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loric caec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Isolation of a starfish myorelaxant peptide (SMP) isotype from the pyloric caeca of Patiria pectinifera

  • Kubarova, Anastasia;Go, Hye-Jin;Park, Nam G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163-170
    • /
    • 2021
  • Peptides are naturally occurring biological molecules that are found in all living organisms. These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play a key role i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extraction and the purification of bioactive materials that induce relaxation of an apical muscle from the pyloric caeca of Patiria pectinifera. The acidified pyloric caeca extract was partially separated by the solid phase extraction using a stepwise gradient on Sep-Pak C18 cartridge. Among the fractions, materials eluted with 60% methanol/0.1% trifluoroacetic acid was put a thorough of a series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teps to isolate a neuropeptide with relaxation activity. The purified compound was eluted at 28% acetonitrile in 0.1% trifluoroacetic acid with retention time of 25.8 min on the CAPCELL-PAK C18 reversed-phase column.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peptide, LC-MS and Edman degradation method were used, respectively.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peptide was determined to be FGMGGAYDPLSAGFTD which corresponded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a starfish myorelaxant peptide (SMP) isotype (SMPb) found in the cDNA sequence encoding SMPa and its isotypes. In this study, a muscle relaxant neuropeptide (SMPb) has been isolated from pyloric caeca of starfish P. pectinifer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MPb isolation on the protein level from P. pectinifera.

별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의 유문맹낭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2종류의 항균활성 펩타이드의 정제 (Purification of Two Nove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Pyloric Caeca of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 고혜진;배윤정;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60-864
    • /
    • 2014
  •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의 유문 맹낭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항균활성 펩타이드를 정제하기 위해서 유문 맹낭 추출물을 역상 HPLC와 이온 HPLC column에 주입하였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2개의 새로운 펩타이드가 유문 맹낭 추출물로부터 정제되었다. 이러한 물질들은 Pyloric caeca Asterina pectinifera peptides (PAP-1와 PAP-2)라 명명하였다. 정제한 물질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분자량 및 아미노산 서열 분석은 MALDI-TOF 질량분석기와 에드만 분해법으로 조사하였다. PAP-1과 PAP-2의 분자량은 각각 약 2952 Da 및 2980 Da이었다. PAP-1과 PAP-2의 부분적인 N-말단 서열은 다음과 같다. PAP-1, AIQNAGES; PAP-2, AIQNAAES. PAP-2는 PAP-1의 6번째 위치(glycine or alanine)에서 한 잔기만 다른 isoform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항균활성 펩타이드와의 분자량 및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이들 물질들은 다른 물질들과 동일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발견은 PAP-1과 PAP-2가 별불가사리의 유문맹낭의 선천성 방어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어류의 장기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1. 고등어 유문수조직으로부터 3종의 알칼리성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리${\cdot}$정제 (The Proteinase Distributed in the Intestinal Organs of Fish 1. Purification of the Three Alkaline Proteinases from the Pyloric Caeca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변재형;김형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6
    • /
    • 1986
  • 고등어 유문수조직중에 분포하는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정제조건을 검토하고 염석, DEAE-Sephadex A-5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Sephadex G-100 겔 여과에 의해 3종류의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분리${\cdot}$정제방법을 확립하였다. 유문수조직중에 분포하는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추출용매는 $1\%$ NaCl 용액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제된 가칭 Enz, A, B 및 C의 각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는 전기영동적으로 균질함이 증명되었으며, 조효소에 비해 고유활성이 Enz. A는 34배, B는 53배 그리고 C는 37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각 효소의 수율은 조효소에 대해 $1.6\%,\;2.1\%$$1.5\%$였고, 총수율은 $5.2\%$였다.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 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II. 성체 소화관의 미세구조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Teleostei: Scorpaenidae) - III. Ultrastructure of the Adult Digestive Tract)

  • 진평;이정식;신윤경;김학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1998
  • 조피볼락의 소화관은 인두,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10~11개의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다. 유문수는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하며 바나나 형태의 맹낭을 형성하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1.56(n=10)이다. 식도의 근육층은 바깥쪽의 앓은 종주근층과 안쪽의 두꺼운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상피층은 정단부에 짧은 미세융모를 가진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수의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근육층은 종주근, 사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선의 주세포는 관상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분비과립을 가지지만, 부세포는 소형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액포를 가진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상피층은 주로 원주상피세포, rodlet cell 그리고 dark cell로 구성된다. 흡수기능을 가진 원주세포들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 물질, 음작용포 그리고 다포체를 가진다. Rodlet cell은 발달된 cytoplasmic capsule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다. Dark cell의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미토콘드리아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원주상피세포는 세포연접이 발달되어 있고, 상부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세융모의 내부에서는 세포질에서부터 시작된 actin filament를 관찰할 수 있다. 장 상피의 미세융모는 유문수의 미세융모 보다 길며, 배상세포의 수도 정상피에 더 많다.

