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Tuberculosis

검색결과 2,233건 처리시간 0.028초

폐결핵 또는 기타 폐질환 환자에서의 진균감염과 객담으로부터 분리되는 임상적유의 및 무의진균에 관한 연구 (Pulmonary Fungal Infection in Patients with Tuberculosis or Other Lung Diseases and Fungal Flora in Human Sputum Specimens)

  • 김상재;홍영표;김신옥;이호원;이석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2
    • /
    • 1987
  • Pulmonary fungal infec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healed or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or other lung diseases by demonstrating serum precipitating antibodies to the various fungal antigens and by isolating the related fungi from sputums or other clinical specimens. Out of 1,192 suspected patients, 405(34.0%) showed precipitin bands on immunodiffusion tests and the related fungi have been demonstrated in sputums or other specimens of 79.5% of them(327) whose specimens had been cultured. Three patients did not have precipitating antibodies to any fungal antigen, but the same fungus was repeatedly isolated from sputums of two patients for over one year of period and from open lung biopsy specimen in the other patient. Most commonly involved species in pulmonary infection were A. fumigatus(70.3%) and C. albicans (at least 23.8%), followed by A. flavus, P. boydii, A. nidulans, etc. Out of fungi isolated from individuals(459), who were apparently not infected with fungi, molds were 66.0% and the rest, yeasts. Most commonly encountered molds were aspergilli(31.7%), followed by penicilli(16.3%), Cladosporium spp.(2.8%), Fusarium spp.(2.2%), etc. C. albicans(16.6%) was of course most common yeast in human sputums and the other species were seen in few.

  • PDF

결절홍반을 동반한 폐결핵환자에 나타난 Poncet병 1예 (A Case of Poncet's Disease in a Patient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ccompanying Erythema Nodosum)

  • 한나;이수경;김태진;송윤석;정선호;양경호;최성진;신원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3호
    • /
    • pp.221-224
    • /
    • 2011
  • Poncet's disease is an aseptic polyarthritis developing in the presence of active Tuberculosis occurring elsewhere, and is not due to direct involvement of joints but to an immunological reaction to tuberculoprotein. We experienced a case of Poncet's disease accompanying erythema nodosum in a 55-year-old female patient with pulmonary tuberculosis. She had multiple tender erythematous nodules on both lower limbs for 3 months and a cough and sputum from one month ago. She felt severe pain in both knees and ankles with swelling one week before admission. Her chest X-ray, computed tomography (CT) scan and positive sputum AFB stain results revealed that she had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ccompanying erythema nodosum and aseptic polyarthritis. Her arthritis and erythema nodosum were dramatically improved within four weeks after anti-tuberculosis therapy. We report a case of Poncet's disease in pulmonary tuberculosis accompanying erythema nodosum.

서울대학교 신입생의 폐결핵 유병률 추이에 대한 연구 (Trend of Preval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Am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Freshmen)

