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acutissima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1초

Hydraulic architecture를 이용한 참나무속 주요 수종의 수분 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Relations of Economic Oak Species by Hydraulic Architecture Method)

  • 권기원;최정호;김선아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8-119
    • /
    • 1996
  • 낙엽성 참나무류 6종의 당년생 가지에 대해 목부를 구성하는 도관의 수분 통도성에 관련된 몇 가지 모수들이 조사되었다. 또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맹아 및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실생묘를 대상으로 상기 수분 통도와 관련된 모수들을 조사하였다. specific conductivity와 leaf specific conductivity 그리고 도관의 직경과 관련을 지닌 것으로 간주되는 Hagen-Poiseuille's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의 측정치 들은 조사된 모든 수종 중 떡갈나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조사된 대부분의 수종에 있어서 5-6월에 측정된 상기 측정치 들은 생육기의 경과와 함께 cavitation 등에 의해 도관 폐색이 증대되는 9-10월의 측정치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Hagen-Poiseuille의 경험식에 의해 추정된 도관의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와 실측한 hydraulic conductivity 간에는 대부분의 수종에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잎의 면적 또는 건중량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Huber value와 leaf specific conductivity 간에는 일부 예외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서 맹아지의 수분 통도성은 정상지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실생묘에 있어서 가지를 절단한 직후에 측정된 specific conductivity와 leaf specific conductivity는 그 후 cavitation에 의한 도관 폐색으로 급격히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실생묘에서 측정된 수분 통도 기능의 일중 변화를 고려할 때 약한 수분 stress 하에서는 수목이 능동적인 수분 흡수를 통해 그들의 수분 통도성을 자체 회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기적으로 수분 stress를 받는 상수리나무 실생묘의 specific conductivity와 leaf specific conductivity 등은 생육 기간이 경과되면서 감소되었지만 통도성에 미치는 수분 stress의 영향은 이와 관련을 지닌 목부 및 잎의 발달에 동시에 비슷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어 분명한 결론을 얻기 어려웠다. 이들 묘목에서 수분 통도성에 대한 측정치들은 일반적으로 근원부보다 줄기의 중간 또는 상부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참나무류(類)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ve Decay Durability of Quercus Species)

  • 민경희;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6-2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참나무 6수종(樹種)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실적(實驗實的)인 방법(方法)으로 실시(實施)되었다.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은 Lentinus edodes 균(菌)과 Pleurotus ostreatus 균(菌)에 의한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로 나타내었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村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상수리나무(Q. acutissima C.)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2. P. ostreatus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材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 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굴참나무(Q. variabilis BL.)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 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3. 참나무 6수종(樹種)의 절단고(切斷高)에 다른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은 일관(一貫)된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고찰(考察)하여 볼 때 참나무 6樹種(수종) 자연상태(自然狀態) 하(下)에서의 P. ostreatus균(菌)과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수종(樹種)은 갈참나무(Q. aliena BL.)로 사료(思料)된다.

  • PDF

마산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식물생태계의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the Plant Ecosystem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Masan District)

