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학습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8초

기계학습을 이용한 염화물 확산계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using Machine Learning)

  • 김현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87-94
    • /
    • 2023
  • Chloride is one of the most common threats to reinforced concrete (RC) durability. Alkaline environment of concrete makes a passive layer on the surface of reinforcement bars that prevents the bar from corrosion. However, when the chloride concentration amount at the reinforcement bar reaches a certain level, deterioration of the passive protection layer occurs, causing corrosion and ultimately reducing the structure's safety and durabilit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hloride diffusion and its prediction are important to evaluate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RC structure. In this study,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s predicted b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multiple linear regression, decision tree,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rtificial neural networks, extreme gradient boosting annd k-nearest neighbor were used and accuracy of there models were compared.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root mean square error (RMSE), mean square error (MSE), mean absolute error (MAE)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ere used as prediction performance indices. The k-fold cross-validation procedure was us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models when making predictions on data not used during training. Grid search was applied to hyperparameter optimization. It has been shown from numerical simulation that ensemble learning methods such as random forest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 successfully predicted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also provided accurate result.

AI기반 교량설계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강화학습 알고리즘과 외부 해석프로그램 간 인터페이스 구축 (Interface Establishment betwee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and External Analysis Program for AI-based Automation of Bridge Design Process)

  • 김민수;최상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403-408
    • /
    • 2021
  • 현재 교량과 같은 토목구조물의 설계프로세스는 1차 설계 후 구조 검토를 수행하여 기준에 부적합할 경우 재설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인 성과품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설계에 소요되는 기간을 연장시키는 원인이 되며, 보다 수준 높은 설계를 위해 투입되어야 할 고급 엔지니어링 인력을 기계적인 단순 반복 작업에 소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설계 과정 자동화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설계 과정에서 사용되는 해석프로그램은 이러한 자동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 과정 중 반복작업을 대체하고자 강화학습 알고리즘과 외부 해석프로그램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교량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AI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은 2경간 RC라멘교를 대상으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인터페이스 체계는 향후 최신 AI 및 타 형식의 교량설계 간 연계를 위한 기초기술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덕 함량이 더덕 침출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odeok Contents on the Quality of Deodeok Wine)

  • 권동진;최신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4-418
    • /
    • 2007
  • 더덕 함량을 10, 15 및 20% (w/v)로 달리하여 50% (v/v) 주정에 담아 밀봉한 후 상온에서 180일간 침출시킨 다음 더덕 침출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더덕 함량을 달리하여 상온에서 180일간 침출시킨 결과 총당은 더덕 함량이 많을수록 많은 양의 총당이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맛을 결정하는 환원당도 총당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더덕의 유효성분인 total polyphenol의 경우 더덕 함량이 많을수록 차이는 뚜렷하였으나 원료 더덕 중에 함유된 total polyphenol에 비해 적은 양이 용출되고 있었다. 관능적인 기호도의 측도인 노란색의 경우 더덕 함량이 20% (w/v)인 침출주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었고 crude saponin은 비교적 완만히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침출 100일경이 지나면서 급격히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더덕 침출주의 주세법 기준 항목인 불휘발성분의 경우 더덕 20% (w/v) 함유 침출주만이 침출 160일이 지나야 법적 기준치인 2.0% (w/v)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더덕 2.0% (w/v) 이상 필요하고 침출시간도 상온에서 160일 이상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기호도에서는 더덕 20% (w/v)이상 함유된 침출주에서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 더덕 함량을 20% (w/v) 이상 함유하여야 불휘발성분의 법적 기준인 2.0% (w/v)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품질이 우수한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 더덕 함량, 침출시간 및 온도 등의 침출방법을 결정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M 영상 역시 oxide island 들이 형성에 기인된 어떤 "Strawberry" 구조를 보여주었으나 정확하게 $Al_2O_3$ overlayer가 형성되었는지는 규명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800 K와 1000 K에서 $Ni_3Al(111)$ 합금표면위의 산소 상호작용결과 어떤 aluminum oxide overlayer의 island들이 성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q/g$이 검출되었다. 고방사능 폐수지의 평균 $^{14}C/^3H$비는 28로 저방사능 폐수지의 0.7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4}C$$^3H$의 농도는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밀리미터파 대역 딥러닝 기반 다중빔 전송링크 성능 예측기법 (Deep Learning-Based Prediction of the Quality of Multiple Concurrent Beams in mmWave Band)

