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rol-3-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1,3-Acetonedicarboxylic acid와 2,5-dimethoxytetrahydrofuran에 의한 diamine들의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ctions of Diamines with 2,5-Dimethoxytetrahydrofuran and 1,3-Acetonedicarboxylic Acid)

  • 정대일;송주현;이도훈;이용균;최순규;박유미;한정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6-212
    • /
    • 2006
  • 본 연구를 통해 항 경련 활성을 보이는 8-aza-bicyclo[3,2,1]octan-3-one 구조를 모체로 하여 생리활성 및 구조적 특이성을 가진 8-aza-bicyclo[3,2,1]octan-3-one 화합물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ethylenediamine 1을 2,5-dimethoxyte-trahydrofuran과 1,3-acetonedicarboxylic acid을 반응시켜 8-(2-pyrrol-1-yl-ethyl)-8-aza-bicyclo[3,2,1]octan-3-one 2(yield ; 5.0%)와 1,2-di-8-aza-bicyclo[3,2,1]octan-3-onyl)ethane 3(yield ; 17.0%)을 합성하였다. 1,3diaminopropane 4의 경우에는, 8-(3-pyrrol-1-yl-propyl)-8-aza-bicyclo[3,2,1]octan-3-one 5(yield ; 6.0%)와 1,3-di-8-aza-bicyclo[3,2,1]octan-3-onyl)propane 6 (yield; 21.0%)을, 그리고 1,8-diaminooctane 7의 경우에는 8-(-8-pyrrol-1-yl-octyl)-8-aza-bicyclo[3,2,1]octan-3-one 8(yield; 2.6%)과 1,8-di-8-aza-bicyclo[3,2,1]octan-3-onyl)octane 9(yield; 24.9%)를 합성할 수 있었다. Diaminoalkanes(1,.4, 7)의 반응에서 보면 실온에서 반응을 진행시켰기에 pyrrole 유도체보다는 8-aza-bicyclo[3,2,1]octan-3-one 유도체의 합성이 보다 유리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탄소 chain이 길수록 N 원자에 전자를 잘 밀어주어 활성이 더 좋았으며 탄소 steric effect도 작기 때문에 생성물의 yield가 더 높았다. Diaminobenzene(10, 14) 역시 diaminoalkane의 반응과 같이 p-phenylenediamine 10을 2,5-dimethoxytetrahydrofuran, 그리고 1,3-acetonedicarboxylic acid과 반응시켜 p-dipyrrolylbenzene 11(yield; 4.0%), 8-(4-pyrrol-1-yl-phenyl)-8-aza-bicyclo[3,2,1]octan-3-one 12(yield; 12.0%), 1,4-di-(8-aza-bicyclo[3,2,1]octan-3-onyl)-benzene 13(yield; 59.0%)을 합성하였고, m-phynylenediamine 14의 경우에도 8-(3-pyrrol-l-yl-phenyl)-8-aza-bicyclo[3,2,1]octan-3-one 15(yield; 2.0%)와 1,3-di-(8-aza-bicyclo[3,2,1]octan-3-onyl)-benzene 16(yield; 28.0%)을 합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o-phynylenediamine 17의 경우에는 8-aza-bicyclo[3,2,1]octan-3-one ring들의 steric hindrance의 영향에 의해 1,3-di-8-aza-bicyclo[3,2,1]octan-3-onyl)benzene은 합성되지 않았다.

N,N'-bis(3-pyrrol-1-yl-propyl)-4,4'-bipyridinium이온의 산화-환원 고분자 피막에 대한 전기화학 (Electrochemistry for Redox Polymer Film of N,N'-bis(3-pyrrol-1-yl-propyl)-4,4'-bipyridinium Ion)

  • 차성극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6-14
    • /
    • 2001
  • 단량체인 N,N'-bis(3-pyrrol-1-yl-propyl)-4,4'-bipyridinium$(PF_6^-)_2$를 유리탄소전극 상에 전기화학적으로 중합하였다. 이 고분자 피막전극의 전기화학적 활성자리는 고분자 줄기에 분포된 bipyridinium이온이다. 이 전극은 인산염 완충용액(pH=5.7)에서 두 개의 산화-환원 쌍을 갖으며 그 형식전위는 각각 -0.41V와 -0.81V(vs. SSCE)였다. 이 고분자 피막 내에서 도판트 이온의 확산계수는 $V^{2+/+}$$V^{+/0}$ 단계에서 $1.57{\times}10^{-4}$$4.35{\times}10^{-5}cm^2s^{-1}$이였다. 환원과정보다 산화과정이 어려운 결과로 나타났다. 고분자 피막 내에서 전자전달 속도상수는 각 단계에서 각각 57.53과 $2.63 s^{-1}$으로 첫째 단계가 22배나 큰 값을 보이고 있다. 이 피막의 전자전달 저항은 적용된 전해질의 양이온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LiClO_4,\; NaClO_4,\;KClO_4$ 및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도판트이온으로 작용하는 $ClO_4^-$$PO_4^{3-}$ 이외에 이들의 대이온의 영향도 받아서 그 값이 각각 22.63, 16.81, 12.44 및 $11.36 k{\Omega}$로 크게 차이가 났다. EQCM에 의한 전기화학적 중합반응의 속도상수 값은 일차 반응으로 초기에 $1.31{\times}10^{-1}s^{-1}$였다. 이와 같이 $PO_4^{3-}$이 도판트인 G.C./p-BPB형의 전극이 CV과정에서 안정하고 20회 이상 사용이 가능하며 재현성이 뛰어나다.