  • 이경재;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94
    • /
    • 1985
  • 이상과 같이하여 식물생태계분석기법을 실제 마산지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 분석결과 및 이를 통한 환경보존지침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주식생군집의 유형 마산지역의 식생은 주로 대상식생으로서 크게 10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는데 주요 군집은 곰솔군집, 곰솔-상수리군집, 상수리-갈참군집이다. 이 중에서 곰솔-상수리군집이 전체면적의 29.2%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2) 종구성의 다양도/유사도 식물군의 종다양도는 상수리-갈참군집, 상수리-곰솔군집과 같이 활엽수림위주의 수림이 높았으며 유사도는 곰솔과 곰솔위주 혼효림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천이계열상 특성 곰솔군은 토지적 준극상림의 안정된 상해로 적극적 보호가 요구되나 토양상태가 좋은 곳에는 활엽수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곰솔-상수리군집은 상층 침엽수 불량목을 제거하고 활엽수에 의해 보식이 요망된다. 상수리-갈참군집은 천이계열상 전진적 양상을 보이므로 인간에 의한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 4) 식생자연도 2차림, 자연도 7에 해당되는 지역이 52.8%로 가장 많인 분포되어 있으며 레크레이션적 도시림으로 적극적 보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5) 식물현존량 및 생산량 고산식물현존량은 160,470.95ton으로 1인당 녹지량은 0.40ton이며 생산량은 32,920.64 ton으로 1인당 0.082ton이다. 이 식물생산량에 의한 $O_2$방출량은 34,396 ton/yr 로서 마산지역 전체인구 호흡량의 33.5% 수준 밖에 안되므로 적극적 녹지의 확보는 물론 순생산량을 높이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같은 기초적연구가 극히 미미하여 실제 합리적인 자연환경보존정책의 수립이 곤란하다. 따라서 서울등을 비롯한 대도시는 물로 전국을 대상으로 이러한 기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지구온난화와 환경요소인 광, 토양수분, 영양소가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Level on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 조규태;장래하;이승혁;한영섭;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429-439
    • /
    • 2013
  • 한반도의 참나무 중 수분과 유기물이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와 수분이나 양분이 적은 척박한 건조지에 분포하는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대기 중의 $CO_2$ 농도와 기온이 상승하고 환경요소인 광, 토양수분, 영양소가 변화할 때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_2$ 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_2$ 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circ}C$ 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유식물에 주요 환경요인 중 광, 토양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여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의 생태 지위폭은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굴참나무의 생태지위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영양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 중 복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토양수분과 영양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식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로 성측목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토양수분과 영양소 환경에 의한 경쟁이 약해질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Cluster 분석과 PCA 분석 결과, 두 종은 $CO_2$ 농도 및 온도 증가에 의한 반응보다 광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수피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Barks)

  • 김진규;권동주;임순성;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59-374
    • /
    • 2010
  • 국내산 낙엽성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굴참나무 수피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 성분의 특성 및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에서 화합물 2(ellagic acid, 0.03 g), 4 ((+)-catechin, 4.59 g), 6 (taxifolin, 3.35 g) 및 7 (glucodistylin, 20.52 g)을 상수리 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18 g), 4 ((+)-catechin, 8.52 g), 5 ((+)-gallocatechin, 0.09 g), 6 (taxifolin, 0.54 g) 및 7 (glucodistylin, 3.28 g)을 떡갈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38 g), 2 (ellagic acid, 0.11 g) 4 ((+)-catechin, 2.01 g), 5 ((+)-gallocatechin, 0.12 g) 및 7 (glucodistylin, 0.39 g)을 갈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1.51 g), 4 (+)-catechin, 21.91 g) 및 7 (glucodistylin, 3.91 g)을 졸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0.84 g), 4 ((+)-catechin, 0.82 g), 6 (taxifolin, 4.02 g) 및 7 (glucodistylin, 21.50 g)을 굴참나무에서는 1 (gallic acid, 0.24 g), 3 (caffeic acid, 0.05 g), 4 ((+)-catechin, 0.32 g) 및 7 (glucodistylin, 0.65 g)을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국내산 참나무속 6 수종의 수피에서는 화합물 4 ((+)-catechin)와 7 (glucodistylin) 이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두 성분 중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glucodistylin은 참나무류 수피의 지표성분 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월출산국립공원 금생골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msaenggol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 최송현;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4-472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금생골의 식생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3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굴참나무군락(I),상수리나무군락(II), 소나무군락(III),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IV)의 4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월출산국립공원 금생골의 식생은 군락 I 과 II의 경우 소나무에서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로 천이가 진행된 발전단계였으며, 군락 III과 IV는 소나무가 참나무류와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잎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Leaves)

