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se sein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서부인도양 해역 다랑어어업의 생태계기반 어업 위험도 평가 (Ecosystem-based Fishery Risk Assessment of Tuna Fisheries in the Western Indian Ocean)

  • 하영신;이성일;권유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49-461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cosystem-based fishery risk assessment of tuna fisheries in the Western Indian Ocean. We selected gillnet, purse seine, hand line, baitboat, and longline fisheries as the target fisheries method, and selected longtail tuna (Thunnus tonggol), narrow-barred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commerson), kawakawa (Euthynnus affinis),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yellowfin tuna (T. albacares), bigeye tuna (T. obesus), albacore tuna (T. alalunga) and swordfish (Xiphias gladius) as the target species. The risk score for the size at the first capture in sustainability objective was high, especially, for the purse seine and baitboat fisheries using the fish aggregating devices (FADs). The risk score for the bycatch in the biodiversity objective was high for the gillnet fishery, and the gillnet fisheries using FADs showed high risks for the habitat quality objective due to the loss of the fishing gears. With regards to the socio-economic benefits objective, the risk score of the sales profits was low due to high sales of the tuna fisheries. The ecosystem risk score in the Western Indian Ocean was estimated to be moderate, although management is required for some of the indicators that have high-risk scores.

한국 연안어업의 실태 (Characteristics of Korean Coastal Fisheries)

  • 윤상철;정연규;장창익;양재형;최광호;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37-1054
    • /
    • 2014
  • In this study, the status of coastal fisheries was examined based on the catch and number of fishing vessels of coastal fisheries in Korea. Comparing the status on coastal fisheries of the East Sea, Yellow Sea and South Sea in Korea, scientific evidence was made for fisheries management on coastal fisher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ach sea area. From 1990 to 2011, the catch of coastal fisheries in Korean waters ranged from 150,000 mt to 230,000 mt, with an average of 190,000 mt, and it accounted for 15% in average of total catch fished in adjacent waters of Korea. In order of catch by coastal fisheries, gillnet (36.7%) was the primary fishery, followed by coastal complex (24.7%), stow net (18.3%), trap (12.9%), lift net (3.9%), purse seine (3.0%) and beam trawl (0.4%) fisheries. In order of catch by species, anchovy (15.0%)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total catch, followed by common squid (10.3%), akiami paste shrimp (5.2%), blue crab (3.9%) and octopus (3.7%). Of the average catch by sea area from 1990 to 2011, Yellow Sea, South Sea and East Sea were 37.4%, 34.6% and 28.0%, respectively. Since 2000s, however, the average catch of South Sea ha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The number of permitted fishing vessels involved in 8 coastal fisheries was 55,336 vessels in average from 1997 to 2011. The number of vessels was about 47,000 vessels in 1997, and increased to 61,300 vessels until 2000, then has decreased to 44,000 vessels operating in 2011. In order of the number of permitted fishing vessels by fisheries, complex (52.4%) took the first place, followed by gillnet (31.5%), trap (13.4%), stow net (0.8%), beam trawl (0.8%), purse seine (0.6%), lift net (0.4%) and seine net (0.0%). In order of the number of permitted fishing vessels by sea area, South Sea (29,994 vessels) took the first place, followed by Yellow Sea (18,185 vessels) and East Sea (7,158 vessels). In order of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mt/vessels) which was analyzed using catch and number of vessels in average by fishery, stow net is the highest followed by lift net, trap, purse seine, gill net, beam trawl and complex fisheries. In particular, the CPUE of complex and gill net fisheries,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vessels were 4.0 mt/vessels and 1.6 mt/vessels, respectively. Since those are too low relative to other fisheries, it was judged to need systematical management on both fisheries.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조업에 관하여 (On the Log-Associated School Fishery of Korean Tuna Purge Seiners)