  • 김동완;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윤용범;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495-502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유병률은 사회경제적 여건과 갚은 관련성을 가지지만 국내에서 특정 사회집단에서의 결핵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신입생이라는 특정 집단에서 지난 10년간의 유병률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 법: 1988년에서 1997년까지 서울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흉부방사선 소견상 활동성 폐결핵의 유병률을 조사하여 이를 본 연구보다 10년 전에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대학신입생에서의 유병률 보고와 비교하고, 전국민결핵실태조사결과 중 동일연령군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결 과: 지난 20년간 서울대학교 신입생의 결핵유병률은 1977년 2.5%, 1980년 1.7%, 1985년 0.6%, 1990년 0.25%, 1995년 0.07% 로 꾸준하게 감소하였다. 이를 동일연령 일반인구와 비교했을 때 1985년, 1990년은 서울대학교 신입생에서 유의하게 유병률이 낮았으나 1995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서울대학교 학생의 결핵유병률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이를 동일연령 전국 유병률과 비교하면 점차 두군의 유병률이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징병 신체 검사시 집단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의 폐결핵 관련한 진단적 유용성 (The Clinical Value about Pulmonary Tuberculosis of Indirect Chest Radiography in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 박성빈;최병규;하근우;서준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56-360
    • /
    • 2005
  • 연구배경 : 징병검사에서 집단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의 폐결핵에 관련한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지방병무청 제 2 징병검사장에서 징병검사를 시행한 253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상소견자는 직접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하였다.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과 직접 방사선 촬영과의 양성 예측율을 알아보았다. 폐결핵을 중심으로 추적검사를 통해 활동성 폐결핵 유병율, 침윤정도와 임상경과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총 25386명중 328명에서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상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직접 방사선 촬영으로 재검사하였다. 재검사 중 302명(1.19%)에서 이상소견이 확인되었다. 폐결핵을 포함한 폐실질병변이 109예였고, 종격동 병변이 6예, 심혈관계 이상이 45예, 흉막병변이 49예, 측만증을 포함한 골격계 이상이 90예 그리고 기타 7예였다.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상 폐결핵은 99예 였으며, 이중 활동성 폐결핵이 67예로 활동성 폐결핵의 유병율은 0.26%였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42예, 폐렴 1예, 종격동 종양 1예, 늑골골절 2예 그리고 기흉 4예가 최초 진단되었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폐침윤 정도는 경증이 52예 였으며, 60예에서 추적검사상 호전되었다. 결 론 : 징병검사에서 집단검사로서 흉부 간접 방사선 촬영은 한계와 문제점이 있으나, 특히 활동성 폐결핵을 포함한 병의 최초 조기발견에 있어 유용한 검사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 결핵으로 오인된 기관지식도루 1예 (A Case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Mimicking Pulmonary Tuberculosis)

  • 오동욱;나승원;이광하;박태선;김선영;나수영;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303-308
    • /
    • 2008
  • 성인에서 양성 원인에 의한 기관지식도루는 드물며 활동성 결핵이 원인 중 하나로 보고 되었지만 본 증례와 같이 결핵 후유증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발생할 수도 있고 만성 흡인과 기침 및 객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활동성 폐결핵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임상의사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Presenting as Miliary Tuberculosis without Immune Suppression: A Case Diagnosed Rapidly with the Genotypic Line Probe Assay Method

  • Ko, Yousang;Lee, Ho Young;Lee, Young Seok;Song, Junwhi;Kim, Mi-Yeong;Lee, Hyun-Kyung;Shin, Jeong Hwan;Choi, Seok Jin;Lee, You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5호
    • /
    • pp.245-248
    • /
    • 2014
  • Miliary tuberculosis (TB) is a rare extrapulmonary form of TB, and there have been only two reports of miliary TB associated with infection with multidrug-resistant (MDR)-TB pathogen in an immunocompetent host. A 32-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abnormal findings on chest X-ra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DR-TB by a line probe assay and was administered proper antituberculous drugs. After eight weeks, a solid-media drug sensitivity test revealed that the pathogen was resistant to ethambutol and streptomycin in addition to isoniazid and rifampicin. The patient was then treated with effective antituberculous drugs without delay after diagnosis of MDR-TB.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miliary TB caused by MDR-TB pathogen in Korea.

Comparing Two Mycobacterium tuberculosis Genomes from Chinese Immigrants with Native Genomes Using Mauve Alignments

  • Ryoo, Sungweon;Lee, Jeongsoo;Oh, Jee Youn;Kim, Byeong Ki;Kim, Young;Kim, Je Hyeong;Shin, Chol;Lee, Seung H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3호
    • /
    • pp.216-221
    • /
    • 2018
  • Background: The number of immigrants with tuberculosis (TB) increases each year in South Korea.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dynamics based on whole genome sequencing (WGS) to cluster the strains has been challenging. Methods: WGS, annotation refinement, and orthology assignment for the GenBank accession number acquisition were performed on two clinical isolates from Chinese immigrants. In addition, the genomes of the two isolates were compared with the genome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two native Korean and five native Chinese individuals using a phylogenetic topology tree based on the Multiple Alignment of Conserved Genomic Sequence with Rearrangements (Mauve) package. Results: The newly assigned accession numbers for two clinical isolates were CP020381.2 (a Korean-Chinese from Yanbian Province) and CP022014.1 (a Chinese from Shandong Province), respectively. Mauve alignment classified all nine TB isolates into a discriminative collinear set with matched regions. The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a rooted phylogenetic tree grouping the nine strains into two lineages: strains from Chinese individuals and strains from Korean individuals. Conclusion: Phylogenetic trees based on the Mauve alignments were supposed to be useful in revealing the dynamics of TB transmission from immigrants in South Korea, which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scaling up the TB screening policy for immigrants.

