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out sutur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5초

Delayed Lateral Row Anchor Failure in Suture Bridge Rotator Cuff Repair: A Report of 3 Cases

  • Jeong, Jae-Jung;Ji, Jong-Hun;Park, Seok-Jae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246-251
    • /
    • 2018
  • Compared to single row repair, use of lateral row anchors in suture bridge rotator cuff repair enhances repair strength and increases footprint contact area. If a lateral knotless anchor (push-in design) is inserted into osteoporotic bone, pull-out of the lateral row anchor can developed. However, failures of lateral row anchors have been reported at several months after surgery. In our cases, even though complete cuff healing occurred, delayed pull-out of the lateral row anchor in the suture bridge repair occurred. In comparison to a conventional medial anchor, further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he pull-out force, design, and insertion angle of the lateral anchor is needed in future studies. We report three cases with delayed pull-out of lateral row anchor in suture bridge rotator cuff repair with a literature review.

Revision of a Pull-out Suture Anchor in the Lateral Row During the Suture-bridge Technique

  • Kim, Kyung-Cheon;Rhee, Kwang-Jin;Shin, Hyun-Dae;Byun, Ki-Yong;Yang, Jae-Hoon;Kim, Dong-Kyu;Kim, Bo-Kun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59-159
    • /
    • 2009
  • Repeated pulling-out of a suture anchor in the lateral row despite repeated attempts at insertion during a rotator cuff repair is not uncommon with the suture-bridge techniqu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We describe a simple procedure for dealing with the pull-out of a PushLock anchor in the lateral row using a suture anchor with a suture eyelet during rotator cuff repair applying the suture-bridge technique.

  • PDF

관절경하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수정된 견인 봉합술후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odified Pull-Out Suture for Root Tear of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조진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3
    • /
    • 2012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한 후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74예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고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9.5세 였다.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1-2군)이며, 체중 부하 방사선 하지 scanogram검사에서 역학적 축을 측정하였을 때 내반 변형이 없거나 5도 이내의 경도의 내반 변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Lysholm knee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63.9점(범위; 53~78점)에서 술후 86.3점(범위; 72~94점)으로 향상 되었다 (p>0.05). 봉합술이 완전 실패한 경우는 40예 중 3예였다. 이는 현재 경과 관찰중에 있다. 관절연골 병변은 20예에서 내측 대퇴골 체중 부하 부위에 있었고, Outerbridge 분류상 1기 12예, 2기 5예, 3기 3예였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는 먼저 환자의 관절염이나 내반 변형 같은 동반 질환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며, 경도의 관절염이나 내반 변형이 있는 40~60대 중년의 환자에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할 경우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ture Hook과 pull-out PDS를 이용한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 using Suture Hook and pull-out PDS)

  • 이영국;김준석;손승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137
    • /
    • 1999
  • 목 적 : 관절경하에서 전위된 경골극 골절을 suture hook와 PDS를 이용하여 견인봉합술을 실시하고 그 수술수기와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1997년 2월부터 1998년 6월까지 견인봉합술을 시행한 12명의 환자중 최소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7예 모두 수상후 3주이내의 급성 손상이며 증상 발현부터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6.1일이었다. 7예중 4예에서 반월상 연골판파열, 내측 측부 인대손상등의 동반손상이 발견되었고 경골극 골절에 대한 수술시 동반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도 병행하였다. 결 과 : 추시기간은 평균 16.6개월로서, 7례 모두에서 골유합을 얻을수 있었으며 골유합시기는 평균 7.4주였다. 후방십자인대 견열골절 및 외측 반월상 연골판손상이 동반된 환자중 1례에서 관절 운동의 제한이 있었으나 수술후 1년 뒤 관절경적 유착 제거술이후 정상 관절 운동 범위를 보였다. 1명의 환자에서 경도의 전방 불안정성의 소견을 보였으나 자각증세나 일상생활의 제한이 없었다. 결 론 : Suture hook과 PDS를 이용한 관절경적 수술은 골편이 작거나 분쇄골절인 경우에도 해부학적 정복을 얻을수 있고, 조기 재활도 가능하므로 전위된 경골극 골절치료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의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 - 최소 5년 추시결과 - (Arthroscopic Pull-out Suture Repair of Posterior Root Tear of the Medial Meniscus - Minimum 5 Years Follow-up Results -)

  • 사공협;신홍관;이영국;배기철;조철현;이경재;손은석;김두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3-159
    • /
    • 201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5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로 진단받고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중 5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76개월(60-90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Lysholm knee score로 확인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Kellgren-Lawrence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전예에서 2차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였다. 외상, 비만, 내반 변형 및 수술 시기 등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수술 전 Lysholm knee score 평균 55점에서 5년 추시 시 평균 86점으로 호전을 보였고, 방사선학적 추시 검사 결과 23예에서 관절 간격의 유지 및 호전 소견 보였으며, 7예에서 관절 간격이 감소되는 등의 퇴행성 변화가 있었고, 그 중 1예에서 골 관절염의 진행 소견으로 추후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하여 최소 5년 추시에서 27예(90%)에서 양호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내반 각도가 클수록 임상적으로 호전되는 정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 PDF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using Pull-out Suture for the Treatment of Acute or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Technical Note -)

