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us pyrifori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7초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45-52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N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e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_2$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N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 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9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N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u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_2$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N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w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 PDF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109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H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u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a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H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 PDF

재래종 배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ultivars of Pear (Pyrus pyrifolia N.))

  • 박은령;최진호;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0-185
    • /
    • 2002
  • SDE 추출법과 GC/MS 분석방법으로 재래품종인 봉리, 황실리, 영목리 배를 시료로 하여 각각 72종, 59종, 6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ethyl acetate가 주요한 ester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다량의 ethanol과 acet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황실리와 영목리에서 다량 확인된 nonanoic acid는 봉리에 소량 함유되었으며, 봉리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 butyl acetate가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으나,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단지 $4{\sim}5$개의 ester류가 전체 향기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관능기로 분류하여 볼 때, 분리 동정된 성분들 중에서 봉리는 ester와 alcohol류, 황실리에서는 alcohol류 그리고 영목리에서는 ester, acid, alcohol류가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세 가지 재래품 종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서양배와 개량품종 배와도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봉리, 황실리, 영목리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069, 4.285, 6.552mg/kg을 차지하였다.

유기질 멀칭이 배 '신고' 나무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ulches on the Quality of "Niitaka" Pear Trees and Fruit)

  • 오수옥;김월수;최현석;조정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6-470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질 멀칭에 의해 배 '신고'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볏짚 멀칭은 엽중 칼륨, 마그네슘, 칼슘 함량을 높였지만 모두 적정농도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실의 경도는 참나무껍질에 의해 증가하였고 당도는 참나무껍질과 볏짚에 의해 증가하였다. 참나무 껍질은 가장 높은 당산비를 보였고 진한 붉은 계열의 과피색을 착색시켰다. 과실의 칼륨은 볏짚에서 칼슘은 참나무껍질에서 가장 높았으나, 두 무기성분간의 과실 내 흡수에 있어서 길항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과실 품질을 향상시켰던 유기질 멀칭 자재인 참나무껍질과 볏짚은 석세포 함량을 감소시켰고 유기질이 투입되지 않는 폴리에틸렌은 대조구와 비슷한 석세포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과원 내 유기질이 투입된 멀칭 시용은 과실 품질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고 과실의 씹힘성을 저해하는 석세포를 감소시켜서 과실의 품질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 과수원에서 오차드그라스와 여러 종류의 클로버 혼파에 따른 녹비작물의 양분공급량 추정 (Estimated Nutrient Production in Green Manure Crops as Affected by Seeding of Orchardgrass and Various Clovers in a Pear Orchard)

  • 임경호;김월수;최현석;황인택;이진우;이유석;최경주;이연;송장훈;조영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3-55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ent production of both orchardgrass and several clovers as a green manure in a 'Niitaka' pear (Pyrus pyriforia) orchar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iligent farmer in Boseong in Chonnam on March 26 of 2010, and the treatments included; 1) orchard grass (2.0kg/$1,000m^2$), 2) orchard grass (1.0kg/$1,000m^2$)+ladino clover (1.0 kg/$1,000m^2$), 3) orchard grass (1.0kg/$1,000m^2$)+red clover (1.0kg/$1,000m^2$), and 4) orchard grass (1.0kg/$1,000m^2$) +white clover (1.0kg/$1,000m^2$). Lengths of orchardgrass and clovers were greater in July than those of June and September. Seeding of orchardgrass without clovers in June and July increased dry weight of green manure crops compared with the seeding of orchardgrass with clovers, resulting in greater annual total dry weight. Various green manure treatments produced different amounts of total N and $P_2O_5$ from each raw materials and did not satisfy amounts of those nutrients for proper annual growth of ten- to twelve-year-old pear tree. Amounts of $K_2O$ producing from green manures, however, satisfied for proper growth of the pear trees.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원의 토양과 엽과 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Application on Soil Properties and Leaf and Bud Characteristics of Pear Trees in Orchard Farms)

  • 이재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7-575
    • /
    • 2009
  • 본 실험은 미생물이 포함되어있는 환경 친화적인 상업용 유기질비료(compost)를 2년 동안시용함으로서, 토양 내 화학성과 '신고' 배 수체생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판된 유기질 비료 처리는 토양 내 미생물생체량과 토양 pH, 유기물함량, 그리고 양이온 치환용량을 관행재배 구에 비해서 증가시켰다. 유기질 비료 처리에 의해 개선된 토양환경은 엽 내 무기성분 함량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엽 두께를 증가키시고, 엽과 꽃눈 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배 수체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육상에서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의 과실먹이 섭식행동 (Fruit Dieting Behavior of Black-billed Magpies, Azure-winged Magpies, and Brown-eared Bulbuls in the Cage)

  • 송장훈;신길호;조영식;박장현;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85-89
    • /
    • 2012
  • 조류 종별로 과수원의 과실을 가해하는 행동 특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조류별로 특징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까치는 부리로 과피를 수직으로 쪼며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큐티클층에 부리가 미끄러진 흔적과 과실 내부에 주머니 모양으로 원형 흔적을 남겼다. 봉지재배를 하는 배와 사과 과실은 조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섭식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까치의 경우 봉지의 존재 여부를 떠나 과실을 가해 할 수 있으나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건전한 봉지로 씌워져 있을 경우 가해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육상 시험에서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온주밀감과 사과 과실보다는 배 과실을 더 선호하였다. 물까치와 직박구리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봉지재배를 하는 과실의 경우 봉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주지역에 물까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서 감귤 과실피해를 막아야 한다.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Quality of 2-Year Compost Application in a Conventionally Managed Pear Orchard)

  • 이재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7-320
    • /
    • 2009
  •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compost)를 이용하여 추석에 조기 출하되는 신고배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년 동안의 compost 처리가 과일에 미치는 영향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Hunter L값과 a값이 높은 경향을 보여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더 익은 것처럼 보였고, 더 당도가 상승하고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과실의 조기성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유기질 비료는 과실내 석세포 함량을 줄였고 칼슘함량을 높여서, 과실의 육질을 부드럽게 개선시킴으로써, 조기 출하되는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Fruit Quality in a Pear Orchard)

  • 이웅;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5-310
    • /
    • 2009
  •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페놀화합물 함량도 과피와 과육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과육보다 6배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화학비료를 대체한 유기질 비료의 시용으로 배 과실내 석세포 감소와 품질 특성의 향상과 총 페놀함량 증가 및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