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healthcare center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5초

Trends and Outcomes of Type 2 Myocardial Infar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 Harshith Thyagaturu;Nicholas Roma;Aakash Angirekula;Sittinun Thangjui;Alex Bolton;Karthik Gonuguntla;Yasar Sattar;Muchi Ditah Chobufo;Abhiram Challa;Neel Patel;Gayatri Bondi;Sameer Raina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12호
    • /
    • pp.829-839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re is limited data on the impact of type 2 myocardial infarction (T2MI)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National Inpatient Sample (NIS) database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0 was queried to identify T2MI hospitalizations based on the appropriat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Tenth Revision-Clinical Modification codes. Monthly trends of COVID-19 and T2MI hospitalizations were evaluated using Joinpoint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multivariate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inhospital mortality, coronary angiography use, and resource utilization between 2019 and 2020. Results: A total of 743,535 patients hospitalized with a diagnosis of T2MI were identified in the years 2019 (n=331,180) and 2020 (n=412,355).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in T2MI hospitalization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in COVID-19 hospitalizations in 2020. The adjusted odds of in-hospital mortality associated with T2MI hospitaliz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20 compared with 2019 (11.1% vs. 8.1%: adjusted odds ratio, 1.19 [1.13-1.26]; p<0.01). In addition, T2MI hospitalizations were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coronary angiography and higher total hospitalization charges, with no difference in the length of stay in 2020 compared with 2019. Conclusions: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2MI hospitalizations with higher in-hospital mortality, total hospitalization costs, and lower coronary angiography use during the early COVID-19 pandemic corresponding to the trends in the rise of COVID-19 hospitalizations. Further research into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can increase our preparedness for future pandemics.

PET/CT 검사에서 비스무스(bismuth) 차폐체의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Bismuth Shields in PET/CT Examination)

  • 박훈희;이주영;김지현;남궁식;유광열;이태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1호
    • /
    • pp.49-56
    • /
    • 2014
  • 최근 PET/CT는 CT의 발전과 함께, 피폭선량의 저감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비스무스(bismuth) 차폐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지만 현재 PET/CT 검사에서의 적용은 활성화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PET/CT 검사에서의 비스무스 차폐체의 적용에 따라 영상의 질과, 표준화섭취계수(SUV)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방차폐의 적용을 위해 0.06 mm Pb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비스무스 차폐체(AttenuRad_F&L Medical Product Co, USA)를 사용하여 PET/CT 장비 GEMINI TF 64(Philips Healthcare, Cleveland, USA)에 적용하였다. 실험은 NEMA IEC Body Phantom을 사용하여 비스무스 차폐체 적용 유무에 따른 영상을 획득하였다. 또한 적용 시에는 0cm, 1cm, 2cm의 간격 변화를 주어 영상을 획득하였고, 각각의 영상을 EBW(Extended Brilliance Workstation)NM ver.1.0을 이용 팬텀의 Depth에 다른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표준섭취계수를 각각 10회씩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SPSS ver.18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PET의 방출(Emission)영상 획득 시 비스무스 차폐체의 적용으로 발생한 방사선 경화현상에 기인하여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P<0.005), 깊이에 따른 차이는 팬텀의 심부에서 표면으로 갈수록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하였다(P<0.005). 또한 차폐체 사용 시 간격이 줄어들수록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05). 본 연구를 통해 피폭저감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스무스 차폐체의 PET/CT에서의 검사에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차폐체 적용에 따른 표준섭취계수의 차이가 존재하며 그 차이는 차폐체와 표면의 간격이 넓을수록 줄어든다. 그러므로 차폐체의 충분한 간격 설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영상의 질과 표준섭취계수 편차의 감소를 고려한다면, 질환에 따라 표재성 질환보다는 심부나 타 장기의 적용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또 한 비스무스차폐체 사용에 따른 표준섭취계수를 감안한 임상 검사 적용 시, 불필요한 피폭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산부 간접흡연과 저체중아 및 조산아 출생에 관한 코호트 연구 (Maternal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ETS) and Pregnancy Outcome(low birth weight or preterm baby) in Prospective Cohort Study)