  • PDF

Ontogenetic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System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 Park, Su-Jin;Lee, So-Gwang;Gwak, Woo-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301-309
    • /
    • 2015
  •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were reared from hatching to 35 days after hatching (DAH),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digestive systems was histologically investigated. The larvae were initially fed on rotifers and Artemia nauplii starting around 19 DAH, and thereafter on Artemia nauplii, fish eggs, and a formulated feed mixture. The primitive digestive system differentiated at 3 DAH; the digestive tract was distinctively divided into the buccopharyngeal cavity, esophagus, stomach, air bladder, intestines, and rectum. The gastric gland and pyloric caeca first appeared at 5 and 7 DAH, respectively. The stomach was divided into cardiac, fundic, and pyloric regions in the preflexion phase. The number of gastric glands and pyloric caeca, as well as the volume of the gastric blind sac increased markedly, with development continuing into the juvenile stage. The precocious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system during the larval period might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piscivory, which is able to support high growth potential. The organogenesis results obtained for this precocial species represent a useful tool to aid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requirements of larvae and juveniles to ensure optimal welfare and growth under aquaculture conditions, which will improve current rearing practices of this scombrid species.

The Proteinase Distributed in the Intestinal Organs of Fish 3. Purification and Some Enzymatic Properties of the Alkaline Proteinases from the Pyloric Caeca of Skipjack, Katsuwonus vagans

  • PYEUN Jae-Hyeung;KIM Hyeung-Rak;HEU Min-Soo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6
    • /
    • 1988
  •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alkaline proteinases in the pyloric caeca of skipjack, Katsuwonus vagans, were investigated. Four alkaline proteinases, temporarily designated proteinases I, II, III and IV, were identified from the tissue extract of the pyloric caeca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Sephadex A-50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00 and G-200 gel filtration. Result of disc-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purified proteinases II and III were homogenous with the yields of $1.5\%\;and\;1.2\%$, and those specific activities were increased to 33 to 37 fold over that of the crude enzyme solution, respectively. Molecular weight of the proteinases II and III determined by sephadex G-100 gel filtration were 28,500 and 24,200, respective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caseinolytic activity of the two enzymes were pH 9.6 and $48^{\circ}C$. The reaction rates of the two alkaline proteinases were constant to the reaction time to 80 min in the reaction mixture of $3.4{\mu}g/ml$ of enzyme concentration and $2\%$ casein solution. The Km values against casein substrat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Lineweaver-Burk were $0.56\%$ for proteinase II and $0.30\%$ for proteinase II. The proteinases II and III were inactivated under the presence of $Ag^+,\;Hg^{2+},\;Ni{2+},\;Fe^{2+},\;and\;Cu^{2+}$, and but activated by $Mn^{2+}\;and\;Ca^{2+}$ and markedly inhibited by the soybean trypsin inhibitor and N-p-toluenesulfonyl-L-lysine chloromethyl ketone. Therefore, the proteinases II and III were found to be a group of serine proteases and assured to be trypsin-like proteinases.

  • PDF

참치 유래 조효소를 이용한 민태(Johnius belengeri) Frame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회수 및 그 기능성 (Recovery of Protein Hydrolysate from Hoki (Johnius belengeri) Frame with Tuna Pyloric Caeca Crude Enzyme and Its Functionalities)

  • 전유진;이병조;변희국;김종배;김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49-57
    • /
    • 1999
  • 어류 중 수산가공공장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민태(hoki, Johnius belengeri)의 부산물인 frame으로부터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자, 참치 내장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키고, 여기서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에 함유되어 있는 펩티드를 분자량에 따라 분획한 후 각각의 가분해물에 대하여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치 유문수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tuna pyloric caeca crude enzyme: TPCCE)를 이용한 경우, 민태 frame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pH 10.0, 반응온도 $50^{\circ}C$ 및 기질농도 0.4%, 기질 대 효소비 100 : 1(w/w), 반응시간 12시간이었다. 최적 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민태 frame 단백질을 TPCCE로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수율은 약 77%(건조중량 기준)였다. 가수분해물을 4종류의 한외여과막(MWCO 30, 10, 5 및 1 K)을 이용하여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4종류로 분획하여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용해도는 분자량이 낮은 1 K 가수분해물이, 유화성과 포말성은 분자량인 높은 30 K와 10 K가수분해물이 우수하였다.