  • 문대연;이장욱;김종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7-207
    • /
    • 1996
  •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군 조업 비율은 최근 까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며 $1990\~1995$년간의 유목군 어획 비율은 전체 어획량의 $34.6\%$로 선망어업 초기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낮았다. 어획 어종의 조성에서는 유목군 및 부상군 조업에서 다같이 가다랭이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그 다음 황다랭이 그리고 소량의 눈다랭이가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어획 비율은 부상군 조업이 유목군 조업보다 높았다. 승선 조사 시의 유목군 조업의 어획 어종의 조성은 가다랭이 $60\%$, 황다랭이 $38\%$, 눈다랭이 $2\%$로 조업 실적 자료보다 가다랭이는 낮았고 황다랭이는 높았다. 유목군 조업에서 혼획된 종은 모두 11종이었으며 그중 상어류가 전 투망 시에 어획되었고 yellowtail kingfish가 마리수로는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체장 조성을 비교하였을 때 소형 황다랭이는 주로 유목 주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어 선망 어구 및 조업 시스템 개발 (II) - 어구 개량을 위한 모형 실험 - (Development of Fishing Gear and Operating System in Purse Seine Fishery for Gizzard-shad(II) - Model Experiments for Improvement of the Net -)

  • 장덕종;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4호
    • /
    • pp.326-336
    • /
    • 2003
  • 본 연구는 현용 전어 선망 어구$.$어법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파악된 문제점과 조업시 어구의 수중 형상 및 어구에 대한 어군의 행동을 조사$.$분석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구 개발에 대한 방향을 설정한 후 고려되는 몇 가지 형태의 어구를 제시하고 이들 어구에 대한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용 어구와 현용 어구의 75% 규모로 축소 (뜸줄 길이 기준)한 어구에 짐줄을 채택하였을 경우, 짐줄이 완전히 체결되기도 전에 발줄이 수면으로 부상하거나 수심 2∼3m 에서 짐줄이 체결되어 현용 어구구조에는 짐줄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어획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뜸줄과 발줄의 길이는 현용 어구의 60% 규모로 하고 그물의 양쪽 옆 부위를 최소 전개 깊이인 20m로 고정한 채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를 점차 증대시킨 어구 중 중앙부 깊이가 50m인 어구는 짐줄이 수심 20∼23m 이상에서 체결되고, 중앙부 깊이가 40m 와 30m인 어구는 체결 수심이 7∼15m 사이로 나타나 모든 어구에서 어군을 차단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보이지만 조업 어장의 수심과 조류 등을 고려하였을 경우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중앙부 깊이가 40m 와 30m인 어구가 더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건착망의 연구 - 사절망과 라셀망의 심항력과 장력의 비교 - (A Study on the Purse Seine Comparison of Sinking Speed and Tension of Purse Line in Two Nets , Made of Knotted Webbing and Raschel Webbing)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6권2호
    • /
    • pp.55-59
    • /
    • 1980
  • 크기가 실물어구의 1/450이고, 망지는 각각 결절망지와 라셀망지를 쓴 건착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발돌의 수중중량을 4g~20g까지 변화시킬 때의 침강속도와 죔줄의 장력을 비교한 바, 침강속도는 결절망지를 쓴 쪽이 1.4~1.8 빠르고, 죔줄의 장력은 라셀망지를 쓴 쪽이 10~20% 적었다. 따라서, 어군의 도피를 빨리 차단한다는 의미에서는 결절망지가 라셀망지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한국(韓國) 및 관련각국((關聯各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 발달과정(發達過程) (Development of Tuna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the Countries Concerned)