  • 이보은;홍윤철;박혜숙;이종태;김정연;김영주;김상훈;강중구;김주오;하은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17-124
    • /
    • 200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and pregnancy outcomes (low birth weight or preform baby)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Methods : We made a pregnant women's cohort, and followed the pregnancy outcomes, between May 1st 2001 and August 31st 2002. We surveyed 2,250 women who visited our hospital during their 35th gestational week,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final total of mother-infant pairs analyzed in this study was 1,712. We us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maternal ETS on the incidence of preform or low birth weight,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Results : Higher exposure to ETS (>=1 hours/day) during pregnancy was mo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than no exposure to ETS (no or less than 1 hour). Maternal exposure to ETS was associated with preform baby(adjusted odds ratio (AOR) 1.7; 95% confidence interval (CI) 0.9, 3.3) and low birth weight (AOR 2.3; 95% CI 0.9, 5.5). In addition, we found that maternal ETS may reduce the birth weight by 70g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maternal exposure to ETS during pregnancy may increase the frequency of low birth weights and preform births.

The Prevalence Rate of Tuberculin Skin Test Positive by Contacts Group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ctive Tuberculosis After School Outbreaks

  • Kim, Hee Jin;Chun, Byung Chul;Kwon, AmyM;Lee, Gyeong-Ho;Ryu, Sungweon;Oh, Soo Yeon;Lee, Jin Beom;Yoo, Se Hwa;Kim, Eui Sook;Kim, Je Hyeong;Shin, Chol;Lee, Seung H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4호
    • /
    • pp.349-355
    • /
    • 2015
  • Background: The tuberculin skin test (TST) is the standard tool to diagnose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in mass scree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n optimal cut-off point of the TST+ rate within tuberculosis (TB) contacts to predict the active TB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 in school TB outbreaks. Methods: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was used to identify active TB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initial TST (cut-off, 10 mm). The 7,475 contacts in 89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ident TB group (43 schools) and no incident TB group (46 schools). LTBI treatment was initiated in 607 of the 1,761 TST+ contacts. The association with active TB progression was examined at different cut-off points of the TST+ rate.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3.9{\pm}0.9years$. Thirty-three contacts developed active TB during the 4,504 person-years among the TST+ contacts without LTBI treatment (n=1,154). The average TST+ rate for the incident TB group (n=43) and no incident TB group (n=46) were 31.0% and 15.5%, respectively. The TST+ rate per group was related with TB progression (odds ratio [OR], 1.0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1.050; p=0.037). Based on the TST+ rate per group, active TB was best predicted at TST+ ${\geq}$ 16% (OR, 3.11; 95% CI, 1.29-7.51; area under curve, 0.64). Conclusion: Sixteen percent of the TST+ rate per group within the same grade students can be suggested as an optimal cut-off to predict active TB develop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s TB outbreaks.

여주지역 영유아 대상 영양플러스 사업 효과 - 영유아 영양보충 및 보호자 영양교육 실시에 따른 영유아의 영양개선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

  • 박옥진;이민준;김지향;민성희;이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67-776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nutritional improvement of 0~5 year children of financially poor families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The subject selected among applicants for low-income family financing of the government included 198 children (0~12 months:92, 1~5 years:106), and the average ages were 5.3 months and 2.4 years respectively. Food that includes each nutrient factor was provided to the subject for six months. Nutrition education was performed in two ways, through class and private education, once a month for both. Nutritional improvement was evaluated by body measurement and anemia prevalence rate. As to the survey on breast-feeding, complet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58.7%, weaning food 27.3%, and combined feeding 14.1%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breast-feed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The education program improved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arents/guardians, which brings in positive effects on growth of children as well.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0~12 month children $(8.5\pm1.75\;to\;8.9\pm1.69)$ and 1~5 year children $(7.3\pm1.39\;to\;7.8\pm1.30)$. The nutrition attitude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0~12month children $(52.0\pm6.99$ to $53.5\pm5.21$, p < 0.001) and 1~5year children ($45.1\pm7.30$ to $49.0\pm5.96$, p < 0.001). In evaluation on nutritional improvement based on body measurements, it turned out that the wasting was reduced as for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The concentration of hemoglobin after the nutrient treatment for six month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anemia prevalence rate as well was reduced from 40.6% to 13.5%,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turned out that providing quality food to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to the parents/guardians poorly fed in low-income families improved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guardians and prevents anemia and improves growth, which brings in positive effects on growth of children. In the results regarding attitude and knowledge on nutrient/dietary life; however, the improvement level was relatively low when the extent before the education was too small, which indicates the need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contents and method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result of body measurement, long-term and consistent investigation is necessary sinc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effect on growth only based on short-term nutrient supplement.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김선희;김광기;정원미;이정원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401-420
    • /
    • 2013
  • 본 연구는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인지재활치료군과 전통적인 작업치료군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1회 30분,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실험 전과 후의 기능회복 정도는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와 Fugl-Meyer Assessment Scale(FMA),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Modified Bathel Index; K-MBI) 점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신경인지재활치료군이 상지기능검사에서 MFT와 FMA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는 신경인지재활치료군에서만 K-MBI 값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5). 연구결과를 통하여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 (Factors of Bodily Pain Among Stroke Patient's Female Caregivers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 문종훈;박인혜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63-71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 지역에 위치한 병원 5곳에서 뇌졸중 환자 75명과 이들을 간병하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 7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은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였고, 간병인은 일반적 특성과 신체통증이 평가되었다.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은 현재 자신이 돌보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beta}=-.489$, p<.001)과 간병경력(${\beta}=-.309$, p=.003)으로 나타났다($R^2=.276$). 상관분석결과,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상지기능, 인지기능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r=.434~.751,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감소를 위해 현재 자신이 돌보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과 간병경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증명한다.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on Physical Function of Obese Women in Community)

