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by Spiral Computed Topography with Contrast Enhancement

고립성 폐결절의 감별에 있어서 나선형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시 조영증강의 의의

  • Song, Kwang 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Shin, Kye 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Yong, Suk 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Ryu, Jeong 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ang, Sin G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Chong J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Sung, Ki Joon (Department of Radiolog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송광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계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용석중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류정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신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정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성기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8.30

Abstract

Background :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ies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pulmonary nodules have previously focused on clinical status and the morphologic and the computed tomographic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ung nodules. Distinctive differences in the vascularity and pathophysiology of malignant versus benign pulmonary nodules were identified. We evaluated the diagnostic method for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solitary pulmonary nodule by contrast enhancement on the spiral CT. Method : Sixteen patients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 were examined(Tuberculoma 8, primary lung cancer 8). Serial thin section on the spiral C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45second, 2min, 5min) the onset of the injection of 100mL of nonionic contrast material(2mL/sec).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ze of nodule and pre-contrast CT number (Hounsfield unit)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At forty-five second after the onset of the injection, malignant neoplasms($19.6{\pm}7.9$ HU) enhanced significantly more than tuberculomas($4.9{\pm}9.4$ HU, p=0.008). At 2minute and 5 minute after, malignant neoplasms($34.0{\pm}19.2$HU, $34.0{\pm}15.4$HU) enhanced significantly more than tuberculomas ($6.7{\pm}9.7$HU, p=0.007 and $7.7{\pm}11.5$HU, p=0.011). On cut-off value 20HU(contrast enhancement) 2minute after the injection of contrast media, sensitivity was 87% and specificity was 87%. No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ast enhancement and size of the nodules was observed. Conclusion : Studies with the use of an intravenously administered noniodinated contrast medium in examining the enhancement properties of lung nodules was performed. The contrast enhancement was useful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solitary pulmonary nodules.

연구배경 :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은 혈관분포의 차이와 임파선 발달이 차이로 혈관조영시 조영증강의 정도가 다르다. 이에 연구자는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SRCT을 시행하여 조영증강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5년에 원주의과대학 호흡기내과에 내원하여 고립성 폐결절로 진단받고 조직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16예였다.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조영제 주입후 SRCT를 시행하여 조영증강의 정도를 45초, 2분, 5분에 측정하여, 조직학적 및 임상적으로 진단된 양성결절 8예와 수술후 악성결절로 확진된 8예 사이에 그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52세로, 남녀는 11:5 예였다. 2. 질환별로는 결핵성 결절이 8예, 선암이 6예, 상피세포암이 2예였다. 3. 폐결절의 평균 크기는 $2.86{\pm}1.11cm$(1.8-5cm)이었으며 양성결절은 $2.98{\pm}1.4cm$, 악성결절은 $2.76{\pm}0.84cm$으로 차이는 없었다(p=0.75). 조영제 투여전 평균 CT numbed (hounsfield unit)는 $36.8{\pm}17.2$ HU 이며, 양성 결절 $38.1{\pm}23$ HU 과 악성결절 $35.1{\pm}15.3$ HU 으로 두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52). 조영제 투여 시작후 45초에 조영증강(조영전과 비교한)은 평균 $12.1{\pm}1.3$ HU 이며, 양성결절 $6.22{\pm}10$ HU 과 악성결절 $19.6{\pm}7.9$ HU으로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8). 조영제 투여 시작후 2분의 조영증강은 평균 $21.1{\pm}20.8$ HU 이며, 양성 결절 $6.75{\pm}15$ HU 과 악성결절 $34.0{\pm}19.2$ HU 으로 악성결절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07). 조영제 투여 시작후 5분의 조영증강은 평균 $21.8{\pm}1.9.7$ HU 이며, 양성 결절 $7.75{\pm}17$ HU 과 악성결절 $34.0{\pm}15.4$ HU 으로 악성결절에서 더 높았다(p=0.011). 조영증강의 시판별 변화는 조영제 투여전과 투여시작후 45초, 2분, 5분의 CT number는 악성결절의 경우는 $35.1{\pm}15.3$ HU, $54.7{\pm}15.6$ HU, $69.1{\pm}24.2$ HU, $69.1{\pm}16.4$ HU 으로 계속적인 증가를 유지하였으나 양성 결절에서는 각각 $38.1{\pm}23$ HU, $44.3{\pm}34$ HU, $44.8{\pm}24$ HU, $44.8{\pm}32$ HU 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4. 조영증강과 다른 요인간의 상관관계 : 결절의 크기와 조영증강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며(r=0.21, p=0.43) 환자의 나이와 조영증강 사이에도 상관관계는 없었다(r=0.21, p=0.42).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고립성 폐결절에서 SRCT상 시간에 따른 조영증가는 악성결절에서 단시간내 더 현저하여 양성결절과 악성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