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ligneous Acid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4초

목초액 처리가 돈분 퇴비화 과정중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th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of Pyroligneous Acid Liquor)

  • 이종은;장기운;이종진;황준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유기성폐자 원인 목초액을 농 축산분야의 적용과 활용성 평가를 위해 돈분퇴비화 과정 중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저감효과를 조사하여 그 이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 가스의 분석결과 목초액을 처리한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 초기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이 관행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목초액 처리구에서는 약 18일 이후부터는 측정되지 않았다. 반면, 관행구에서는 보다 오랫동안 나타났으며 약 25일후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달관적인 조사를 통하여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는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 냄새의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초액내에 함유된 초산성분에 의한 암모니아의 중화반응과 탄화된 목재의 특유의 향으로부터 가려지는 가리움효과(eclipsed effect)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휘발성 유기산의 발생량을 GC를 통해 분석한 결과 PA-1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휘발성 유기산 중에서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propionic acid와 butyric acid는 PA-100 > PA-300 > 관행구 순으로 퇴비화 과정중 감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acetic acid는 관행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목초액의 주성분인의 하나인 초산(acetic acid)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료 내 목초액의 첨가가 토종닭의 생산성, 혈액성상,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및 가슴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 Ammonia Gas Emiss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Korean Native Chicken)

  • 심관섭;지중룡;나종삼;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7-213
    • /
    • 2010
  • 본 시험은 목초액이 토종닭 한협 3호의 생산성, 유해 가스 발생량, 혈액 성상 그리고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종닭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70일 동안 급여하였다. 목초액은 0, 0.1, 0.2%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씩 총 240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목초액은 생산성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혈중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농도에 있어서는 목초액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p<0.05). 가슴육의 포화지방산인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목초액을 급여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목초액은 유해 가스 저감 효과가 있으며, 토종닭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개선시키고, 가슴육의 포화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고 단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 탄화물이 넙치의 생육 및 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od Carbonization Product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안병준;조성택;조태수;정관식;지승철
    • 임산에너지
    • /
    • 제23권2호
    • /
    • pp.34-43
    • /
    • 2004
  • 목탄, 목초액 및 목초탄(목탄80/목초액20)의 사료첨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국내 주요 양식어종인 넙치의 생장 및 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첨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목탄, 목초액 및 목초탄 모두 생장 개선효과를 보였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목탄, 목초탄 첨가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목초액은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액성상은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모두 높았으며, 특히 목초탄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건강한 어류를 생산하였다. 폐사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목초액 첨가구와 목초탄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한편 회복 소요시간은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빨랐으며, 목초탄 첨가구가 가장 빠른 회복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목초탄 첨가구는 생장뿐만 아니라 넙치의 건강도와 활력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넙치의 생장과 면역력의 개선을 위해서는 목초액과 목탄이 혼합된 목초탄 첨가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ti-stress effect of Hervchoke juice in ICR mice and SD rats

  • Lee, Blendyl T.;Jeong, Seung-Hwa;Cheong, Chae-Hoon;Yang, Sung-Jin;Cheong, Jae-H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8-68
    • /
    • 2003
  • Herbchoke solution produced by Choa pharmaceutical company contained pyroligneous liquid and extracts from artichoke leaves. Pyroligneous liquid is produced by process carbonizing Oak in 350∼400$^{\circ}C$. It contain water 96%, acetic acid 3% and organic compound 1%. There are 200 kinds of constituents including minerals, vitamin B-complex and organic acids in it. The organic acids of them were presumed as active materials. It is tradi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stress related disorder, hepatic disease, immune disorder, G-I disorder and inflammatory disease. Extracts from artichoke leaves are tradi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stress related disorder, that is, hepatic disease, dyspeptic disorder, hyperlipidemic disorder and diuretic disord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stress effects of Hervchoke juice produced from Choa pharmaceutical company.

  • PDF

목초액유기산을 사용한 김의 성장률 평가 (Evaluation of Laver Growth Rate using Pyroligneous Acid)

  • 김우항;조성택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5-108
    • /
    • 2004
  • Organic acid is made with carbonized organic acid that is produced from charcoal burning process. It is evaluated whether carbonized organic acid is able to removed Enteromorpha in the laboratory and Porphra aquaculture farm test. The optimum condition for Enteromorpha removal are revealed ten times dilution and ten second immersion. The mortality rate of Enteromorpha is $95\%$ and diatom-detaching rate is $100\%$ by the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mortality rate of Porphra is lower than $5%\$. It was measured that nitrogen was 0.175 mg/l and phosphorus was 0.0158 mg/l. Therefore, Concentration of nutrients were lower than being necessary to Porphra growth. Growth rate of Porphra was $12\%$ increased by organic acid treatment with carbonized organic acid added nutrient.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탄화장치 개발에 의한 쑥(Artemisia asiatica) 탄화 유기용액(쑥초액)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rtemisia asiatica Carbonized Organic Solution(Wormwood Acetic Acid) by Development of Carbonize Equipment)

  • Ryu, Soung-Ryual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5-22
    • /
    • 2011
  • In this study,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that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and outside medicinal agents by burning artemisia species such as Artemisia dubia wall, Artemisia capillaris Thunb,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Artemisia keiskeana Miq, Leonurus Japonicus Houtt. etc. In addition, edibility of recovered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ingredient with common refined pyroligneous liquid through the analysis of 9 kinds of organic acid by the species of artemisia, methanol and ethanol. Besides, the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n six kinds of food spoilage and food poisoning bacteria observed by paper disc method for liquid with carbonized artemisia indicated that those two liquid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t the concentration of 1.5 mg/disc, clear zone for S. sonnei and S. aureus, L. monocytogenes was 13~16 mm, and they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other strain.