  • 최준혁;김문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3-20
    • /
    • 2022
  • 차세대 와이파이 표준기술인 IEEE 802.11ay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AP (Access Point)가 다수의 STA (Station)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MU-MIMO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MU-MIMO 빔포밍 훈련을 수행해야 하고, 효율적인 빔포밍 훈련을 위해서는 AP가 다수의 안테나로 다수의 빔을 동시에 전송할 때, 각 STA에서 측정되는 신호 세기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다중 빔 전송링크 성능 예측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예측기법은 특정 실내 또는 실외 환경에서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다수의 빔이 동시에 전송될 때 STA에서 측정되는 신호 세기 예측의 정확성을 높인다. 이때, 딥러닝의 입력으로 개별 빔이 전송될 때 STA에서 측정되는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고, 개별 빔의 신호 세기 정보를 얻는 과정은 이미 기존의 빔포밍 훈련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보 수집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하지 않는다. 성능평가를 위해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 의해 개발된 Q-D 채널구현 (Quasi-Deterministic Channel Realization)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고 실측 데이터 기반으로 밀리미터파 채널을 구현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예측기법이 다른 비교기법보다 향상된 예측성능을 보였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조리실습교육용 앱 개발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Culinary Practic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11-51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조리실습교육용 앱을 제작 보급하는 것으로 2012년 7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진행되었고 App의 설계는 조리실습 교육 내용 중 서양요리에 대한 이론 내용과 만드는 방법, 실습 동영상, 평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해 공지사항과 관리자 문의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31가지 메뉴에 대한 메인요리사진 31개와 메뉴별 만드는 과정 사진 155개, 요리 레시피 31개, 요리 팁 31개, 평가 문항 372개, 요리 동영상 31개가 제작되었다. 제작된 콘텐츠는 사이트 http://kongju-fn.dslink.co.kr/super/index.html에 접속하여 직접 입력함으로써 App이 제작되도록 하였고, 이렇게 제작한 App을 'play store'에서 '요리박사'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조리실습교육용 App의 개발이 전무한 시점에 제작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실시간 장애물 회피 자동 조작을 위한 차량 동역학 기반의 강화학습 전략 (Reinforcement Learning Strategy for Automatic Control of Real-time Obstacle Avoidance based on Vehicle Dynamics)

  • 강동훈;봉재환;박주영;박신석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97-305
    • /
    • 2017
  • A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becomes realistic, many automobile manufacturers and components producers aim to develop 'completely autonomous driving'.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which has been applied in automobile recently, supports the driver in controlling lane maintenance, speed and direction in a single lane based on limited road environment. Although technologies of obstacles avoidance on the obstacle environment have been developed, they concentrates on simple obstacle avoidances, not considering the control of the actual vehicle in the real situation which makes drivers feel unsafe from the sudden change of the wheel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n order to develop the 'completely autonomous driving' automobile which perceiv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itself and operates, ability of the vehicle should be enhanced in a way human driver does. In this sense, this paper intends to establish a strategy with which autonomous vehicles behave human-friendly based on vehicle dynamics through the reinforcement learning that is based on Q-learning, a type of machine learning. The obstacle avoidance reinforcement learning proceeded in 5 simulations. The reward rule has been set in the experiment so that the car can learn by itself with recurring events, allowing the experiment to have the similar environment to the one when humans drive. Driving Simulator has been used to verify results of the reinforcement learning.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nable autonomous vehicles avoid obstacles in a human-friendly way when obstacles appear in their sight, using controlling methods that have previously been learned in various conditions through the reinforcement learning.