당뇨병에 동반된 폐결핵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Diabetics)

  • 정인경;유지홍;이선미;고관표;한민수;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05-713
    • /
    • 1998
  •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의 폐결핵은 비당뇨병 환자에 비해 중증의 비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입원한 당뇨병환자와 결핵실태조사에 의한 일반인을 비교하였으므로 입원한 당뇨병환자가 상대적으로 더 심한 폐결핵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 환자사이에 폐결핵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폐결핵 진단시 당뇨병의 정도와 폐결핵의 중증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혈당의 조절정도가 폐결핵의 치료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경희의료원에 입원한 폐결핵환자중 당뇨병에 동반된 폐결핵 환자 82명과 비당뇨병성 폐결핵환자 83명을 대상으로 폐결핵 임상양상, 진단 방법, 방사선 소견, 치료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고, 당뇨병환자의 폐결핵에 있어서는 폐결핵 진단시 Hb Alc와 폐결핵의 중증도와의 관계, 폐결핵 치료종결시 혈당조절정도와 폐결핵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폐결핵 환자의 성비는 각각 58 : 24, 62: 21로써 두군 모두 남자가 많았다. 평균연령은 당뇨병군이 55세, 비당뇨병군이 44세로 연령 분포를 보면 당뇨병군은 50-60 대에 많고 비당뇨병군은 20-30 대에 많았다. 폐결핵 발병빈도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5-10년일 때 가장 높았다. 흉부 방사선 소견상 병변의 범위는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두군 모두에서 중등증인 경우가 각각 60.9, 50.6%로 가장 많았다. 폐하야 결핵은 당뇨병군(19.5%)에서 비당뇨병군(4.8%)에 비해 높았다(p<0.05). 이환된 폐엽의 수는 당뇨병군(2.35엽)과 비당뇨병군(2.21엽) 모두 다수 엽의 침범소견을 보였다. 두군의 평균 치료기간은 당뇨병군에서 10개월, 비당뇨병군에서 8개월이었으며 치료반응에 있어서 완치는 당뇨병군 85.4%, 비당뇨병군 89.2%, 치료실폐가 각각 8.6, 3.6%, 재발은 각각 3.6, 1.2%, 폐결핵으로 사망한 경우는 각각 1명씩으로 두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폐결핵 진단당시 HbAlc와 방사선학적 소견상 폐결핵의 중증도 사이에는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폐결핵 치료기간동안 혈당조절이 잘된 경우 완치율이 높았고(p<0.05), 혈당조절이 불량한 경우 치료실패율이 높았다 (p<0.05). 결 론: 입원치료를 받았던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의 폐결핵 환자들의 임상상과 폐결핵의 중증도, 치료결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병군에서 혈당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치료실패율이 높아 당뇨병이 있는 폐결핵 환자에서는 혈당의 적절한 조절이 필수적이며, 고혈당 환자에서 결핵치료 실패를 초래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폐결핵에 대한 외과적 치험 (Clinical Evaluation of Surgical Resec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 박승규;손말현;한동기;하현철;진영호;송선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74-480
    • /
    • 1995
  •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결핵실태는 그동안 정부의 꾸준한 결핵퇴치사업의 추진과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그리고 의료보험제도의 점진적확대 실시로 1965년 5.1%였던 결핵유병률이 지난 1985년에는 2.2%, 1990년에는 1.8%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결핵역학지표의 하나인 도발양성 폐결핵유병율은 1980년도의 0.31%에서 1990년에는 0.14%로 감소하였다. 전체적인 치료효율을 반영하는 약제내성율은 1980년을 고비로 초회내성율 및 획득내성율 모두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환자에 있어서는 소위 MDRTB(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직도 보건행정의 무리와 환자의 무지, 그리고 결핵치료제의 남, 오용으로 초치료 및 재치료에 실패하는 환자들이 상당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장기간에 걸친 화학요법 혹은 단기간의 집중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잔존하는 결핵병소는 치료에 많은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폐결핵의 외과적요법은 내과적 요법에 대한 유효한 보조수단이며 외과적요법의 목적은 내과적요법에 실패하기 쉽고 재발되기 쉬운 두꺼운 벽을 가진 공동성 병변 혹은 파괴된 잔여병소를 제거하거나 혹은 병소의 치유를 돕는 것이다.