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ification plant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4초

CuSO4에 의한 geosmin 유발조류(Anabaena macrospora)의 제거 (Removal of Geosmin Forming Alga (Anabaena macrospora) by Copper Sulfate)

  • 박재충;박재범;송성일;김현숙;박정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21-526
    • /
    • 2006
  • We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of removing Anabaena macrospora by injecting copper sulfate ($CuSO_4{\cdot}5H_2O$) into the raw water of a drinking water purification plant. Anabaena macrospora caused the unpleasant geosmin odor of drinking water in August 2001. The cell break-point of A. macrospora was 0.3 mg/L of $CuSO_4$. We were able to reduce the standing crops of A. macrospora effectively because $CuSO_4$ could break A. macrospora selectively. Because 0.3 mg/L of $CuSO_4$ could break both cells and akinetes, it reduced the possibility of a recurrent problem for them to meet a favorable condition. When $CuSO_4$ was injected in the early growth phase of algae and the mixing intensity was high, A. macrospora could be removed most effectively. The odor caused by A. macrospora was sustained for a while without any sudden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 Therefore, we hope that it could shorten the period of obstacle by injecting the optimal amount of 0.3 mg/L of $CuSO_4$. The water quality, alkalinity, conductivity, hardness and pH didn't changed by the injection of $CuSO_4$.

정수장에서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AI 기반 복합센서 적용 연구 (AI based complex sensor application study for energy management in WTP)

  • 홍성택;안상병;김국;성민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2-323
    • /
    • 2022
  • 정수장의 최적화 운영을 위하여 가장 필요한 것은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의 패턴과 양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필요한 만큼의 수돗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지로 전달하여 저장하고, 필요한 유량이 최소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적기에 공급되어야 한다. 정수장의 수량 예측 중 에너지 최적화 운영의 관점에서 필요한 단기 수요예측은 시계열 분석, 회귀분석 및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절별, 주요 기간별, 지역 특성별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본 논문에서는 순환적 신경회로망의 일종인 LSTM(Long Short-Term Memory), GRU(Gated Recurrent Units) 등의 AI 기반 복합센서 적용성 분석을 통한 에너지 관리 방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Effect of temperature on fractional precipitation for paclitaxel purification

  • Jeon, Soon-Yim;Kim, Jin-Hyu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355-359
    • /
    • 2005
  • 분별침전 공정에서 순도 및 수율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별침전을 위해 일정 온도에서 보관할 경우와 단계적으로 보관 온도를 하강하는 경우에 대한 분별침전 효율을 확인하였다. 일정온도$(0^{\circ}C)$에서 보관할 경우 높은 수율$({\sim}84%)$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단계적으로 보관 온도를 하강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순도$({\sim}79%)$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단계적으로, 큰 폭으로 보관 온도를 하강 시킬 경우 더 높은 순도를 얻을 수 있었다. 저장온도$(-20^{\circ}C{\sim}12^{\circ}C)$를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paclitaxel 순도 면에서 $0^{\circ}C$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수율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최종 정제를 위한 전 처리 공정으로 분별침전 공정이 간단하고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aclitaxel 정제를 위한 메조기공 알루미나 흡착제 평가 (Evaluation of Mesoporous Alumina Adsorbent for the Purification of Paclitaxel)

  • 오현정;정경열;김진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6-182
    • /
    • 2013
  • 바이오매스 유래 항암물질 paclitaxel 정제를 위하여, 물리적 특성이 다른 메조기공 알루미나 흡착제를 제조하여 흡착제 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알루미나의 물리적 특성 중 표면적과 기공부피 보다는 기공크기(기공지름)이 흡착제 처리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적절한 기공크기(기공지름: 10.8 nm)에서 식물유래 타르 및 왁스 성분을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일정한 기공크기에서 흡착제의 표면적은 paclitaxel 순도뿐만 아니라 수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흡착제의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paclitaxel과 불순물(바이오매스 유래 타르 및 왁스 성분 포함)의 흡착 정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불순물 제거 효과는 흡착제 처리 후 흡착제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와 흡착제에 붙은 유기물의 TGA 정량 분석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Paclitaxel 정제에서 비중 조절에 의한 Eluent 재사용 (Reuse of Eluent by Controlling its Specific Gravity during the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f Paclitaxel)

