between mandrel and unit roll(wrapper roll) was thoroughly studied using high speed camera. Th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to calculate QOC open time and to estimate optimal open time values for good coiling operation. Its performance has been proven by extensive field tests on downcoiler of #2 Hot Strip Mill Line in Pohang Works.

  • PDF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을 위한 Soft Output 성능향상 기법 (A Soft Output Enhancement Technique for Spatially Multiplexed MIMO Systems)

  • 김진민;임태호;김재권;이주현;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C호
    • /
    • pp.734-742
    • /
    • 2008
  • 무선통신 채널에서 높은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며, 최근 다양한 신호검출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신호검출기법 중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with QR decomposition and M-algorithm (QRM-MLD), sphere decoding (SD), QOC, MOC와 같은 기법들은 maximum liklihood (ha)기법과 유사한 경판정 달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법들은 soft output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신호검출기법들의 soft output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기법들과 결합시 제안된 방법에 의해 개선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치료테이블과 콜리메이터가 전립선암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의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uch and Collimator on Dose Distribution of RapidArc Treatment Planning for Prostate Cancer in Radiation Therapy)

  • 김형동;김병용;김성진;윤상모;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2호
    • /
    • pp.99-105
    • /
    • 2012
  • 치료 테이블 회전, 아크 간 콜리메이터 회전 각도가 광자에너지별 전립선암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의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6 MV와 10 MV 광자 에너지에 대해 2 아크(two arcs)를 사용하여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 차이가 $0^{\circ}$, $15^{\circ}$, $30^{\circ}$, $45^{\circ}$, $60^{\circ}$, $75^{\circ}$, $90^{\circ}$인 경우와 치료 테이블 회전 유무에 따라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선량 최적화를 위한 표적 및 중요 장기의 선량 제한치(dose constraints)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계산하였고 선량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CI (Conformity index), HI (Homogeneity index), QOC (Quality of Coverage) 등의 정량화된 선량 지표를 구하여 각 치료계획의 최적화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치료계획표적용적과 중요장기의 선량 지표 차이는 3.6% 이하로 광자에너지, 치료테이블,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표적에서 먼 정상조직의 경우 저 선량 영역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좌우 대퇴골두의 V15%는 6 MV 일 때 각각 6.4%, 5.5% 높았고, 치료테이블 회전 시에는 23.4%, 24.1% 높게 나타났다. 표적에서 먼 영역(Far Region)의 V10%는 6 MV 일 때 54.2 cc, 치료테이블 회전이 없을 때 343.4 cc,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가 $0^{\circ}$일 때 457.8 cc 크게 나타났다.

유방암 수술기법에 따른 방사선치료계획 기법의 선택 (Selection of radiation treatment plan technique at breast cancer operating technique)

  • 김정호;배석환;김기진;유세종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5-130
    • /
    • 2015
  • Techniques, using physical wedge filter and using dynamic wedge filter and FIF(Field in Field) and ISCT(Irregular Surface Compensating Technique),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progress of radiation therapy of breast cancer. Measurement of dose was done to judge the usefulness of technique using three cases, non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operating and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operating and mastectomy. Dose indexes of breast tissue, CI (Conformity Index), HI (Homogeneity Index) and QOC (Quality of Coverage), dose index of skin, or dose indexes of lung, volume of 50 percent dose and 20 percent dose were estimated and compared. Using dynamic wedge filter is useful plan at non tissue loss allowing for high dose of lung. FIF and ISCT are useful plan at tissue loss. ISCT is useful plan at mastectomy. Henceforth, we need to apply to valid plan and body type and thorax size.

전뇌조사의 체적변조회전치료 시 두피선량 감소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reduced scalp dose at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 김정호;배석환;김기진;유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87-6192
    • /
    • 2014
  • 전이성 뇌종양의 증가에 따라 전뇌 방사선치료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치료기법의 발전은 삶의 질 향상의 중요성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체적변조회전 전뇌조사는 용적별 선량을 차등시킬 수 있는 우수한 치료기법이다. 이에 두피선량 증가에 따른 탈모에 대하여 기존 전뇌조사와 체적변조회전 전뇌조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정부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비교하였다. 뇌 실질의 경우 정합지수, 동질성지수, 범위의 질지수를 적용하였으며, 두피, 안구, 수정체, 경추의 경우 20%선량의 용적, 50%선량의 용적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뇌 실질은 기존 전뇌조사가 10%정도 우수하였지만, 두피, 안구, 수정체, 경추의 경우는 체적변조회전 전뇌조사가 1000%정도 우수하였다. 향후 체적변조회전 전뇌조사의 처방선량을 조정한다면 탈모를 방지하는 전이성 뇌종양 방사선치료로 선정될 것이다.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에서 아크수 및 회전범위가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c Number or Rotation Range upon Dose Distribution at RapidArc Planning for Liver Cancer)

  • 박혜진;김미화;전미선;오영택;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165-17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3종류의 래피드아크 치료를 위한 치료계획을 수행하여 각각의 선량분포와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Dose Volume Histogram, DVH)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이를 통해 래피드아크 치료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갠트리 회전수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치료계획은 작은 종양의 용적을 가지며 내부 장기 및 종양의 움직임이 비교적 작은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더블아크(double arcs)와 제한적인 트리플아크(limited triple arcs)와 멀티플아크(multiple arcs)치료에 대해 Eclipse 8.6 버전에서 시행하였다. 또한 치료계획 시 임상표적용적(Clinical Target Volume, CTV)과 치료표적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에 동일한 최적화 조건을 적용하였고, 각각의 정상조직에는 개별적인 선량 제한치 적용대신 종양 주변 정상조직에서의 선량 감소율을 일괄적으로 적용하였다. 임상표적용적과 치료표적용적의 전체 몸에 적용한 치료계획 선량 제한치에 대한 실제 계산결과의 만족도는 래피드아크가 세기조절방사선치료보다 높았으며 래피드아크에서 더블아크와 제한적인 트리플아크와 멀티플아크는 만족도가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각 치료계획에서 치료표적용적에 계획한 선량 제한치에 따라 SALT group이 제안한 Conformity Index (CI)가 0.98인 선량 분포범위에 처방선량을 결정하였다. 이때 RTOG에서 제안한 CI, Homogeneity Index (HI), Quality of Coverage (QOC)와 Lomax and Scheib에서 제안한 Healthy tissue conformity index (HTCI) 등을 평가하였다. 항목별로 차이는 있지만 총체적인 평가 결과는 멀티플아크가 전체적으로 좋았으며 모니터 단위 값의 비교에서도 멀티플아크가 가장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래피드아크 치료는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3차원입체조형치료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기법보다 더욱 최적의 선량 분포를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에서 멀티플아크 치료계획은 더블 또는 제한된 트리플아크 치료계획보다 모니터 단위 값이 작고, 선량의 균질성 및 종양내의 최소선량은 비슷하거나 좋아지는 동시에 주변 정상조직에는 선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