  • 김종임;박주아;김지영;이리나;전혜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67-274
    • /
    • 2019
  • 본 연구는 비만관리 교육을 통해 비만에 대한 지식이 선행된 상태에서, 실천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A보건지소의 건강교실에서 참여를 희망한 자로 51세에서 79세의 비만여성 20명이 8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만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주 2회, 20분 동안 비만관리 교육과 6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총 12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관리 교육은 신체활동 실천과 식이섭취 교육에 중점을 두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8주간의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 후 비만여성의 복부둘레, 체중, 체질량 지수가 감소되었고(p<.05, p<.001,p<.001), 악력이 증가되어(p<.05), 비만감소와 근력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대조군을 갖춘 실험설계 연구와 대상자가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참여형 비만관리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표준화 연구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Standardization of Time of Smartphone Use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김진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77-28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표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된 인원은 54,603명이었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나이, 학년 사이에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다(r=.025~.039).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중학생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사용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5). 고등학생에서 2학년은 1학년과 3학년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5). 본 연구는 54,603명의 청소년에서 성별(남, 여), 사용기간(주중, 주말), 학교(중학교, 고등학교), 학년(1학년, 2학년, 3학년)에 대한 각각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량(분)을 7분위수로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량의 기준치 제공은 청소년의 신체 및 정신 건강관리에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과사용을 증명할 수 있는 기준값 제시가 필요하다.

라이프 케어를 위한 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특성 및 보건의료서비스 인식 비교 :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Comparisons of Awareness of Health Care Services and Characteristics in Persons with Speech-Language Disorder Related to Speech Therapy Use for Life Care : From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of 2017)

  • 강소라;문종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49-258
    • /
    • 2019
  • 보건의료서비스는 장애인을 포함한 국민의 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가장 기초적인 사회제도이다. 그러나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 중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를 알아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특성과 보건의료서비스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언어장애를 가진 사람 229명을 선정하였다. 이 중 언어치료를 이용하는 자와 이용하지 않는 자를 구분하여 그들의 특성(사회인구학적 특성, 장애특성)과 보건의료서비스 인식(미충족 의료, 정부 또는 사회에서 강화해야할 보건의료 서비스)을 비교하였다. 229명의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 중 언어치료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37명(16.2%)이었다. 언어치료 이용자는 비이용자와 비교하여 나이가 젊었고, 미취학인 아동이 많았으며, 월평균 총 가구 소득이 높았으며, 장애등록유형에서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언어치료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미충족 의료 경험의 비율이 낮았다. 미충족 의료 이유에서 언어치료 비이용자 49명의 분포를 살펴보면 '경제적인 이유'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13명(6.8%)과 12명(6.3%)로 1순위와 2순위를 차지하였다. 언어치료 비이용자와 이용자 모두는 정부(사회)에서 강화해야 할 보건의료서비스로 '장애관리'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의 언어치료 이용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