동물 영역 지식 기반의 지능형 정보 에이전트 (A Knowledge-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Agent for Animal Domain)

  • 이용현;오정욱;변영태
    • 인지과학
    • /
    • 제10권1호
    • /
    • pp.67-78
    • /
    • 1999
  • 네트워크의 기술 발달로 웹상의 정보 제공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기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를 위해서 키워드 정합 방식의 검색 엔진이 많이 개발 보급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담이 사용자에게 주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영역인 동문 분야에 대한 지식 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하고 해당 영역에 적절한 형태로 사용자 질이를 가공하고, 대용량의 다양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일을 해주는 지능적인 정보검색 대리자, 정보 에이전트(HIIA-la : Hongik Information Agent)를 제안한다. HIIA-la는 온톨로지 형태에 접근한 동물 관련 지식 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또는 다른 에이전트 시스템의 정보 요청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련 웹 문서 정보도 제공된다. 효율적인 웹 문서의 제공을 위하여 방대한 양의 웹 문서를 대상으로 동물 영역에 관련된 문서를 저장·색인하는 웹D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를 좀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연한 연사자로의 질의 확장을 하였으며, 축적된 처리 결과와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요소들을 포함하는 HIIA-la를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 PDF

지식공유기법을 활용한 학급 홈페이지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assroom Homepage Using Wiki)

  • 김유성;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2
    • /
    • 2006
  • 학생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와 자원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보를 선별하고, 지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남에게 전달하는 등 복합적인 지적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이 접하는 대부분의 학교, 학급 홈페이지는 정보만을 제공할 뿐, 학생들이 정보를 지식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미흡하다. 이는 학습자들이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비율을 낮추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지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식공유기법을 활용한 학급 홈페이지를 개발하였다. 이 홈페이지는 학생들이 지식공유를 할 수 있도록 위키식 지식공유기법과 질문답변식 지식공유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적용 결과, 학생들이 습득한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높아졌으며, 암묵지를 형식지로 바꾸는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을 공유 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홈페이지 접속율도 높아졌다.

  • PDF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cience Anxiety and Achivement)

  • 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41-358
    • /
    • 1993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stuents' science anxiety and achivement, and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the science anxiety by students' variables.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5,304 stuents were sampled from the popula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The researcher adopted R&D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SAMS(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and the SAT(science achivement test). The instrument SAMS consisted of 38-item scale. Cronbach a for SAMS was 0.92, concurrent validity was 0.66. SAT consist of 2O-item, the reliable coefficent of KR-20 was 0.70.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Product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 The tendency of science anxiety were analyzed Multi-way analysis of variance, and all hypotheses were evaluated as the significant level of 0.001.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ience anxiety and the achive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r=-O.24) in all grad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male;r=-Q.23. female=-O.22), but 11ths' humanities course and female of the science course didn't showed correlation. 3) The size of city where the school locate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the students anxiety(big city;-O27. medium;-O.24, small city;-O.22). 4) Tendency of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grades and sex variables was found t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ffects of interac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variables of grade and sex. sex and local, local and grade. The effects among three variables were formed to significant difference grade, sex and local.

  • PDF

I-세대의 어패럴캐드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활용 제안 (Apparel Pattern CAD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for I-Generation)

  • 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66-775
    • /
    • 2016
  •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unlimited competition, Korean universities need a breakthrough in their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ing education landscape, such as lower graduation requirements to cultivate more multi-talented convergence leaders. While each student has different learning capabilities, which results in differen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the same class, the uniform education that most universities are currently offering fails to accommodate such differences. Blended learning, synergically combining offline and online classes, enlarges learning space and enriches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diversified tools and materials, including multimedia. Recently,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video contents and on-offline convergence learning strategy. Thus, this study suggests a teaching method based on blended learning to more effectively teach existing pattern CAD and virtual CAD in the Apparel Pattern CAD clas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blended learning phase and video-based contents. The curriculum consisted of 2D CAD (SuperAlpha: Plus) and 3D CAD (CLO) software learning for 15 weeks. Then, it was 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operated for 15 weeks both online and offline. The performance analysis of LMS usage found that class materials, among online postings, were viewed the most. The discussion menu most accurately depicted students' participation, and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discussions were estimated to check postings less than participating students. A survey on the blended learning found that students prefer digital or more digitized classes, while preferring face to face for Q&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