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8초

모바일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의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 이창희;김명수;금기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67-176
    • /
    • 2013
  • PURPOSES : Lately, a traffic information market has been developed with a rapid speed owing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 this situation,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of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of users will be diverse implications and a strategic foundation to local governments and transportation information related enterprises that should provide satisfactory info as public goods to much more users. METHODS : Going along with the flow, this study establishes features of the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aiming to the users and analyzes empirical causality for effects of the use intension and the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s analysis, targeting users having experienced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among smart phone users, a survey was conduct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lighted and the effects of the us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ULTS :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Accuracy, Riskiness, Ubiquity and Interactivity as all attributes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respectively.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affected significantly users' satisfaction respectively, so consequentially this shows effect relationship leading to reuse intention. CONCLUSIONS :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ll for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shown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satisfaction. With this kind of result, if users obtain positive outcomes such as travel time reduction or effective roles on their tasks through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they feel the satisfaction for using and eventually these affect positively to the reuse intention of thos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서울 대도시권 통합 대중 교통망에서 연도별 및 요일별 시간거리 접근도 변화 (Changes of Time-Distance Accessibility by Year and Day in the Integrated Seoul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5-3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통행속도와 같은 교통환경에 나타나는 변화가 대중교통이용자의 시간거리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도시권 대중교통체계의 3개년(2011년, 2013년, 2015년)의 각각 1주일치 통행기록을 담은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다. 교통카드빅데이터에는 대중교통이용자들의 통행궤적에 대한 시 공간 정보가 담겨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자료의 통행시간을 토대로 각 시점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지하철 역 및 버스 정류장들 사이의 링크들의 시간거리를 산출한다. 실험 결과로 얻어진 통합 교통망에서 접근도 변화는 두 가지 관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해가 지날수록 접근도는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교통망이 더 복잡해짐으로 차량의 이동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둘째, 요일별 접근도 변화 분석에서 주말에 접근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버스노선들 상의 버스 속도가 주말에 빨라지기 때문이다. 접근도 변화의 분석을 위해 연도별과 요일별 차량속도와 승객수를 그래프로 설명한다.

도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교통 예측 모델 - 환경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기계 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의 구축 및 검증 - (Big Data Based Urban Transportation Analysis for Smart Cities - Machine Learning Based Traffic Prediction by Using Urban Environment Data -)

  • 장선영;신동윤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2-19
    • /
    • 2018
  • The research aims to find im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and urban big data as a way to construct the flexible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of smart city by responding the urban context changes. This research deals with a problem that existing a bus headway model is difficult to respond urban situations in real-time. Therefore, utilizing the urban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prototyping tool in weathers, traffics, and bus statues, this research presents a flexible headway model to predict bus delay and analyze the result. The prototyping model is composed by real-time data of buses. The data is gathered through public data portals and real tim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by the government. These data are fundamental resources to organize interval pattern models of bus operations as traffic environment factors (road speeds, station conditions, weathers, and bus information of operating in real-time). The prototyping model is implemented by the machine learning tool (RapidMiner Studio) and conducted several tests for bus delays prediction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As a result, possibilities of transportation system are discussed for promoting the urban efficiency and the citizens' convenience by responding to urban conditions.

우리나라 도시교통 행정체계의 분석 (Systems Approach to the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System in Korea -With Emphasis on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Analysis-)

  • 안문양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45
    • /
    • 1985
  • Most transportation problems are expected to be dealt with by public sector, mainly government organizations, even though few articles are available to tackle the problems from the administrative points of view.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copes: to define the transportation system; to derive the subsystems, i.e., the functions of the system; to identify the elements (or organization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to study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and to derive problem areas; and finally to propose a new administrative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System Theory was exclusively used for defining the system and deriving subsystems of transportation. Laws and regulations about government organization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evant organizations. Communications analysis was used for deriv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organizations. Ledger books containing incoming-and-outgoing documents in the sampled organizations were inputed onto computer. Exactly 49,367 records(i.e., information flows) were stored for this analysi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new administrative system that is expected to result in more cooperative and productiv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transportation organizations.