  • 안진환;김재훈;하해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18
    • /
    • 2006
  • 목적: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의 해부학적 위치를 고려하여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을 새롭게 고안하였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관절경하에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내측 관절막에 봉합사를 관절 밖에서 안으로 통과시킨다. 슬개골에 유도강선으로 3개의 터널을 뚫는데, 그 관절내 입구가 슬개골의 내측 변연 상부 1/2에 위치하도록 한다. 관절 내로 들어와 있는 봉합사를 슬개골의 터널을 통해 관절 밖으로 빼내고, 봉합사에 긴장을 준 상태에서 적절한 정도로 외측 지대 유리술을 시행한 후 봉합사를 결찰한다. 결론: 본 술기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내측 슬개-대퇴 인대를 봉합함으로써 내측 관절막 중첩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슬개골의 아탈구 및 경사를 교정할 수 있으며, 최소 침습적이고 비교적 쉽고 간단하여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에서 UU 봉합법은 변형된 MA(Mason-Allen) 봉합법을 대치할 수 있는가? - UU 봉합법과 변형된 MA 봉합법의 생역학적 비교- (Is the UU Stitch Really Alternative to Modified MA (Mason-Allen) Stitch for Rotator Cuff Repair? - Biomechanical Comparative Study of UU to Modified MA Stitch -)

  • ;고상훈;박기봉;전형민;김태원;임현우;염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07-214
    • /
    • 2009
  • 목적: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에서 일반적으로 건-봉합간 접촉면 (tenon-suture interface) 에 약한부위 (weak link)가 형성되어 있어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봉합은 개방적 봉합술보다 높은 재파열율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봉합사를 뼈에 고정할 때 관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UU (Ulsan University) 봉합과 개방적 변형 MA (Mason-Allen) 봉합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한 구의 사체 극상근 건을 채취하여 절반으로 나눈 후 다시 절반을 나누어 사체의 어깨 관절 한 구당 네 개의 건을 만들어 총 24개의 검체를 만들었다. 두 봉합 형태 (UU, MA)는 무작위로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건에 시행하였다. 검체는 0.25 Hz에서 5~30N의 조절된 외력하에서 50회 주기 부하 (cyclic loading)를 받았다. 각 검체는 초당 1mm의 전이가 되는 상황하에서 파열이 발생할 때(ultimate tensile load)까지 부하를 받았다. 조건 이완 (condition elongation), peak-to-peak 전이(displacement), 기울기 (stiffness), 최대 인장력 (ultimate tensile load), 파열 양상 (mode of failure)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주기 부하 실험에서 두 봉합 형태 간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최대 장력 실험에서 UU 봉합과 변형 MA (Mason-Allen) 봉합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9.4 N, and 110.6 N). 양 봉합 형태에서 가장 흔한 파열 양상은 봉합의 빠짐 (suture pull-out)이었다. 결론: UU 봉합과 변형 MA 봉합은 유사한 생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의 수술적 치료 - 최소 4년 이상 추시 결과 - (Surgical Outcome of Primary Repair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Minimum 4-years follow-up -)

  • 변기용;이광진;이석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27
    • /
    • 2000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후 일차적 봉합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수술을 받았던 25례를 대상으로 IKDC 평가표와 Lysholm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및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를 평가하였다. 대상환자 중 18례에서는 pull-out suture를 시행하였으며, 7례에서는 박근 및 반건양근을 이용한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IKDC 분석 결과, 전체 환자중 3례에서 A군으로, 13례에서 B군으로, 9례에서 C군으로 평가되었다. Lysholm score는 평균 83점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인대 이완도 평가에서는 20lb에서 평균 전방 전위는 3.89mm이었으며, 30lb에서는 평균 7.3mm의 전방 전위를 보였다. 건측 무릎과 환측 무릎의 평균 전방전위도 차이는 20lb에서 1.09mm이었으며, 30lb에서 2.29mm이었고 건측과 환측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IKDC라 Lysholm score는 재건술을 시행한 후 평가한 여타 보고에서의 결과보다 만족스럽지 못하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 평가에서도 건측 무릎에 비해 많은 전방 전위를 보였던 바, 특히 젊고 활동성이 많은 환자에 있어서 인대 봉합술 보다는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사료 된다.

  • PDF

고리 봉합법을 이용한 심부 수지 굴건 종지부에서의 건봉합 (Loop Suture Technique for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Repair in the Insertion Site)

  • 이규철;이동철;김진수;기세휘;노시영;양재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650-658
    • /
    • 2010
  • Purpose: In the case of repair for far distal parts of FDP (Flexor digitorum profundus) division, the method of either pull-out suture or fixation of tendon to the distal phalanx is preferr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a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 used for the complete division of FDP from both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in Moiemen classification are presented. Methods: From July 2006 to July 2009, the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 was used for the 10 cases of FDP in complete division from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especially where insertion sites were less than 1 cm apart from a tendon of a stump. In a suture technique, a loop is applied to each distal and proximal parts of tendon respectively. Core suture of 2-strand and epitendinous suture are done with PDS 4-0. Out of 10 patients, the study was done on 6 patients who were available for the followup.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9.1 years (in the range from 26 to 67). 5 males and 1 female pati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re were 3 cases with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The average distance to the distal tendon end was 0.6 cm. There were 5 cases underwent microsurgical repair where both artery and nerve divided. One case of only tendon displacement was presented. The dorsal protective splint was kept for 5 weeks on average.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tests were measured: active & passive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test, key pinch and pulp pinch test. Results: The follow-up period on average was 11 months, in the range from 2 to 20 months. There was no case of re-rupture, but tenolysis was performed in 1 cases. In all 6 cases, the average active range of motion of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was 50.8 degree. The grip strength (ipsilateral/contralateral) was measured as 88.7% and the pulp pinch test was 79.2% as those of contralateral side. Flexion contracture was presented in 2 cases (15 degree on average) and there was no quadrigia effect found. Conclusion: Despite short length of tendon from the insertion site in FDS rupture in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sufficient functional recovery could be expected with the tendon to tendon repair using the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