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C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ing Cycle Times of Advanced Quay Cranes in Container Terminals

  • Phan-Thi, Mai-Ha;Ryu, Kwangyeol;Kim, Kap Hwan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13
  • The amount of international trade is rapidly increasing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It is well known that as the size of a vessel becomes larger, the transportation cost per container decreases. That is, the economy-of-scale holds even in maritime container transportation. As a result, the sizes of containership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for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In addition, various handling technologies and handling equipment have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throughput capacities of container terminals. Quay crane (QC) that carries out load/unload operations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among various handling equipment in terminals. Two typical examples of advanced QC concepts proposed so far are double trolley QC and supertainer QC.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ainer handling cycle time of the advanced QCs that involve several handling components which move at the same time. Numerical results obtained by the proposed estimation procedur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simulation studi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dvantage of advanced QCs, we compared their expected cycle times with those of a conventional QC.

식스시그마 DMAIC 프로세스에서 모집단의 수와 데이터 종류에 따른 품질개선 기법의 오적용 유형 및 이해 (Understanding and Misuse Type of Quality Improvement Tools According to the Kind of Data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in DMAIC Process of Six Sigma)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9-517
    • /
    • 2010
  • The paper proposes the misuse types of statistical quality tools according to the kind of data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in DMAIC process of six sigma. The result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extended to the QC story 15 steps of QC circle. The study also provides the improvement methods about control chart, measurement system analysis, statistical difference, and practical equivalence.

  • PDF

한반도 남동부에서의 Coda파 감쇠 (Attenuation of Coda Wave in the Southeastern Korea)

  • 김성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4호
    • /
    • pp.379-384
    • /
    • 1999
  •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of coda wave in the Kyungsang Sedimetary Basin, quality faclity factor for coda wave (coda Q) is estimated from the earthquake data recorded in the KIGAM local seismic network. Thesingle scattering model for coda wave generation is adopted is adopted in estimating coda Q. In the present study, coda Q(Qc)is estimated in the range of $\alpha$=1.5~3.0, where $\alpha$ denotes the normalized time to S-wave travel time and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 (f). The deduced function in the range of 1 to 25 Hz is Qc=36.8283$f^{1.15095}$ which represents the strong dependence of coda Q on frequency.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Qc between U-D, N-S, and E-W components is negligible. This fact suports the back scattering therory that coda wave originates from scattered waves by randomly distributed heterogenities in the crust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that the coda Q increases with increasing epicentral distence.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QC increases with depth.

  • PDF

대기환경측정과 정도관리(II)-국내 현황과 향후 과제 (Air Quality Measurements and QC/QA (II) -Current Status and Future Requirements)

  • 백성옥;허귀석;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1-261
    • /
    • 2004
  • In this article, an in-depth review is presented to explain the present status of QC and QA for air quality monitoring, especially with respect to a few pollutants of which measurement requires high standard such as VOC and heavy metals. Upon reviewing the reported results of various studies conducted previously, we attempte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QC and QA for the acquisition of the high quality data in the air quality monitoring.

표면효과를 고려한 나노 사이즈 구조물의 local QC 열탄성 해석 (Thermomechanical Local QC Analysis of Nanoscale Structure Considering Surface Effect)

  • 유수영;이승윤;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20
    • /
    • 2007
  • In analyzing the nano-scale behavior of nano devices or materials, QC method is efficient because it does not treat all the atoms. But for more accurate analysis in QC metho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emperature and surface effects. In finite temperature, free energy is considered instead of potential energy. Because the surface area to volume ratio increases as the length scale of a body decreases, the surface effects are more dominant. In this paper, temperature related Cauchy-Born rule and surface Cauchy-Born rule are proposed to configurate the strain energy density. This method is applied to small and homogeneous deformation in two dimensional problem using finite element simulation.