  • 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66-3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회수한 식물세포, 즉 biomass로부터 항암제 paclitaxel를 정제하기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에서 컬럼을 통하여 용리되는 eluent의 비중 (specific gravity) 조절에 의한 eluent 재사용 방법을 개발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조업 전에 eluent (methanol/water = 70/30, v/v)의 비중을 측정한 결과 0.853을 얻었다. 컬럼으로부터 분취한 용액을 증발 건조하여 건조된 제품과 증발된 용액인 eluent를 각각 회수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증발/회수된 eluent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회수된 eluent의 비중을 측정하여 비중이 0.853에서 벗어났을 경우에는 메탄올 또는 물을 첨가하여 eluent의 비중을 0.853으로 조정하여 eluent로 재사용하였다. 회수된 eluent를 재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실시한 결과, 고순도 ($\sim$95%), 고수율 ($\sim$86%)의 paclitaxel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eluent를 재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재사용 전과 동일한 수준의 결과로 비중 조절에 의한 eluent의 재사용이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시설원예 배출 배액의 수질환경 평가 및 정화 부하량 산정 (The Water Quality and Purification Load Assessment of Drain Water of Facility Horticulture Areas)

  • 손진관;최덕규;공민재;윤성욱;박민정;강동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99-1208
    • /
    • 2019
  • Korea's protected horticulture is rapidly increasing in scale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year-round harvesting, labor savings through automation and shortened culture period, and greater income gen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tected horticulture on water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contributing to improvements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co-friendly design of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The average T-N and T-P loads from vinyl greenhouses were 286.55± 143.98 mg/L and 59.14±13.77 mg/L, respectively and those from glass greenhouses 380.68 ± 150.41 mg/L and 61.85±20.72 mg/L. The annual discharge of wastewater derived from the monthly discharge from the horticulture greenhouses were estimated at 2597 ton/ha, with the annual phosphorus load amounting to 155.3 kg/ha. The average T-N and T-P loads in the tested greenhouse effluents were in excess of 8.3- and 13.5-fold the standards for the Korean wastewater plant effluent. The wast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a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can cause water contamin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us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r a trench method to develop a eco-friendly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for sustainable agriculture.

Theory and Practices of Water Pollution Control by Wetland - a Case Study of Reed Wetland in Baiyangdian Lake

  • Li, Guibao;Zhou, Huaidong;Liu, Fang;Wang, Dianw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72-76
    • /
    • 2004
  • Wetland is an important eco-system on the earth and can effectively control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Reed is a typical wetland plant for land/inland water ecotone in north China. The studies indicated that reed had a underground rooted-stem, which formed a 'high speeded-connecting vessels' i.e. reed root channel (RRC) in Baiyangdian lake of Hebei province. It spread predominantly along horizontal direction underground and are mainly distributed at 18-75 cm. The results of field work from healthy reed-wetland (HRW) and regarded reed-wetland (RRW) showed that the reed, averagely, in HRW is 4.2 m height, 1 cm diameter, 65/m2 density; in RRW is 2.4 m height, 3 mm diameter, 86/m2 dens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e regradation of the function of RRC in RRW. The results of laboratory work of sewage purification from reed soil column (RSC) $(0\~100cm)$ and wheat soil column (WSC)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to sewage, in RSC, is high than in WSC, especially for phosphorus.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in RSC, is $92.6\%$ for total phosphorus, $43.5\%$ for total nitrogen, $54.1\%$ fur COD, respectively; in WSC, is $86.0\%$ for total phosphorus, $241.3\%$ for total nitrogen, $29.8\%$ for COD, respectively.