  • PDF

OPEN API를 이용한 개방형 교통정보 제공기법 (Open Architecture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using OPEN API)

  • 이지원;남두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4
    • /
    • 2012
  •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은 IT(Inform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교통운영 효율을 도모하기 위한 체계이다.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이 정부기관에서 만 제공되던 양상을 벗어나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통합되고 가공되어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정보의 제공수단의 다양화, 환경,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앱의 개발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스마트폰내의 교통관련 앱의 현황을 분석하고 교통정보의 연계 및 제공방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기법의 문제점과 개방형 체계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합 대중교통망에서의 경로기반 통행배정 모형 (A Path-Based Traffic Assignment Model for Integrated Mass Transit System)

  • 신성일;정희돈;이창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11
    • /
    • 2007
  • 2004년 7월 단행된 서울시 대중교통 개편 정책 이후 통합거리비례요금제도와 함께 대중교통카드(스마트카드) 시스템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이렇게 도입된 대중교통카드는 개개인의 통행, 환승 정보 및 이용 수단 등의 통행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불가능하였던 경로 기반의 개인 및 대중교통의 통행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된 대중교통망에서의 대중교통 평가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중교통 평가를 시뮬레이션 및 자료 구축 등의 한계로 인하여 링크기반통행배정모형에 의존한 연구와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현재는 대중교통카드로부터 전수화된 경로 기반의 개인 및 대중교통 통행 특성 자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이는 기존의 링크 기반의 대중교통 분석 방안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통합적 교통망 차원의 대중교통 평가를 경로 기반의 대중교통 분석으로 전환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전개될 통합 대중교통 시대에 적합하며, 대중교통카드로부터 얻어진 통행 자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경로 기반 통행배정 모형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경로 기반 통행배정 모형에서 선험적이지만 구현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해를 도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Column Gener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연구는 출발지와 도착지에 탐색된 경로를 이용하여 구축된 부분 네트워크에 국부적인 균형 해법을 도출하여 전체적인 해법에 도달하게 하는 기법을 활용한다.

  • PDF

IoT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한 버스 알리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us notification using IoT and location information)

  • 이예은;김은영;윤혜진;김지윤;권구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2-295
    • /
    • 2020
  • 현대 사회에 들어서 급속도로 발달한 대중교통 서비스와 위치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람들은 손쉽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취약계층과 같은 교통약자에게 이러한 서비스는 큰 효용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반을 둔 대중 버스의 도착 정보와 거리측정 센서를 장착한 버스 알리미 단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에 있어 소외된 교통약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접근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and Transport Strategy)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3-332
    • /
    • 1999
  • The bus should supply an equal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as feeder trip. However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an effective feeder service in spite of the changes in the latent demand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frames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tackled this evidence by analyzing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emphasizing the following issues ; First, the strategy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Fourth,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ation mode On the latter part,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ould be justified.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 PDF

공공 빅데이터를 사용한 자전거 교통 시스템 설계 및 활용 (Building and Application of Bicycle Transportation System Utilizing Public Big Data)

  • 송병준;최현호;손주희;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433-434
    • /
    • 2019
  • 이 논문은 공공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자전거 따릉이'를 기반으로 자전거 교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작하고, 제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활용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제작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 수집, 제작 및 가공 과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유용한 활용 예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스, 택시와 같이 따릉이와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중교통 데이터를 추가로 활용한다면 더욱 정확하게 따릉이의 발전방향과 혼잡한 교통 환경 개선을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epwise 환승계수를 고려한 Logit 유형 대중교통통행배정모형 (A Logit Type of Public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tepwise Transfer Coefficients)

  • 신성일;백남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0-579
    • /
    • 2016
  • Stepwise 환승계수(이하 STC)는 환승회수 증가에 따라 환승비용을 실제보다 많게 인식하도록 한다. 통행시간과 최소환승회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감안하는 취지이다. STC가 포함된 경로탐색문제는 비가산성비용을 포함하며 최적조건의 비성립으로 경로열거가 요구된다. 따라서 대중교통망에서 STC를 고려하는 경로탐색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경로탐색의 실패를 우회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STC가 포함되는 대중교통망에서 확률적 통행배정모형에 대하여 검토한다. 비가산성 경로문제를 완화하는 방안으로 유입링크기반 전체경로삭제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전체경로삭제기법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서로 상이한 경로의 구성된 가능경로집합을 구축하기 용이하다. STC를 반영한 경로기반 Logit 모형을 대중교통통행배정기법으로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