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 dredg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펌프식 준설선의 통합공정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Pump Dredge)

  • 정대득;이중우;조증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6-151
    • /
    • 2002
  • 준설작업 효율성은 장비의 형식, 준설토의 특성, 작업의 성격, 작업 시행 전.후에 이루어지는 측량작업 등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준설선의 위치제어와 준설지점의 수심 측량은 전체 공정의 효율성 결정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우리나라 준설업체가 주로 보유하고 있는 펌프식 준설선은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타 기종에 비해 작업해역에서 탁도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거되는 슬러리에 토사 함유량이 적고, 위치 정확도가 낮다는 큰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DGPS, 조석관측시스템, 광센서 각도추출장치, GIS와 전자해도를 이용하여 4개의 하부시스템으로 구성된 펌프식 준설선 통합공정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준설선 위치제어, 실재 굴착이 이루어지는 준설지점의 위치결정, 작업해역의 조위가 보정된 실시간 수심결정, 작업지시내용 및 작업성과를 기록하고 이들 모든 정보를 작업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정관리를 수행할 수 치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펌프식 준설선인 '||'&'||'quot;은진PD-2'||'&'||'quot;에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기존의 작업방식과의 작업효율성 비교를 위한 작업성과 데이타는 아직 추출하지 못했지만 일부 유사한 하$\circledcirc$시스템이 적용된 그라브 쿤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의 효율성 분석결과에서 준설해역의 편평도가 45cm 이내로 양호하고, 작업기간을 227f 단축하였으며, 작업비용을 16.6%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콘 DGPS기반 펌프식 해상준설 공정관리시스템의 구축 (Construction of Hydrographic Pump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Beacon DGPS)

  • 이진덕;이재빈;김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3-620
    • /
    • 2011
  • 해상 준설성과의 과학적 평가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유도 위치, 준설수심 및 준설 토사량 등의 준설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작업공정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과 거리에 상관없이 상시측량이 가능한 GPS 측량방법을 응용하는 정밀위치측량과 항행의 두가지 기법에 수심측정기법 등을 병용하는 해상측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Beacon DGPS를 기반으로 하는 선박위치측정, GPS/Gyro 통합장비에 의한 선박방향 측정, 준설심도와 붐대위치 측정, 조위에 따른 준설심도 보정 등의 기능을 갖춘 해상준설선의 유도 및 위치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준설선의 작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정확히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운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해상준설 또는 해상건설산업에서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방조제 건설로 인한 전라북도 형망어업의 변천과정 (The historical process of dredge fisher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in Jeollabuk-do, Korea)

  • 최종덕;류동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27-336
    • /
    • 2017
  • Fishing dredge in Jeollabuk-do began to become widespread in the 1960s and has continued to catch diverse kinds of shellfish in the productive fishing grounds around Dongjin River, Mangyeong River and Geum River estuaries. Since the 1970s, the construction of various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and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have resulted in a decrease in main fishing areas and a sharp decline in shellfish production. As a result, dredge fishery has faced many difficulties.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i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30 fishing permits as of 2016. Surf clams, hen clams, bladder moon snails, and common orient clams were mainly caught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while comb pen shells, purple whelks and ark shells are mainly caught afterwards. Inside the Saemangeum dike, most fish species have disappeared due to low water level and low salinity, and littleneck clams are caught using a jet pump type of fishing dredge. Outside the dike, the diversity of shellfish species has been reduced; comb pen shells are mainly caught. In this process, a lot of friction occurs due to the use of a reformatted dredge. Therefore, a lot of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near future.

현장재하시험에 의한 준설토지반의 지지력 평가방법 연구 (Evaluation on Bearing Capacity of Dredging Ground by Field Loading Test)

  • 박종범;주재우;김장흥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2014
  • 준설매립지반은 준설토에 의해 매립되어 지반이 매우 연약한 상태이며, 설계시 정확한 지지력을 예측하는 것은 더욱 힘들다. 실제 준설매립지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연약지반처리공법을 설계하고 있지만, 특히 준설토지반의 특성에 기인한 장비진입 즉 표층처리공법 또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연약지반에서 적용 할 수 있는 평판재하시험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준설매립현장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개발된 평판재하시험을 이용하여 현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콘테스트만의 결과를 가지고 준설토지반의 지지력을 구하는 실험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부분 준설매립지반은 매립경과시간에 따라 표면건조층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실험식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되며, 향후 준설토 매립지반의 공법설계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기계 시간당작업량(Q) 산정 개선방안 -펌프준설선 작업효율(E)을 중심으로- (The estimating method of construction workable-quantity per unit time - Focused on Pump-Dredge -)

  • 안방률;태용호;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25-133
    • /
    • 2010
  • 국내 공공건설공사 예정가격작성기준에서 제시하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업효율(E)은 현장여건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용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기준은 정성적인 표현이 사용되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또한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펌프준설선을 대상으로 국내 외 관련 문헌조사 및 현장실사를 통하여 합리적인 작업효율(E) 제시방법을 제안하고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기준 또한 일본기준의 형태로 작업효율(E)을 공사구분별, 흙두께, 평면형상, 단면형상, 해상조건 등으로 세분화 시킬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형태로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산출량을 일본의 예정가격작성기준을 적용하여 계산된 산출량과 비교하여 일본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펌프준설선 (4,476kW)은 배송거리 3,600~6,000m의 시간당 준설량(Q)을 실측하여 표준값인 전동환산(q)을 비교하여, 일본대비 102.3%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결과값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각종 자료 및 수치들은 건설기계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예정가격작성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