  • PDF

첨단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이동경로 평가 및 적정 운영 대수 산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Simulator for Evaluating of AGV Guide Path and AGV Numbers)

  • 민상규;정귀훈;하승진;김형식;변성태;이영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52-15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 설비 중 안벽용 크레인(Quay Crane: QC)과 장치장용 크레인(Automated Transfer Crance: ATC)간의 컨테이너 이송을 담당하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운영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용의 시 뮬레이터를 개발하는데 목적은 두고 수행하였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처리 능력은 선석의 QC 능력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QC의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의 AGV의 운영 효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AGV의 운영 효율에는 장치장의 ATC 작업시간이 영향을 준다. 연구결과, AGV의 운영 효율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QC의 작업시간과 ATC의 작업시간에 따른 AGV의 적정대수를 산출하였다. 본 시뮬레이터는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상대와 유사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컨데이니 터미널의 운영 능력을 산출하는데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검토항목의 룰 개발 - 국내 BIM 지침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Rule for Quality Checking Items to Raise Quality of BIM Model -Focusing on the Domestic BIM Guidelines-)

  • 송종관;주기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1-143
    • /
    • 2013
  • BIM 지침을 통해 기본적인 모델링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만, BIM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는 참여자 별로 기준이 상이하고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적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BIM 적용 지침에 대한 이행여부의 평가는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하지만 지침에 따라 작성된 BIM 모델의 검토항목 및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BIM 지침의 BIM 기반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자동 품질검토 수행을 위한 룰 정의서를 제시한다. 먼저 국내 BIM 지침을 분석하여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플로우차트 및 의사코드를 활용한 구조화를 통해 룰 정의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룰 정의서를 기반으로 사례적용을 실시하여 자동 품질검토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3차원의 방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BIM 모델의 설계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향후 활용목적에 따른 BIM 지침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BIM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나 기준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품질관리 전담자 제도 도입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Introduction of Full-time Quality Control Personnel System On Audit Quality)

  • 석완주;박경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75-83
    • /
    • 2021
  • 본 연구는 품질관리업무 전담자 제도 도입이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현재 시행 중인 상장회사 감사인 등록요건의 주요 내용인 품질관리제도 구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사품질은 선행연구를 따라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품질관리 전담자가 존재하는 회계법인과 품질관리 전담자가 없는 회계법인의 감사품질과 품질관리 전담자 제도 도입 전후 즉, 2015 회계연도 이전과 2016 회계연도 이후의 감사품질을 비교하여 품질관리 전담자 제도가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품질관리 전담자가 존재하는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품질관리 전담자가 없는 회계법인의 감사품질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품질관리 전담자 제도도입 후 회계연도의 감사품질이 도입 전 회계연도의 감사품질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LO View의 유방촬영에서 QC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량 및 영상 평가 (Evaluation of Radiation Dose and Imaging of the QC Program in Mammography MLO View)

  • 이선화;김정민;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21-228
    • /
    • 2015
  • 목적: 디지털 유방촬영에서 Q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사선 피폭 선량의 감소와 고화질의 영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디지털 유방촬영술에서 QC phantom을 사용하여 노출 방식에 따른 평균유선선량을 MLO view에서 $0^{\circ}C$, $30^{\circ}C$, $45^{\circ}C$, $50^{\circ}C$, $55^{\circ}C$, $70^{\circ}C$, $90^{\circ}C$ 구간에서 측정하였고, Hologic사의 QC 프로그램으로 영상에서 SNR과 CNR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유선선량은 $90^{\circ}C$ 일 때 1.75 mGy로 최대치였고, $45^{\circ}C$에서 약 6 % 감소한 1.65 mGy 측정되었다. 또한 auto filter에서 1.67 mGy, manual에서는 1.52 mGy의 평균유선선량을 기록하여 노출 방식에 따라 선량이 차이가 있었다. 화질평가의 모든 각도 구간에서 SNR 50~52, CNR 11~12로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고, 제조사의 권고치 내에 포함되었다. 결론: MLO view $45^{\circ}C$에서 가장 적은 선량이었고, SNR 및 CNR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이때의 노출방식은 환자의 체형이나 특성을 고려한 설정으로 차이를 두어 불필요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