본 연구는 결핵요양소 정도로 알려져 있던 국립마산 결핵병원이 결핵치료에 있어 외과적 기능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1994년 8월부터 1995년 4월까지 폐결핵으로 절제수술을 시행받은 30예를 분석, 검토함으로 향후 폐결핵 치료지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1994년 8월 부터 1995년 4월까지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입원하여 폐절제수술을 시행받은 후 조직병리학적으로 폐결핵으로 진단받은 환자 30예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분포, 폐결핵의 범위 (NTA classification), 수술적응증, 수술방법, 합병증 및 동반질환 그리고 술후 균음전화율 등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결과: 1) 남녀 성비는 24:6으로 남자에 많았다. 연령분포는 20대와 30대가 18예(6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수술적응으로는 공동성 병변이 19예(63.3%), 일측폐파괴가 8예(26.7%) 그리고 일엽파괴가 3예(10%)였다. 3) 폐결핵 병변의 정도는 증중이 21예(70%), 증등증이 9예(30%)였다. 4) 일측성 결핵에 대한 수술이 20예(66.7%)였으며 우측폐에 대한 수술이 18예(60%)였다. 5) 일측성 병변의 경우 수술전 균양성 16예중 술후 균음전화된 경우가 14예로 87.5%의 균음전화율을 보였으며 양측성 병변의 경우는 10예중 9예가 균음전화되어 90%의 균음전화율을 보였다. 일측 전폐절제술을 시행한 12예중 술전 균양성인 경우가 10예 였으며, 술수 모두 균음전화되었고, 폐엽절제술을 시행한 10명중 술전균양성인 경우가 14예 였으며 술후 12예에서 균음전화되었다. 6)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사강형성이 2예(6.7%) 있었으며 경과관찰만으후 좋은 결과를 보였다. 7) 동반된 질환으로는 당뇨가 3예(10%) 있었다. 결론: 결핵치료에 있어서 화학요법단독으로는 한계가 있다. 단기간의 집중치료와 장기간에 걸친 항결핵제를 투여해도 계속해서 균양성인 환자중 두꺼운 벽을 가진 공동성 병변이나 파괴된 잔여병소를 가진 경우에는 외과적 치료가 화학요법의 효과적인 보조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폐결핵환자 접촉자에서 결핵감염의 빈도와 결핵감염의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among Contacts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박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2호
    • /
    • pp.140-148
    • /
    • 2012
  • Background: Detection and treatment of tuberculosis (TB) infection with contact investigation is a key component of TB control program. I evaluated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TB infection among contacts of recently diagnosed pulmonary TB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Methods: 206 contacts of 90 adult pulmonary TB patients underwent tuberculin skin tests (TST) and chest radiography. The TST results were considered positive with an induration of 10 mm or more, suggesting TB infection.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B infection. Results: TST was positive in 97 of 206 contacts of TB patients (47.1%) and positive rate of TST increased with age. The risk of TB infe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ose contact with TB patients (sleeping in the same room) (odd ratio [OR], 4.94; 95% confidence interval [CI], 1.43~17.00). Conclusion: TB infection rate was higher in the elderly, and the risk of TB inf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lose contact of TB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