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shing ecosyste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ICT-based Cooperative Model for Transparent and Sustainabl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 Jung, Youngim;Seo, Tae-Sul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1권1호
    • /
    • pp.53-71
    • /
    • 2022
  • The overall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ctions taken to counter predatory publishing practices as well as to propose an ICT-based model to detect such practices. The need to raise quantitative performance metrics to support career goals has created immense pressure on researchers to publish in the literature as frequently as possible. This "publish or perish" syndrome appears to be fueling a rise in scholarly journals and conferences that provide quicker and easier routes to publication. However, such avenues sometimes involve questionable academic practices with important ethical ramifications. One notable example is the proliferation of predatory publishing, including predatory journals and fake conferences. The widening impact of such activities is beginning to prompt academic societies, publishers, and institutions to take measures.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n predatory publishing practices, and some of the actions taken by various stakeholders to address these practices. In order to build a transparent and sustainabl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this study highlights multi-dimensional and specific solutions, including reforms to research ethics codes, research management rules, and legal protection from exploitative practices. This paper proposes an ICT-based cooperative model for monitoring of predatory publishers as a potential solution to create a sustainable and transparent infrastructure for a scholarly publication system guarding against misconduct in publishing practices.

장애인용 전자출판 생태계와 전자책 시장 활성화 방안 (Electronic Publishing Ecosystem and Promotion of E-book Market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 전광일;임명환;길연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2호
    • /
    • pp.219-230
    • /
    • 2015
  • Recently, electronic-book (e-book)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book standard EPUB. Users can search e-book on-line and download easily to their e-book readers such as amazon's kindle or smartph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lack of e-book contents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because of high cost of making e-book accessibility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If we can translate EPUB specified e-book contents to the alternative e-book contents suitable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then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acquire various types and large volumes of e-book contents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This paper suggests a new electronic publishing ecosystem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using e-book translation method. It also suggests a promotion strategy of e-book market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1-124
    • /
    • 2020
  •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생태정보의 공유를 위한 생태정보 포털서비스 (EcoBank) 구축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Ecological Data Portal Service (EcoBank) for Sharing Ecological Information of Korea)

  • 성선용;권용수;김기동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12-220
    • /
    • 2018
  • Ecological and ecosystem database is becoming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origins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lso to minimize disturbance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can play important roles as a computing system to collect knowledge, distributed research findings and separated data from research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developed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EcoBank 1.0)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ecological information for diverse classes of stakeholders. To reach the goal, we had reviewed related and comparable ecological database portals to design conceptual structure of EcoBank system including database management framework. Then, we developed some functions of ecosystem analysis for each stake-holders (researchers, general public and policy mak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signed of EcoBank system covering the functions of Digital Object Identifier(DOI) publishing and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Also, we (1) applied ecological indices for calculating biodiversity by administrative boundary for policy makers, (2) provided statistical information of econature map for general public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pecies for researchers. To make a successful establishment of EcoBank, we have to collect and build up related database and offer various and reliable ecological data consistently. We expect that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EcoBank will help not only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ut also to raise the welfare of ecosystem in Korea.

콘텐츠 권리의 공정거래에 관한 연구: 출판산업 가치사슬에서 중소 콘텐츠 창작자와 출판업자의 권리 보호 (A Study on the Fair Trade of Content Rights: Protecting Small & Medium Sized Content Creators and Publishers in the Nested Publishing Industry)

  • 최경규;이영대
    •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 /
    • 제20권2호
    • /
    • pp.51-66
    • /
    • 2017
  • 온라인 및 무선 통신은 콘텐츠 산업 시장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유통 채널이 서점에서 스마트 플랫폼으로 이동함에 따라 거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제작자에게 새로운 크고 작은 기회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기회는 산업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창의적 중소기업의 성장이 중요한 콘텐츠 산업 특성상, 산업의 건전성과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저작권에 관한 공정거래 규칙이 필요하다. 하지만 산업의 몇몇 구조적 특성이 이러한 규칙의 시행을 어렵게 한다. 첫째, 콘텐츠 업계는 주요 출판사들처럼 다수의 중소 판매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구글과 같은 플랫폼 회사 등 최종 판매자들은 독점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셋째, 콘텐츠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도 어렵다. 기업 인수의 측면에서 보면, 저작권 거래는 (1) 라이선스(권리위임) 모델, (2) 원시취득 모델, (3) 수요독점 모델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출판업계에서의 주요 법령과 각 모델 별 적용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과 미국의 법령, 판례분석, 공정거래위원회(FTC)의 심결들을 분석하여 저작권 거래의 공정성/불공정성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콘텐츠 저작권의 공정한 거래를 제고하기 위하여 콘텐츠 산업의 일반적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출판산업 생태계가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PDF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지역착근성 기반 산업생태계 핵심역량 분석 (Analyzing Core Competence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Ecosystem -based on Kyunggi Region-)