배추 재배 시 목초액에 의한 요소 가수분해 지연을 통한 질소비료 절감 효과 (Reduced use of nitrogen fertilizer through retarded hydrolysis of urea by pyroligneous acid fo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 이주경;박현준;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1호
    • /
    • pp.1-6
    • /
    • 2022
  • 요소는 가장 보편적인 질소비료 중 하나인데 빠른 가수분해와 환경으로의 질소 손실로 인해 작물에 질소 이용효율이 낮다. 따라서 요소 비료에서 질소 방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요소에서 과도한 질소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 목초액을 처리하였다. 목초액의 유효성분은 목초액을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해 암모늄태 질소의 추출량을 79.7% 감소시켜 토양에서 요소의 암모니아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초액이 요소의 시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요소와 목초액을 처리한 토양에서 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를 각각 포트와 포장에서 재배하였다. 목초액을 요소와 같이 처리했을 때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요소량의 반을 사용하였으며 관행과 비교하여 유사한 배추 생체중을 보였다. 배추의 질소 함량은 목초액 처리구에서 낮아 배추가 질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요소를 목초액의 유효성분과 같이 처리하면 시비량과 시비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료내 목초탄 첨가가 비육돈의 비육능력, 지방산 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ogchotan Supplementation on Fattening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Pigs)

  • 김종민;안병준;조태수;조성택;최돈하;황성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1-412
    • /
    • 2005
  • 목초탄을 0, 1.0, 2.0 및 3.0% 수준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2003년 7월 10일부터 2003년 9월 20일까지 70일간 Yorkshire 거세돈 80두를 시험동물로 공시하여 비육능력, 사료이용성, 근내지방의 지방산 조성 및 육질평가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증체량을 보면 22.37, 33.53, 32.94 및 32.81kg으로 목초탄 첨가구가 유의하게(P<0.05) 높았으며, 1kg의 증체에 소요된 사료요구량을 보면 각각 8.10, 5.45, 5.55 및 5.55 순으로 목초탄 첨가구가 대조군에 비해 사료효율이 유의하게(P<0.01) 증가하였다. 2. 근내지방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C16:0의 함량은 목초탄 첨가구가 무침가구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C16:1, C18:0, C18:1, C18:2 및 C18:3 등의 함량은 목초탄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포화도에 따른 변화를 보면 포화지방산은 목초탄 첨가구가 무침가구에 비하여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목초탄 첨가구가 무침가구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다가불포화지방산은 목초란 첨가구가 무침가구에 비하여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돈육의 pH의 변화를 보면 목초탄 첨가구가 무침가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보수력은 목초탄 3.0% 첨가구가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가열감량과 육색 L값(색의 밝기)도 목초탄 3.0% 첨가구가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 a와 b값은 목초탄 첨가구와 무침가구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료 내 $1{\sim}3%$의 목초탄 첨가는 비육돈의 비육성적 및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 사료첨가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시사되었다.im}250{\mu}m$는 38.1개 정도, $45{\sim}106{\mu}m$는 110개 정도인 것으로 계수되었다. 뿌리에서 균근감염 양상을 보면 vesicle 17%, hyphae 6%등으로서 총 23%정도의 균근 감염율을 보였다. 그러나 arbuscule에 의한 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된 폐기물에 의한 해양환경의 영향평가 및 대책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제품디자인 뿐만이 아닌 다른 다양한 분야들에게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디자인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즉, 제품디자인의 결정요인 분석결과는 QFD의 접근방법에, 제품 디자인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컨조인트 분석에 각각 보완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증적 분석결과는 Ettlie(1997)의 디자인 통합(DI) 이론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DM)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처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CFT(cross-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 PDF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 혼합물을 처리한 토양 침출수의 양분용출 패턴 (Major plant nutrient-releasing patterns in the leachates from the soil incorporated rice hull biochar adjusted pH with dry fish powder)

  • 최재이;이동건;김민정;남주희;심창기;홍승길;신중두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55-6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차를 미생물 담체로 활용하기 위해 pH 조절제로서 구연산과 목초액을 각각 처리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을 혼합한 토양 침출수의 양분 용출 패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왕겨 바이오차 pH 6.0~7.0와 어분을 혼합비(4:6)로 조제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는 산도를 조절하지 않은 바이오차 처리한 토양을 대조구(RB+DF), 목초액으로 산도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의 혼합물(RBP+DF)을 처리한 토양, 구연산으로 산도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의 혼합물(RBC+DF)을 처리한 토양 3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을 혼합한 토양 침출수 중에 NH4-N, NO3-N, PO4-P, K의 농도를 분광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RBC+DF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 중에 NH4-N와 PO4-P 누적함량은 가장 높았고, 또한 RBP+DF를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NO3-N와 K의 누적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NH4-N와 PO4-P는 구연산으로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를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NO3-N와 K는 목초액으로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각각 흡착능이 낮아 더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미생물 담체로서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의 시용에 따른 작물 생육 반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