  • 현종수;이병기;김형석;예영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30-46
    • /
    • 1992
  •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기술(旋網漁業技術)은 한국(韓國)에서 발달한 대부분의 어업기술(漁業技術)이 일본(日本)을 거쳐서 도입된 것과는 달리 미국(美國)에서 직수입(直輸入)된 것이기는 하나 세부적으로는 일본(日本)의 기술을 응용한 것도 더러 있다. 따라서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에 있어서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문헌(文獻)과 집적된 자료(資料)들에 의하여 그것을 규명해 보았다. 미국(美國)에 있어서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의 탄생은 1826년의 일이므로 그 역사는 165년이나 되었고, 초기에는 다른 어종과 함께 부산물(副産物)로서 잡아왔지만 1903년부터는 그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어업(漁業)이 시작되었으므로 그 역사만 하더라도 90년 쯤 전의 일이다. 그러다가 2차대전(次大戰) 이후에 power block의 발명과 나일론 그물, 그리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의 첨단적인 개량으로 오늘날과 같은 대형선망조업(大形旋網조業)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미국선망어선(美國旋網漁船)들은 돌고래 보호를 위한 규제 때문에 동부태평양(東部太平洋)에서는 조업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또 고임금(高賃金), 노동력부족(勞動力不足) 등으로 채산(採算)을 맞추지 못해 선단수(船團數)는 1980년에 비해 1/3가량 줄어든 상태이다. 일본(日本)은 일찍부터 일본(日本) 북서태평양연안(北西太平洋沿岸)에서 연승(延繩)과 소형선망(小型旋網)으로써 다랑어를 어획(漁獲)하여 왔으며, 2차대전(次大戰)이후 독자적으로 과거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을 다랑어용으로 개량하는 한편 1948년부터 미국식선망어법(美國式旋網漁法)을 도입하여 해외(海外) 다랑어 어장(漁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정부출자기관(政府出資機關)인 일본해양자원개발(日本海洋資源開發) 센터 (JAMARC)의 태평양(太平洋) 해역에서의 시험탐사(試驗探査)는 높이 평가할 만 하며, 또한 일본연승어선(日本延繩漁船)들의 활발한 해외조업(海外操業)과 어장정보교환(漁場情報交換)은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주어 왔다.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의 선망선(旋網船)은 어선(漁船)의 크기, 조업형태(操業形態), 운영형식(運營形式) 등이 각기 다르며 장단점이 있다. 특히 일본어선(日本漁船)은 미국어선(美國漁船)에 비하여 선체가 작고 더러는 쌍두리 조업을 하고 있으며, 망지(網地)는 미국어선(美國漁船)이 땋은 실 nylon(braided twine)으로 된 결절망지(結節網地)를 쓰는 데 비하여 무결절망지(無結節網地)를 쓴다. 한국(韓國)은 1970년대(年代)에 미국(美國)으로부터 직접 이 어선(漁法)을 도입하였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 조업방법(操業方法)도 전적으로 미국식(美國式)이다. 한국(韓國)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은 10년 이상의 실패 끝에 1986년부터 정상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고, 1997년 현재 총 37척이 Gua과 Samoa를 기지(基地)로 하여 모두 남서태평양(南西太平洋)에서 조업하고 있으며 성적도 좋은 편이다. 다만, 이제는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태평양도서국(太平洋島嶼國)에의 입어문제(入漁問題)와 어자원보호(魚資源保護) 측면에서의 연안국(沿岸國)의 조업제제(操業規制) 움직임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선망어법의 어획과정에 있어서 죔줄의 장력-I -망형별 죔줄의 장력에 관한 모형실험- (A Study on the Tension of a Purseline in the Process of Catch of the Purse Seine Fishing Methods-I -Model Experiment on the Tension of a Purseline by Net Shapes-)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1호
    • /
    • pp.1-10
    • /
    • 1999
  • The north-west sea area of Cheju Island is where originate two layer current in the summer season. The case of the fishing operations in this sea area is almost impossible for normal expansion of the net gear for shooting net, and is happened to be frequent occasions for rise of tension suddenly in purseline by changes of the net shapes in the operation. Therefo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s is often obstructed by the abov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model experiments on the purse seine in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in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hanges of tension in the pruseline by deformation of purse seine in the sea area of two layer curr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In the case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in the no current set, the increasing curve for tension of purseline can be expressed as:Y=0.0004x3+0.0098x2+0.3000x(r=0.9989)where Y is tension(metric tons) of a purseline, x is required time(minutes) for pursing. And, the maximum value of tension in this time was an increase of 31.3 percent at 15 minutes, and was a decrease of 30.3 percent at 30 minutes than that of 20 minutes.When the bottom margin of net is held on the position in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in the bottom current to the net height, the maximum tension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30 minutes in tight set and loose set were decrease of 29.5 percent and 28.7 percent respectively than that of 20 minutes.The work load during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were calculated 5.79×106 kgf·m in no current set, 7.89×106 kgf·m in tight set and 5.15×106 kgf·m in loose set, therefore it was an increase of 22.3 percent in tight set, and was a decrease of 11.1 percent in loose set than that of the no current set. Where tight set and loose set is a range of the bottom current with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to the net height.

