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nodul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6초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발견된 폐결절의 악성여부 감별에서 F-18 FDG PET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F-18 FDG PET to Discriminate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Nodule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김범산;강원준;이동수;정준기;이명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3호
    • /
    • pp.163-168
    • /
    • 2006
  • 목적: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에서 폐암의 발생빈도가 정상인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IPF 환자의 흥부전산화단층촬영(chest CT)에서 폐 결절이 관찰되는 경우 폐암의 발생과 IPF자체의 결절을 감별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IPF 환자의 chest CT에서 관찰된 결절의 악성 여부를 FDG PET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IPF로 진단된 환자 중, chest CT에서 악성 결절이 의심되어 FDG PET을 시행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6명 (남: 14, 여: 2, 나이: $67.53{\pm}9.83$세)의 환자에서 관찰된 28개의 결절에 대하여 FDG PET과 CT소견을 분석 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은 소세포암과 성문하암으로 치료 받은 병력이 있었으며, 나머지 환자는 악성종양의 기왕력이 없었다. 결절의 악성도 여부는 조직검사와 CT 추적검사로 판정 하였다. 결과 : 10개 의 결절은 폐암으로 진단되었고, 18개의 결절은 양성 결절로 판정되었다(조직병리검사: 6예, chest CT 추적검사: 22예). FDG PET의 예민도는 100%이었으며 특이도는 94.4%이었다. 크기와 형태 및 크기 변화 등을 참고한 CT의 예민도는 70%이었고.특이도는 44.4%이었다. 악성 결절의 maxSUV는 $7.68{\pm}3.96$, 양성 결절은 $1.22{\pm}0.65$ 이었다(p<0.001). 폐섬유증부위에서 측정한 maxSUV는 $1.80{\pm}0.43$로써 악성 결절보다 낮은 값이었으며, 양성 결절보다는 높은 값이었다(p<0.001; p<0.001). CT에서 측정한 악성 결절의 크기는 $23.95{\pm}10.15mm$, 양성 결절은 $10.83{\pm}5.23mm$이었다(p<0.02). 결론 : FDG PET은 IPF 환자의 CT에서 발견된 폐 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CT영상용 3차원 역학 모델 기반 폐 결절 분할 방법 (3D mechanical model based pulmonary nodule segmentation in CT images)

  • 윤지석;최태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19-32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역학 모델을 이용한 폐 결절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폐결절 분할 방법은 세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초기 3차원 역학 모델을 생성한다. 생성된 모델은 삼각형 메쉬로 구성되어져 있고 구의 형태를 갖는다. 두 번째, 구성된 초기 모델의 점들을 변화시킨다. 세 번째, 각각의 변화에 따라 외부 에너지와 내부에너지를 계산 한다. 내부 에너지는 형태 기반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에너지는 음영값 기반 에너지로 구성된다. 이 초기 모델을 변화시키고, 변화에 따른 에너지의 최소값을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모델의 에너지가 수렴되면 이를 이용하여 결절을 분할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하여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폐장의 초자화 육아종 - 치험 2예 - (Two Cases of Pulmonary Hyalinizing Granuloma - 2 cases report -)

  • 오상기;최용선;류상우;윤지형;김상형;송상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63-666
    • /
    • 2008
  • 폐장의 초자화 육아종은 보통 양측성 다발성 폐결절의 형태를 보이며 특징적인 조직소견으로 유리질의 층상구조를 보이는 드문 질환이다. 특징적인 영상소견이나 임상양상을 보이지는 않고 수술적 절제나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 소견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우측 폐하엽에 종괴에 대하여 흉강경하 폐채기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조직학적 진단상 폐 초자화 육아종으로 진단된 2예를 치험하였기에 이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다발성폐아세포종 -수술치험 1례 - (DOUBLE PULMONARY BLASTOMAS - A CASE REPORT -)

  • 김태식;조원민;류영진;김욱진;최영호;김학제;이주한;김한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48-252
    • /
    • 1996
  • Pulmonary blastoma is rare malignant neoplasm usually situated peripherally in lung and composed of epithelial and mesenchymal components that resemble the lung at about 3 months gestation. Fortysix year-old man had no symptoms and signs, but solitary pulmonary nodule was found accidentally in a routine simple chest X-ray occupying right upper lung field. Preoperative chest CT-guided aspiration cytology revealed adenocarcinoma. We had done right upper lobectomy with Iymph node dissecton therapeutically. Final postoperative pathology reported this tumor as double pulmonary blastomas(well differentiated fetal adenocarcinoma).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blastoma with review of literature.