  • PDF

혈합육어의 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 2. 고등어와 정어리 장기조직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비교 (Proteolytic Enzymes Distributed in the Tissues of Dark Fleshed Fish 2. Comparison of the Proteolytic Activity of the Tissue Extract from the Internal Organs of Mackerel and Sardine)

  • 김형낙;변재형;조진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1-528
    • /
    • 1986
  • 고등어와 정어리의 각 장기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활성조건을 분석${\cdot}$비교하고, 열안정성과 저온저장중의 활성의 변화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등어와 정어리의 각 장기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추출하여 pH에 따른 단백질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소화관, 췌장, 유문수 및 비장은 알칼리성에서, 위는 산성에서, 그리고 간은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의 세 영역에서 각각 단백질분해능이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소화기관인 위, 췌장, 및 유문수에서 추출한 조효소는 활성이 높았으나, 간 및 비장에서 추출한 조효소는 활성이 아주 낮았다. 2. 각 장기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열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두 어종의 위와 유문수 및 정어리의 췌장에서 추출한 효소의 내열성이 가장 약했으며, 비장과 간에서 추출한 중성단백질분해효소는 내열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각 장기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저장성을 검토한 결과. $5^{\circ}C$ 저장시 두 어종의 유문수와 고등어의 췌장${\cdot}$위 및 비장에서 추출한 효소는 안정성이 높았으며, 그 이외의 조직에서 추出한 효소는 저장 28일까지 많은 실활이 일어났다. 또한 방부제 sodium azide에 의한 영향은 어종과 조직에 따라 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5^{\circ}C$에서 저장한 경우가 $5^{\circ}C$에 저장한 경우보다 효소의 실활이 더욱 컸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2-648
    • /
    • 1999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어의 Vitamin A 분포(分布) 및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에 대하여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Oil Content and Vitamin A Distribution of Mackerel Caught in Korea)

  • 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15-24
    • /
    • 1965
  • 건착망(巾着網)에 의(依)해, 어획(漁獲)된 한국산(韓國産) 고등어(중형(中型)) 제장기(諸臟器)의 vitamin A 농도(濃度) 및 분포(分布)의 시기(時期)적(的)변화(變化)와 내장유성상(內臟油性狀)을 어기중(漁期中)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식선발달(生殖腺發達) 최성기(最盛期)라고 생각되는, 6월초순(月初旬)에 간장중량(肝臟重量)도 급격히 증가(增加)하여, 최고(最高)에 달(達)했는데 이는 영양(榮養) 및 생리적(生理的)인 현상(現象)으로서, 산란기(産卵期)의 체내(體內) 에너지 평형상태(平衡狀態)를 바로잡기 원해 간장실질(肝臟實質)이 급히 증량(增量)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2. 간유(肝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자웅(雌雄) 모두 7월중순경(月中旬頃)에 최고(最高)였다. 함유율(含油率)과 Vitamin A농도(濃度) 사이에는 대체(大體)로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있었다. 3. 유문수유(幽門垂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7월하순(月下旬)에 최고(最高)였고, 함유율(含油率)과는 거이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5월(月) 초순(初旬)${\sim}$6월중순(月中旬)에는 간유(肝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보다 훨씬 높았다. 4. 장유(腸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5월초순(月初旬)에 최고(最高)였고, 생식선유(生殖腺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극히 낮았으며 육(肉), 피(皮) 안유(眼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흔적에 불과(不過)하였다. 5. 전장기(全臟器) vitamin A 양(量)의 제장기별(諸臟器別) 분포율(分布率) 변화(變化) 범위(範圍) 및 평균분포율(平均分布率)은 간장(肝臟) : $7{\sim}92%$(평균(平均) 60.8%) 유문수(幽門垂) : $6{\sim}51%$(평균(平均) 29.4%), 장(腸) : $1{\sim}16%$(평균(平均) 5.7%), 위(胃) 및 위내용물(胃內容物) : $0{\sim}10%$(평균(平均) 2.2%), 생식선(生殖腺) : $0{\sim}12%$(평균(平均) 1.9%)이고, 간장(肝臟)과 유문수(幽門垂)의 vitamin A 분포율(分布率)은 서로 상반(相反)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6. 내장유특가(內臟油特價)의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 및 특가간(特價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찾아볼 수 없고, 다만 vitamin A 농도(濃度)가 특(特)히 높을 때 굴절율(屈折率), 불감화물량 및 iodine value가 최고(最高)였다. 7. 고등어 vitamin 유(油) 채취시기(採取時期)는 5월초순(月初旬)${\sim}$10월(月) 중순(中旬)이라 볼 수 있고, 간장(肝臟), 유문수장(幽門垂腸) 이외(以外)의 제장기(諸臟器)는 vitamin 유(油) 자원(資源)으로서 이용가치(利用價値)가 없다. 한편 전내장유(全內臟油)도 vitamin 유(油)로서 이용가치(利用價値)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