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ray view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Q-Ray View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재의 유지상태 평가 (Reliability of Q-Ray View for Assess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

  • 남상미;구혜민;이은송;김백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3호
    • /
    • pp.140-151
    • /
    • 2020
  • Purpose: To evaluate reliability of Q-ray view (Aiobio Inc,. Seoul, Korea) for assess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Methods: Pit and fissure sealants of 58 permanent molars from 15 third-grade students were examined. Posterior teeth with ≥1 pit and fissure sealants applied to the occlusal surface for >6 months were examined. The teeth were examined using traditional visual-tactile assessments and combined Q-ray view. Pit and fissure sealants were evaluated by assessing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marginal integrity, retention, and presence of caries. Fleiss kappa and Cohen's kappa values were calculated to compare inter- and intrarater agreements between visual-tactile and combined Q-ray view assessments. Results: Regarding interrater agreement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K values of Cohen's kappa for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and presence of caries were 0.22-0.57, 0.36-0.57, and 0.43-0.61, respectively, and agreements ranged from slight to moderate. When combined with Q-ray view, the values were 0.81-0.89, 0.69-0.88, and 0.80-0.90, respectively, and agreements ranged from substantial to nearly perfect level,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arginal plaque (0.81-0.83), marginal discoloration (0.57-0.89), and presence of caries (0.69-0.91) showed higher agreements in combined Q-ray view than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and kappa values of marginal plaq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mbined Q-ray view than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Conclusion: Evaluat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using Q-ray view showed higher reliability than using visual/tactile assessments for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and presence of caries. Therefore, Q-ray view may be used to assess the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 PDF

Q-Ray View 활용이 치위생과정을 위한 치아 검사의 신뢰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Q-Ray View on Reliability of Assessing a Tooth Status for Dental Hygiene Process)

  • 오혜영;정회인;구혜민;김백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1-467
    • /
    • 2014
  • 본 연구는 치위생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치위생과정 실습에서 3학년 학생들이 대상자의 치아상태를 Q-ray view를 사용하지 않고 평가한 방법과 Q-ray view를 사용하여 평가한 방법을 숙련된 검사자의 치아검사결과를 기준치로 하여 부위별, 병소 및 수복물별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부위별 차이에서 병소와 수복물은 Q-ray view를 사용한 경우에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특히 상악전치부는 수복물에서 100% 정답기준과 일치하였다. 병소 및 수복물별 차이에서 Q-ray view를 사용한 경우 병소에서는 치아우식증과 초기우식증, 치아파절에서 차이가 있었고 수복물에서는 수복물 또는 치면열구전색이 없는 경우와 심미수복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Q-ray view를 병행해서 치아검사를 수행했을 때 경험이 부족한 치위생과 학생의 치아검사 신뢰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치위생과정 실습에서 Q-ray view는 학생의 치아검사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Q-ray view를 이용한 유구치의 숨은 인접면 우식증 탐지 (Detection of Hidden Proximal Caries using Q-ray view in Primary Molars)

  • 정연욱;이효설;최형준;이제호;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9-217
    • /
    • 2015
  • 본 연구는 Q-ray view (All in one Bio, Seoul, Korea)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적절히 탐지해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명의 소아치과의사가 3-9세 사이의 어린이 32명(평균연령 $5.6{\pm}1.3$세)의 유구치 인접면 100개를 시진, Q-ray view, DIAGNOdent (KaVo, Biberach, Germany),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으로 평가하였다. 각 검사법과 실제 치료 시 관찰된 인접면 우식증의 진행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시진, Q-ray view, DIAGNOdent,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 순으로 0.15, 0.10, 0.25, 0.68이었으며, 상아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0.34, 0.56, 0.44, 0.70이었다. Q-ray view는 상아질까지 진행된 유구치의 숨은 인접면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보조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접착제의 브라켓 주변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 (Effect of a Fluoride - Containing Orthodontic Primer for Preventing Enamel Demineralization around Bracket)

  • 장하영;김종빈;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2-418
    • /
    • 2017
  • 브라켓 주위에 발생되는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불소를 함유하는 교정용 프라이머의 적용이 법랑질 탈회 예방 및 재광화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 된 소의 절치 5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I) 아무처리하지 않은 시편, (II)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프라이머인 Light Bond$^{TM}$로 처리한 시편, (III) 전통적으로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프라이머인 Transbond$^{TM}$ XT Primer로 처리한 시편. 각 군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Q-ray view로 관찰하고, 비커스 표면미세경도 측정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우식 양상을 평가하였다. 인공 탈회 후 프라이머는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 35 - 50% 잔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미세경도는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Light Bond$^{TM}$를 적용한 인접부위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편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소견으로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은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Light Bond$^{TM}$의 인접부위에서는 가장 얕은 우식 양상과 재광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불소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유용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군용 열영상장비 최소분해가능온도차의 정량적 측정 방법 및 탐지거리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methods of MRTD and prediction of detection distance for Infrared surveillance equipments in military)

  • 정영탁;임재성;이지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57-564
    • /
    • 2017
  • 대한민국 군의 K 계열 전차에 장착되어 있는 열영상장비의 목적은 시계가 제한된 환경에서 외부의 적외선 영역의 정보를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열영상장비의 시계, 배율, 분해능, 변조전달함수, 잡음등가온도차, 최소분해가능온도차 등의 지표 중에서 최소 분해 가능 온도차(MRTD)는 공간주파수와 온도분해능을 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영상장비의 성능 표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파라메터이다. 그러나 NATO의 MRTD 표준 측정 방법은 많은 주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즉, 측정자의 정신 상태, 시력 등의 차이와 측정환경에 따라 측정 결과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MRTD의 측정결과는 안정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인 MRTD 측정 방법을 gary scale을 바탕으로 이미지 연산을 통한 정량적인 지표로 변환하였다. 흑상과 백상의 Gray scale 차이의 평균을 최소분해가능온도로 변환하여, 국방규격서에서 요구하는 성능요구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gray scale은 MRTD의 탐지/인지/식별의 판별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차에 열영상장비가 탑재되어 작전을 수행할 때의 탐지 가능 거리를 안개, 폭우, 맑은 날씨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