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siz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77-398
    • /
    • 2013
  • 대규모 도서관을 몇 개 건립하는 것보다 소규모 도서관을 많이 건립하는 것이 단기간에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큰 규모로 건립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중 대규모로 건립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791개 공공도서관의 연면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평균 연면적은 $2,495m^2$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규모 측면에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려해야할 도서관 건립 정책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규모계획기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 공공도서관건립 컨설팅지원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

  • 고흥권;임채진;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90-199
    • /
    • 2012
  • In this era of information, the public library takes a important role in the local community. In several years, public libraries have been proliferated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pecific planning standards of space size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The situation has lead the local governments to the need of consulting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library in search of appropriate guideline. The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result of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t examines total 11 libraries which were consulted from 2009 to 2011. It examines the configu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scheme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inal scheme after the consulting, and the percentages of gross areas of each parts of library, reference and reading area, office area, education and cultural area, and public common use area. The analysis concludes that reference and reading area increased by 6.4% from 34.1% to 40.5%, and public common use area reduced by 6.1% from 30.2% to 24.1%, which represents a certain tendency of the configuration ratio of the each parts. Thus, the paper could be a starting point of establishing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PDF

공공도서관 세부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임호균;고흥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90-3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The 26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outstanding libraries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rom analysis and the guideline from manual book of public librar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The first, reference reading rooms were open-plan rather than segmented. The second, the percentages of reference reading spaces from the data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role of public library expanded to cultural community space. The third, children's space retained sufficient numbers of book collections. It represent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brary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The fourth, the percentage of space size of cultural area showed high amount of number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public library as community center was required various cultural programs. The fifth, the percentages of preservation library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 in case of the big libraries, while the small libraries were higher. The book collections of detached annex libraries should be linked with the central libraries.

  • PDF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29-448
    • /
    • 2008
  •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PDF

영국의 공공도서관법연구

  • 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177-206
    • /
    • 1980
  • Public library legislation is the essential means of providing for all the citizen in modern society with a standard public library service. We can trace the origin of that back to the Public Libraries Act 1850 in England. This paper is reviewing all the measures concerning public libraries of England since then in order to find out some guidelines for revision of the Korean Library Law enacted in 1963. Although Public Libraries Act 1850 was an output of a series of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it established first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 su n.0, pported by public funds. However the Act had several restrictions hindering public library service from making progress. These are: 1. Adoptive legislation in nature 2. Limitation of the size of population and rate income 3. Small library authorities 4. Procedure for adoption by public meeting 5. Restrictions on the ways in which rate income might be spent 6. No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direct or control for a standardized public library service 7. No cooperative schemes among libraries. Subsequent development was directed largely to removal of those limitations.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Act 1964 as a model of public library legislation was enacted on the basis of such reports as Kenyon, McColvin, Roberts, and Bourdillon. All but the problem of small library authorities were removed with this new Act. The final object could be achieved by the Local Government Act 1974 which reorganized existing 383 small authorities into new 115 ones the average population of which was 280, 000. Now, McColvin's dream of 30 years could be fulfilled in the late 70's. He argued that the minimum size of population of a viable authority should be 300, 000. Although the effect of the 1964 Act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England was great, there must be some considerations as to the provisions of public library objective, government funding for library services, free use of library materials to all regardless of residence, and placement of library committee within the authority.

  • PDF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의 성과에 관한 연구 - 2010년~2013년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Evaluation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During 2010~2013)

  • 차미경;표순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1-268
    • /
    • 2015
  •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도서관 운영 평가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 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기간(2009년~2013년) 가운데,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된 2010년 실적부터 2013년 실적까지 4년간의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규모를 기준으로 한 범주별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눈 지역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과 장서구성 등 내부 운영 역량 개선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격차는 개선되지 않았으며, 도서관 그룹 별로 투입 자원과 도달률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하여 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 New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7-58
    • /
    • 2021
  • 본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최상의 이용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건립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P신도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P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초기 단계에는 도서관 건립계획이 없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건립에서 P신도시에 차등이 있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수가 부족하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입지가 미흡하다.

공공도서관 평가 영향 요인 분석 - 충청남도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Public Library Evaluation: Public Libraries In Chungcheongnam-do)

  • 신배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07-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의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공공도서관의 소속기관과 규모에 따른 평가그룹간 평균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방문객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충청남도에서 2020년에 실시한 공공도서관 평가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정량평가 4개 영역과 9개 세부항목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Regree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소속기관과 규모에 따른 평가그룹의 평균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정책수립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군집분석 기법을 이용한 공공도서관 그룹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ibrary Grouping using Cluster Analysis Methods)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9-9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그룹화를 위해 적합한 군집분석 모델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데 있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공공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군집분석 기법의 3가지 모델을 적용하였다. 공공도서관 규모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가지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의 크기는 크게 한쪽으로 치우쳤다. 그룹화 모델로 도서관 규모를 기준으로 삼으면, 계층적 군집분석의 와드측정법과 k-평균군집분석 모델이 적합하였다. 공공도서관 그룹화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 데이터 외에 도서관 서비스 관련 다양한 데이터 수집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분석 대상이 되는 데이터 세트에 적합한 분석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군집분석 기법의 다양한 분야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가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of Children's Library)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87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 공공/어린이도서관 홈페이지에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27개의 어린이 열람실, 어린이 도서관 그리고 사설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검색 항목의 수에 따라 4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국외의 경우 International Children's Digital Library, Mid-Hudson Library System KidsOnline, LA Public Library Kid's Path의 정보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어린이용 검색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읽기 쉬운 글자크기로 언제든지 쉽게 바꿀 수 있을 것.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이 모두 가능할 것. 아이콘의 크기는 어린이들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하기 쉬운 크기로 디자인 할 것 철자 검사 기술은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자 문제를 최소화 시킬 것.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경우 이용 대상자를 참여시켜 이용자의 눈높이에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