  • PDF

가공공장에서 수행한 한국 다랑어 선망 어획물 종조성에 대한 예비 연구 (Pilot research on species composition of Korean purse seine catch at cannery)

  • 이성일;김장근;손호선;유준택;김미정;이동우;김두남;문대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4호
    • /
    • pp.390-402
    • /
    • 2011
  • A preliminary study on species composition of a Korean purse seine catch landed at cannery was conducted in April 2011. In the cannery, all tuna catch are sliding through a sorting grid panel that filters and drops fish in the buckets by size class (above 9kg, 3.4-9kg, 1.8-3.4kg, 1.4-1.8kg and below 1.4kg). In cannery processing, species sorting was made for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only from catches greater than 3.4kg during filtering but not for bigeye tuna because of difficulties in species identification between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under frozen state. As no species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catch groups less than 3.4kg in the cannery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sorting out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from these groups and then identifying bigeye tuna from all size groups of yellowfin tuna. Using the mixture rate of species obtained from the samples taken, species composition of the landed catch was estimated. As results, cannery research showed 95% for skipjack tuna, 3% for yellowfin tuna and 2% for bigeye tuna in species composition, while vessel logbook data represented 96%, 3% and 1% for skipjack tuna,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igeye tuna identified in the cannery was slightly higher than shown in logbook data by 1%.

대서양 한-가나 합작법인 소속 다랑어 선망어선의 조업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fishing conditions of tuna purse seiner belonging to the Korea-Ghana joint venture in the Atlantic Ocean)

  • 권기준;이춘우;김형석;류경진;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3호
    • /
    • pp.194-204
    • /
    • 2021
  • The research was analyzed the catch data of the five years (2016-2020) for six joint venture company tuna purse seiners in the Atlantic Ocean, with the aim of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responsible and sustainable fishing according to changes of recommendation by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 (ICCAT) on the tropical tunas. In the last five years, the average catch of six tuna purse seiner gradually increased to 7,745 tons, 8,364 tons and 9,053 tons from 2016 to 2018, but decreased to 7,761 tons in 2019 and 6,214 tons in 2020.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fishing volume in 2019 and 2020 was the fluctuation of the formation of the cold water zone (22-23℃), and the total ICCAT convention area of FAD closure in January and Februar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AD closure area and poor free school catching during two months period, respectively. The analysis on fishing area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fishing in the high sea was about 85% although the FAD closure area included the EEZ zone in coastal countries; the rise of the fishing license in coastal countries is also believed to be a factor. In order to overcome such situations and improve catching volume, it will be possible if excellent manpower is secured, school fishing is expanded, and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catch (purse seine special: PS).

다랑어 선망어선 탑재용 보조 작업선의 추진기 타입 변화에 의한 선형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ll-Form Design for Propulsion Type Change of Net Boat Mounted on Tuna Purse Seiner)

  • 임준택;장호윤;이경우;서광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0-817
    • /
    • 2018
  • 우리나라에서 다랑어 선망어업은 국내 원양산업 중 업종별 생산량 1위의 업종으로, 1980년대 중 후반부터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으며, 기술의 현대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어선에 탑재되는 보조작업선들은 원양어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조작업선들 중 네트보트의 추진기를 프로펠러에서 워터제트 형태로 변경하고, 그에 따른 선형 변환을 통한 선체 부가저항 감소 및 운항성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산수치해석을 통해서 선박의 유체성능 변화를 계산하였으며, 또한 기존 선형 및 추진기 변화 선형에 대해 모형선 수조시험을 수행하여 속도별 저항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및 1/7의 축소모형의 수조시험 결과, 기존의 네트보트 대비 45~58 % 저항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철망 제거에 의한 단순 침수표면적 및 선형개선에 의한 저항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