  • PDF

주목 식물세포(Taxus chinensis) 배양 유래 Paclitaxel 정제를 위한 분별침전에서 제타전위 영향 (Effect of Zeta Potential on Fractional Precipitation for the Purification of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of Taxus chinensis)

  • 류흥곤;김진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4-1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주목 식물세포(Taxus chinensis) 배양 유래항암물질 paclitaxel을 정제하기 위하여, 반응액 부피당 표면적이 증가된 분별침전에서 표면적증가물질 실리카-알루미나의 제타전위가 분별침전 양상(순도, 수율, 침전시간, 침전물형태와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리카-알루미나의 제타전위가 양(+)의 값으로 증가할수록 paclitaxel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침전 시간은 감소하였다. 표면적증가물질로 제타전위가 가장 큰 알루미나(제타전위: +35.41 mV)를 이용한 경우 표면적증가물질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12시간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반면 표면적증가물질 실리카-알루미나의 전타전위 변화에도 paclitaxel 순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분별침전 과정에서 제타전위 절대값이 증가할수록 paclitaxel 침전물의 크기는 감소하여 제타전위 절대값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된 분별침전 공정은 바이오매스 유래 paclitaxel 정제 공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axus chinensis 유래 파클리탁셀 정제를 위한 초음파를 이용한 마이셀 추출 (Ultrasound-Assisted Micellar Extraction for Paclitaxel Purification from Taxus chinensis)

  • 박지민;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06-1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 Taxus chinensis로부터 항암물질 파클리탁셀을 효율적으로 정제하기 위하여, 초음파 기반 마이셀 추출 공정을 개발하였다. 전통적 마이셀 공정(대조군)에서의 많은 추출 단계 및 긴 상 분리 시간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초음파 파워 180 W, 초음파 조사 1.5 시간에서 가장 높은 파클리탁셀 수율(~96%, 2회 추출)을 얻었으며, 이는 대조군의 수율에 비해 24.7% 증가하였다. 또한 분배 계수(K)는 초음파 파워 180 W, 초음파 조사 1.5 시간에서 최대치(24.0)를 보였다. 파클리탁셀 순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초기 파클리탁셀의 순도(6.81%)가 정제 후 22%까지 증가하였다. 역 추출(back extraction)의 상 분리 시간은 대조군 대비 각각 40.7-56.2%(초음파 파워 80 W), 46.3-67.6%( 초음파 파워 180 W), 51.9-67.6%(초음파 파워 250 W) 감소하였다. 초음파 파워(80-250 W)와 초음파 조사 시간(0.5-2.5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 분리 시간이 감소하였다.

공조풍량별 식생바이오필터의 입자상 오염물질 저감효과 연구 (A Study on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Effects of Vegetation Bio-Filters by Airflow Volume)

  • 최부헌;김태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9-95
    • /
    • 2021
  • As the influence of fine dust on society spreads gradually, the public's interest in indoor air is increasingly rising. Air-purifying plan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due to their natural purifying function enabled by plant physiology. However, as their fine dust reduction mechanism is limited to adsorption only, vegetation bio-filters that optimize purification effects through integration with air-conditioning systems is rising as an alternative.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standard test methods, this study looked into the fine dust reduction assessment method by air-conditioning airflow volume that can be used for the industrial spread of vegetation bio-filters. In the case of PM10 at 300 ㎍/m3, it was in the order of EG-B(3,500CMH, 29 min.) < EG-A (2,500CMH, 37 min.) < CG(0CMH, 64 min.) for reaching the maintenance level (100 ㎍/m3) of publicly used facilities. For reaching the WHO Guideline(50 ㎍/m3) requirement, it was in the order of EG-B (51 min.) < EG-A (160 min.) < CG (170 min.). In the case of PM2.5, it was in the order of EG-B (26 min.) < EG-A (33 min.) < CG (57 min.) for reaching the maintenance level (50 ㎍/m3) of publicly used facilities. It was in the order of EG-B (48 min) < EG-A (140 min) < CG (158 min) for reaching the WHO Guideline (25 ㎍/m3) requirement.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fine dust can be reduced most efficiently when the system is operated at 3,500CMH level.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ue to the absence of a way of assessing the stress of plants in vegetation bio-filters, generating optimal air-conditioning air flow of the relevant system and economics analysis against the existing facility-type air purification system have been clarified, which should be explored further though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