  • PDF

직장의 중등도 분화성 선암으로부터 전이된 폐결절에서의 Ga-67 섭취 (Accumulation of Ga-67 in Metastatic Pulmonary Nodules from a Moderate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Rectum)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0-142
    • /
    • 2002
  • A 67-year-old woman who had undergone anterior resection for a moderate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rectum and wedge resection for liver metastasis presented with hematogenous lung metastasis. Metastatic pulmonary nodules in both lung fields were shown on plain chest radiograph and CT. Ga-67 SPECT images revealed accumulation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pulmonary nodules. The authors present an unusual case of accumulation of Ga-67 in metastatic pulmonary nodules in a patient with a moderate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rectum.

A Case of Synchronous Lung Adenocarcinoma and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Type

  • Jung, Chi Young;Kwon, Ku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1호
    • /
    • pp.61-66
    • /
    • 2012
  •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extranodal MZL) is a distinct subgroup of non-Hodgkin's lymphoma. Pulmonary extranodal MZL is a rare entity and accounts for less than 0.5% of primary pulmonary malignancies. Only a few cases of simultaneous occurrence of lung cancer and pulmonary extranodal MZL have been reported. A 60-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a pulmonary nodule. She was diagnosed with lung adenocarcinoma by percutaneous needle biopsy. The protrusions into the left main bronchus were found by accident while performing bronchoscopy during lung cancer evaluation. The bronchial lesions were diagnosed as extranodal MZL. Although the patient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r the lung adenocarcinoma, the pulmonary extranodal MZL was left untreated; it was monitored during follow-up visit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ynchronous lung adenocarcinoma and primary extranodal MZL of the main bronchus.

Pulmonary Malakoplakia Associated with Peripheral Cysts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A Case Report

  • Correa, Liana Ferreira;Silva, Thiago Krieger Bento da;Camarg, Spencer Marcantonio;Furian, Bianca Canel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5호
    • /
    • pp.422-424
    • /
    • 2022
  • Pulmonary malakoplakia is a rare lung lesion more frequently found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an in immunocompetent individual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challenging case of a young immunocompetent patient with an irregular pulmonary nodule with peripheral cysts who, after undergoing surgery, was diagnosed with malakoplakia. Due to the rarity of the disease and the similarity of this condition to malignant neoplasms, cytopathological 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are necessary for the correct diagnosis. A description of pulmonary malakoplakia with peripheral cysts has not been previously published in the literature.

고립성 폐결절의 감별에 있어서 나선형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시 조영증강의 의의 (Evaluation of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by Spiral Computed Topography with Contrast Enhancement)