  • 김연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72-677
    • /
    • 2016
  • 본 논문은 LQ(Location Quotient) 분석을 기준으로 경기도 권역 특성에 맞는 산업생태계 기반의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을 분석하였다. 매출액 기준의 경우 만화, 캐릭터, 출판, 지식정보 산업이, 사업체 수 지표의 경우 만화, 음악, 게임, 캐릭터, 지식정보 산업, 종사자수의 경우 출판, 만화, 게임, 영화, 캐릭터 산업이 LQ 1.0 이상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 산업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경기지역의 매출액,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의 산업생태계 기초 지표 모두에서 입지분석인 LQ 1.0 이상의 고 경쟁력을 보인 핵심역량을 가진 산업은 만화와 캐릭터산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산업 클러스터의 형성을 통한 지식과 정보, 인력의 흐름은 산업성장을 이끌 수 있으므로 경쟁력 있는 산업군의 파악은 지역 클러스터의 핵심역량강화의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연구논문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최근 학술출판 동향 -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Recent Academic Publishing Trends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of COVID-19 Articles: Focused on Medicine and Life Science)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32
    • /
    • 2021
  •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에 출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연구논문 데이터를 WoS로부터 수집하여 주제, 기관, 연구지원처별 분포를 파악하는 등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학술정보의 생산과 유통 활성화에 있어 중요 변수인 학술지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 코로나19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는 국제 학술지에 의학 분야 연구논문을 많이 발표하였고, 생물학, 다학제 분야 연구논문의 출판도 활발하였다. 이들 연구자는 해외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뿐만 아니라 국내 영문 학술지에도 연구논문을 다수 출판하였다. 분석된 연구논문의 94%가 오픈액세스였고, 출판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골드 오픈액세스도 전체의 약 70%에 달하였다. 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정형외과 연구논문을 PubMed로부터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심사소요일은 약 24일이었다.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의 분석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학술 출판 생태계의 협력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학술 출판 생태계 구성 주체의 협력이 계속 유지된다면 학술지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향상과 심사의 효율성 증진 등 학술출판계의 장기과제가 해결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인텐트 메커니즘의 확장 (Extended Intent Mechanism for Increasing Code Reusability of Android Applications)

  • 안수정;김병호;김진천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23-229
    • /
    • 2011
  • A novel ecosystem surrounding developing, publishing and using of smartphone applications is driving a new paradigm in software industry. Thousands of applications are newly published on appstores everyday. However more than 97% of them happen to be downloaded less than 1,000 times and resultingly disappeared out of user's interesting. It means that so many efforts and time of developers are vanish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architecture to increase code reusability of Android applications so that the time and efforts to develop new applications can be shortened. The proposed architecture, an extended Intent mechanism, supports sharing of Android components among the applications registered in different servers as well as in the same Android device. We designed a new Intent mechanism by extending the PackageManager service and by adopting a new class for ServerPackageManager service.

Biotechnology Development Collaboration System and Limitations of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 Yu, Tae 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247-252
    • /
    • 2022
  • The purpose of the domestic physician scientist support program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biotechnolog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xamining whether the purpose of support is being faithfully implemented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future domestic biotechnology development ecosystem.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analysis to 79 MD-PhD experts who participated or participated in doctor scientist program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a total of 25 researchers, one researcher from each classroom in parasitology, microbiology, pharmacology, biochemistry, physiology, and anatomy, which had the highest paper citations in the last five years (2016-2021),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research. I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view. As a result, 25 selected pseudo-scientists(MD-PhD) identifi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as co-researchers when publishing in overseas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5 years(2016-2021), and identified the affiliation and name of the top 5 among them, as well as the pseudo-scientist(MD-Ph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 total of 123 co-researchers(excluding 2 missing values) of the top 5 co-researchers with a high degree of co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researcher(25 in total), and the collaboration of pseudo-scientists. Relationships,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s were examined. Nodexl Basic 2018 ver. (Microsof)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could be visualized by apply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s.

전문잡지의 생태계 모델 분석 - 잡지사·커뮤니티·사용자의 협업체계를 중심으로 (Study of the Ecosystem Model of Magazine on Special Genre Focusing on Collaboration System within Magazine Firm, Community and Creative User)

  • 장용호;공병훈;진전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831-4843
    • /
    • 2014
  • 전문잡지들은 복잡도가 높고 다이내믹하며 심한 불확실성을 보이는 잡지산업 생태계에 대한 적응 전략으로서, 지식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연화되고 개방된 협업적, 동료적, 집합적 생산체계를 작동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방법으로서 직접 관찰, 전문가 심층면접,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이를 통한 '잡지산업', '전문잡지사 커뮤니티 사용자간의 협업체계', '전문잡지의 생태계 모델'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잡지 생태계는 잡지사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생산 참여자와 잡지 플랫폼이 결합되는 가치 네트워크의 개방적 혁신의 협업 모델로서 진화/적응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잡지사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경 변화에 힘입어 커뮤니티, 전문가 사회집단/조직, 창조적 사용자의 다양한 행위/상호작용이 핵심적으로 작동되는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셋째, 전문잡지 생태계 모델은 콘텐츠 공급 영역의 다양한 잡지 생산 주체들이 플랫폼 영역에서 상품군과 플랫폼 유형에 적합한 상호작용을 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체계이다. 전문잡지의 모델은 게임, 출판,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과 같은 패턴의 프랙탈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상호작용성과 사용자 참여의 수준이 가장 높은 창조 친화적 기술 혁신 모델로 수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