  • 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61-71
    • /
    • 2006
  • 국내산 주요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상수리나무 잎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의 성분의 특성 및 상호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kaempferol, a stragalin, astragalin-6"-O-gallate, isoquercirin, isoquercitrin-6"-O-gallate 및 myricetin 등 10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상수리나무에서는 gallic acid, kaempferol과 quercetin이 떡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ocatechin, (-)-epigallocatechin, kaempferol, quercetin, guajaverin 및 tamarixin 등 9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으며 갈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ffeic acid, astragalin, quercetin과 isoquercitrin이 졸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 quercitrin, isoquercitrin 및 myricetin 등 7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굴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astragalin, astagalin-6"-O-gallate와 isoquercitrin 등 5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다. Gallic aicd는 모든 수종에서 단리되어 참나무류 잎 추출성분의 지표 화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천마산 동부릉선 남북사면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Vegetation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 Lee, Nam-Ju;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4호
    • /
    • pp.213-225
    • /
    • 1988
  •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ies in the northern slope and Q. variabilis and Q. cutissima communities in the southern slope were detected by Zurich-Montpellier method. The undergrowth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northern slope was dominated by Ainsliaea acerifolia, Carex siderostict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Heloniopsis orientalis, Pseudostellaria palibiniana, ranging 3.3 to 2.2 in dominance-sociability, while the those of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in the southern slope were dominated by Spodiopogon cotulif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Atractylodes japonica, Lysimachia clethroides and Disporum smilacinum with similar degree in dominance-sociability to that of Q mongolica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were considered as regenerating forest after severe disturbance judging by their age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non's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s dominance index (i) was in reciprocal proportion in both two communities. The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were showed 13 and 12 m respectively. Seasonal changes of undergrowth coverage in the two communities were seemed to be affected especially with soil moisture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intensity, relative humidity and organic matter.

  • PDF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Pukhansan National Park, Mid-western Korea)

  • 이은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6호
    • /
    • pp.439-450
    • /
    • 1997
  • The potential natural vegtation of the Pukhansan National Park area, mid-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and field surveys,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park area was made on a scale of 1:25, 000, including fourteen communities. By the analyses of the species diversity, the age structure, the human interferences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two pathways of late stage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s to the climatic climax were suggested. One is from Quercus serrata forests to Q. mongolica forests throughout the mountain and the other, from Q. variabilis or Q. acutissima forests to Carpinus laxiflora forests in lower parts. Considering the vegetation changes,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park area mainly composed of Q. mongolica, C. laxiflora, P. densiflora and Zelkova serrata forest as the climatic and/or edaphic climax was inferred.

  • PDF

식물추출물 팩의 여성가슴 탄력증진과 크기증대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ested Pack Containing Plant Extracts on Elasticity and Size of Women's Breasts)

  • 최예훈;박민경;김용균;이상몽;손홍주;박현철;김선태;최인수;김근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7-416
    • /
    • 2012
  • 본 연구는 콩과식물과 허브식물 및 국내 자생식물체들로부터 estrogen 생성과 대사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굴하기 위하여, 12종의 식물체로부터 식물 유래의 isoflavone류를 포함한 2차대사산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지방세포의 지방합성과 축적에 활성을 조사하였다. 활성을 보이는 Q. acutissima, C. lanceolata, P. mirifica, P. bambusoides 및 S. repens 5종의 식물체 용매추출물을 전체중량의 3% 되게 첨가하여 천연 팩을 제조하였으며 임상실험을 통하여 가슴의 탄력과 크기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 lanceolata 추출물을 $25{\mu}g/ml$ 농도로 처리한 곳에서 3T3-L1의 세포성장을 control과 비교했을 때 130% 이상 증가시켰으며, 지방의 축적은 S. repens $H_2O$ 추출물을 처리한 곳에서 190% 정도 지방축적량이 많았으며, C. lanceolata와 P. bambusoides EtOH 추출물을 처리한 곳에서도 각각 145%와 154%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합성을 촉진하는 식물체추출물들을 첨가하여 천연 팩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팩으로 더마프로에 가슴크기 변화와 탄력에 미치는 영향 등의 임상실험을 의뢰하였다. 임상 실험 결과, 가슴둘레, 탄력, 볼륨이 모두 유의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효능에 관한 설문평가 결과, 사용효과 항목에서 80% 이상의 긍정적으로 답하였으며, 사용 후 2주간 효과에 대해 65%이상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사용성 설문평가 결과 또한 피험자의 90%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는 피험자 6명이 사용 중 가려움을 호소하였으나, 그 증상이 미약하여 사용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1명은 사용 3일 후 홍반이 관찰되었으나 5일 후 소멸되었고, 그 외의 다른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아 인체에 대한 부작용의 문제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Q. acutissima, C. lanceolata, P. mirifica, P. bambusoides 및 S. repens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겔타입의 팩 제조물은 여성의 가슴크기 향상과 탄력유지에 유효하다는 사실을 세포수준의 실험과 임상실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