  • PDF

수식된 N,N'-bis(2-pyrrol-1-yl-propyl)-4,4'-bipyridine 고분자 피막전극의 산화-환원 특성 (Redox Properties of Modified Poly-N,N'-bis(2-pyrrol-1-yl-propyl)-4,4'-Bipyridine Film Electrode)

  • 차성극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29-435
    • /
    • 2001
  • 단량체인 N,N'-bis(2-pyrrol-1-yl-propyl)-4,4'-bipyridine(bpb)을 유리탄소전극 상에 전기화학적으로 중합한 고분자 피막전극을 erichrome black T(EBT) 와 glutathione(GSSG)의 1:1 용액으로 수식하여 GC/poly-bpb, EBT, GSSG형의 전극을 제작하고 이로써 Zn(II)을 포집한 전극을 제작하였다. 수식된 피막 내에서 이온의 확산계수는 아연이온이 포집되기 전후에 각각 2.43${\times}10^{-15}$과 9.14${\times}10^{-15}cm^2s^{-1}$으로 피막내의 전기화학적 활성자리에서 이탈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전극이다. 중합된 bpb의 양이 2.83${\times}10^4gmol^{-1}$에 대하여 1.17${\times}10^4gmol^{-1}$의 아연이온이 포집되었다. 이들 중에 산화-환원 과정에서 회합/해리에 관여하는 이온은 포집된 180개의 이온들 중에서 81.7%였다. 이는 EBT 만으로 수식된 전극에서 보다 3배정도 큰 값이다.

  • PDF

Reactions of Some Furan-3-ones with 2,3-Diaminopyridine and its Derivatives

  • Sacmacl, Mustafa;Bolukbasl, Hilal;Sahin, Ert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90-94
    • /
    • 2012
  • The furan-2-ylidene acetates (3a-d), obtained from the furan-2,3-diones (1a-b) and methyl/ethyl (triphenylphosphoranylidene)-acetates (2a-b), were converted via the Michael type reactions with 2,3-diaminopyridine and its derivatives (4a-c) into the corresponding pyrrol-2-ylidene-acetates (5a-j) in moderate yields (45-94%).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the IR, NMR, elemental analysis, and X-ray diffraction method.

기능성 전극의 전기촉매로의 응용-Poly-MePMP+BF4-/Ferri-Ferri-ferrocyanide/Ascorbic Acid계 (Chemically Modified Electrodes and Their Applications to Electrocatalysis-Poly-MePMP+BF4-/Ferri-ferrocyanide/Ascorbic Acid System)

  • 장동훈;오승모
    • 공업화학
    • /
    • 제3권1호
    • /
    • pp.138-147
    • /
    • 1992
  • 기능성 전극(chemically modified electrodes)을 이용한 전기촉매반응을 조사하였다. 고분자 지지체로서 음이온 교환이 가능한 poly-[1-methyl-3-(pyrrol-1-ylmethyl) pyridinium]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정전류 방법으로 직접 전극표면에 중합시켰다. 전극표면에 코팅되는 필름의 두께는 중합시 전체 전하량으로 조절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고, 필름의 두께와 전하량과의 직선관계를 조사하였다. 전기촉매반응에 활성을 갖는 ferro/ferricyanide 이온은 빠른속도로 이온교환이 가능하였으며, 이온교환되는 양은 cyclic voltammetry 실험 결과 1.2~1.3M이었다. 필름내에 존재하는 ferro/ferricyanide 이온이 ascorbic acid 산화반응의 매개체임을 cyclic votammetry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고, RDE 실험을 통하여 반응속도론적 파라미터를 규명하였는데 본 실험의 조건에서 Saveant 등의 모델 중 ER+S에 해당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적인 모델인 R+S가 되기 위하여 기능성 전극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

디젤엔진에 있어서 연료의 성분이 아산화질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el component on nitrous oxid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esel engine)

  • 유동훈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9호
    • /
    • pp.1045-1050
    • /
    • 2014
  • 아산화질소($N_2O$, Nitrous Oxide)는 이산화탄소($CO_2$, Carbon Oxide), 메탄($CH_4$, Metane)이어 세 번째로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N_2O$의 지구온난화 계수는 대기 중에서 안정하고, 성층권에서 광분해 된 후 이차적인 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CO_2$의 310배에 이른다. $N_2O$의 생성에 대한 조사는 보일러와 같은 연속적인 연소를 갖는 동력원에 대하여 몇몇의 연구자들에 의한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디젤엔진에 있어서 연료의 성분이 $N_2O$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는 실시되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디젤엔진에서 연료 중에 질소와 황 농도에 의해 변화되는 $N_2O$ 배출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엔진은 12kW/2400rpm의 4행정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이고, 실험엔진의 운전조건은 75% 부하에서 이루어졌다. 연료 중의 질소와 황 농도는 Pyridine, Indole, Quinoline, Pyrrol, Propionitrile, Di-tert-butyl-disulfide의 6 종류 첨가제를 사용하여 증가시켰다. 결과에 의하면, 질소성분 0.3% 이하를 갖는 디젤연료는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와 관계없이 $N_2O$ 배출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연료 중 황 첨가제의 증가는 배기가스 중의 $N_2O$ 농도를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