  • 송광선;신계철;용석중;류정선;강신구;김정주;성기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19-526
    • /
    • 1996
  • 연구배경 :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은 혈관분포의 차이와 임파선 발달이 차이로 혈관조영시 조영증강의 정도가 다르다. 이에 연구자는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SRCT을 시행하여 조영증강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5년에 원주의과대학 호흡기내과에 내원하여 고립성 폐결절로 진단받고 조직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16예였다.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조영제 주입후 SRCT를 시행하여 조영증강의 정도를 45초, 2분, 5분에 측정하여, 조직학적 및 임상적으로 진단된 양성결절 8예와 수술후 악성결절로 확진된 8예 사이에 그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52세로, 남녀는 11:5 예였다. 2. 질환별로는 결핵성 결절이 8예, 선암이 6예, 상피세포암이 2예였다. 3. 폐결절의 평균 크기는 $2.86{\pm}1.11cm$(1.8-5cm)이었으며 양성결절은 $2.98{\pm}1.4cm$, 악성결절은 $2.76{\pm}0.84cm$으로 차이는 없었다(p=0.75). 조영제 투여전 평균 CT numbed (hounsfield unit)는 $36.8{\pm}17.2$ HU 이며, 양성 결절 $38.1{\pm}23$ HU 과 악성결절 $35.1{\pm}15.3$ HU 으로 두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52). 조영제 투여 시작후 45초에 조영증강(조영전과 비교한)은 평균 $12.1{\pm}1.3$ HU 이며, 양성결절 $6.22{\pm}10$ HU 과 악성결절 $19.6{\pm}7.9$ HU으로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8). 조영제 투여 시작후 2분의 조영증강은 평균 $21.1{\pm}20.8$ HU 이며, 양성 결절 $6.75{\pm}15$ HU 과 악성결절 $34.0{\pm}19.2$ HU 으로 악성결절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07). 조영제 투여 시작후 5분의 조영증강은 평균 $21.8{\pm}1.9.7$ HU 이며, 양성 결절 $7.75{\pm}17$ HU 과 악성결절 $34.0{\pm}15.4$ HU 으로 악성결절에서 더 높았다(p=0.011). 조영증강의 시판별 변화는 조영제 투여전과 투여시작후 45초, 2분, 5분의 CT number는 악성결절의 경우는 $35.1{\pm}15.3$ HU, $54.7{\pm}15.6$ HU, $69.1{\pm}24.2$ HU, $69.1{\pm}16.4$ HU 으로 계속적인 증가를 유지하였으나 양성 결절에서는 각각 $38.1{\pm}23$ HU, $44.3{\pm}34$ HU, $44.8{\pm}24$ HU, $44.8{\pm}32$ HU 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4. 조영증강과 다른 요인간의 상관관계 : 결절의 크기와 조영증강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며(r=0.21, p=0.43) 환자의 나이와 조영증강 사이에도 상관관계는 없었다(r=0.21, p=0.42).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고립성 폐결절에서 SRCT상 시간에 따른 조영증가는 악성결절에서 단시간내 더 현저하여 양성결절과 악성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상적 병기 T1-2N0M0인 비소세포폐암에 동반된 폐결절의 악성여부 및 그 예측인자 (Incidence of Malignancy and Its Predictive Factors in Intrapulmonary Nodules Associated with cT1-2N0M0 Non Small Cell Lung Cancer)

  • 윤호일;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2호
    • /
    • pp.151-158
    • /
    • 2004
  • 연구배경 : 임상적 병기 $T_{1-2}N_0M_0$인 비소세포폐암에서 주 종괴와 같은 엽 혹은 다른 엽에 폐 결절이 존재하는 경우, 이 결절의 악성여부에 따라 환자의 예후는 물론 치료방침이 크게 달라진다. 그러나 조직검사가 어려워 악성여부를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악성 혹은 양성을 시사하는 임상적, 조직학적 예측인자가 알려져 있지 않아 악성의 빈도 및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7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444명의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술 전 임상적 병기가 $T_{1-2}N_0M_0$이고 주 종괴 외의 폐 결절이 존재하는 환자 중, 결절에 대한 조직검사가 이루어진 경우나 수술 후 최소한 6개월 이상의 추적검사가 가능했던 경우만을 포함하였으며 수술 전후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경우나 석회화된 결절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총 39명이었으며 이 중 양성이 33 예, 악성이 6 예였다. 양성군과 악성군에 대하여 환자의 성별, 나이, 조직형, 병기, 결절의 모양, 크기, 동반결절유무, 위치, 주변의 석회화 존재여부 등을 비교하였으나 이 중 어느 인자에 관하여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비소세포암의 임상적 병기가 $T_{1-2}N_0M_0$인 경우, 동반된 폐결절 중 다수가 양성결절이므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양성 혹은 악성 여부를 시사하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이 없으므로 조직학적 확인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폐과오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ulmonary Hamartoma)

  • 이태진;이진숙;공경엽;강신광;노재윤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4
    • /
    • 2000
  • Pulmonary hamartomas are uncommon benign tumors, usually discovered radiologically as a solitary coin lesion in asymptomatic individual. The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 peripheral lung nodule has changed with the increasing acceptanc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as a rapid, safe, inexpensive, and highly accurate diagnostic tool. However, a few reports describing the FNAC findings of pulmonary hamarioma have appeared in the cytologic literature and the experience of FNAC is limited. We reviewed all 9 cases of pulmonary hamartoma with histologic confirmation after FNAC seen at Asan Medical Center since 1995 to evaluate cytologic findings and to determine the value of FNAC in identifying that lesion. Originally, seven of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as pulmonary hamartoma, while two patients were diagnosed as inflammatory lesion and adenocarcinoma of each. On review, eight of nine patients were considered as diagnostic of pulmonary hamartoma. The diagnostic findings in FNAC of pulmonary hamartoma were the presence of fibrillary myxoid tissue with spindle cells as well as hyaline cartil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