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Memorie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105초

트라우마(trauma)를 치유하는 공간의 가치와 디자인접근에 관한연구 - 시대별 특성과 변화에 대한 관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design approach and the Value of the Space for Healing the Trauma - Focus on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

  • 우지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06-215
    • /
    • 2010
  • The negative memories which come from tragic events such as war, terror or various conflicts in modern cities have been threatening the mental health of city-dwellers. This thesis focuses on 'healing public space' that will help recover the life of city-dwellers who sustain various trauma. For thi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memorial space through 1980-2010 from site visits, interviews, and related theses and books and then extract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each period.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changes of the memorial concepts and visitor's reaction for last 30years. 1)1980-: Healing concept and visitor's positive response 2)1990-: Healing by emotional experience approaches to the memorial museum such as narrative approach, exhibition media using 5senses, interactive display and preserving trace, 3)early 2000-: Healing by architectural experience 4)2002-: present: Healing projects by various programs. Steady advances in memorial design for healing trauma are due to the efforts for emotional design approach to eeply move the visitors and the efforts have to be continued.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eople by experimental, emotional design contents not just by aesthetic and functional public design ideas.

노인이 경험하는 삶의 원동력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Study of the Hermeneutical Phenomeno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of Life Experienced by the Elderly)

  • 한숙정;강경아;임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2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of life experienced by the elderly and the realistic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experienced by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between March, 2017 and May, 2017 and analyzed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identify the essential themes of their experienc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22 themes and 14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14 essential themes of the driving force of the life of elderly were as follows: 'Memories from the past', 'Poverty to escape', 'Hand down family's heritage', 'A body bound by marriage', 'A body necessary for old age', 'A dignified body even if they grow older', 'A body that does not want to fall', 'A fruit of my life', 'Mature real love', 'Unchanging fraternity', 'Extended family', 'An old friend with whom share my heart', 'Satisfied with the situation', and 'Expanding the breadth of life'. Conclusion: Nursing programs that assess the driving force of life supporting the elderly and supports the driving force of such a life should be developed.

부산지역 철도역 소장 기록의 잔존양태 분석 (The Study on the Archives Held in Railroad Stations in Busan)

  • 이주연;김희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9-326
    • /
    • 2011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철도역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들을 조사하여 그 현황을 밝히고, 이 기록들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에 있어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17개의 철도역을 방문하여 소장 기록을 조사한 결과, 1) 공공영역의 기록관리에서 이탈된 기록이다. 2) 주요 기록 유형은 역사(驛史)와 역세보고서, 운수운전설비카드, 사진 자료, 기타 자료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3) 폐기나 분실 등의 이유로 각 역마다 소장 기록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4) 각 유형별 기록들은 대체로 비슷한 서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역사(驛史)나 역세보고서 등에 담긴 서술과 이미지는 역의 모습, 역 주변의 경관, 지역민들의 생활상과 경제상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역 소장 기록과 함께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기록, 사기록의 잔존양태를 파악하여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해야 하며, 구술기록을 통해 결락을 메울 것을 제안한다.

인권기록유산 가치와 지평의 확산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을 중심으로 (Expansion of the Value and Prospect of the Human Rights Documentary Heritage : Focusing on the 5·18 archives)

  • 이정연
    • 기록학연구
    • /
    • 제45호
    • /
    • pp.121-153
    • /
    • 2015
  • 정체성을 인정받기 위한 투쟁은 인간의 존엄성을 되찾으려는 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참여자는 자신을 권리의 주체로 확인하고 다른 구성원과 함께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공유하게 된다. 공공의 의사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는 것은 인권의 불가결한 요소이다. 1980년 광주는 짧은 기간에 불완전하기는 했지만 국가권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공동체적 자치를 경험하였다. 국가권력의 침탈에 대항하여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지키려 했던 광주민주화운동의 내용과 기억은 5.18민주화운동기록물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은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은 1980년 광주에서 억압적 정치권력 하에 정의를 향한 저항과 투쟁 그리고 시민의 희생과 고통의 기억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기록물은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적 투쟁과 관련되어 있으며 민주주의로의 이행과정에 관한 교훈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은 역사적 사건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현재화시키고 현재와 미래에 경험과 사상의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본고는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례를 통해 '인권과 민주주의수호'라는 기록물의 가치를 넘어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기록물을 통해 어떻게 현재화되는지 살펴보고, 인권기록의 또 다른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Placeness and Memory of Modern Space With Focus on , , )

  • 배윤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1-19
    • /
    • 2015
  • 한국의 근대화 시기는 1920년대 식민지 시기와 1960년대 경제개발시기 두 시기 나누어진다. 근대화시기에 만들어진 공간들은 대다수 국가주도형으로 생산된 공공의 공간들이다. 이러한 근대공간들은 기능성이 강조되는 공공 생산의 장소이자 근대 국가시스템의 장소정체성을 상징하는 국가권력 공간들 이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근대공간들은 이제 더 이상 장소적 기능을 상실한 채 모뉴멘트 건축물로 존재하며 과거의 장소정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개념규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간이역, 발전소, 탄광, 물류창고, 폐 공장 등... 근대공간에 새로운 장소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과 장소와 기억의 문제를 영상기록 하여 근대화의 큰 특징인 사고의 변화과정과 공간에 투영된 근대적 개념들, 근대사회의 제도, 체계 수립 과정에서 장소성, 공간 속 사람들의 관계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근대공간과 기억의 관계는 < 서울역 >에서, 근대공간과 근대 기록의 관계는 <온양민속박물관>에서, 근대공간과 장소정체성은 <옥포 조선소>에서 찾아본다. 각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의 관계는 구술목소리와 영상기록을 통하여 근대공간(장소성)과 개인구술(기억)의 모순된 힘의 관계를 알아본다.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의거한 대학내 학생편의시설 평가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 Convenient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20
    • /
    • 2012
  • The student hall and its convenient facilities are hot-core space for various student activities in university campus. It has been for most of the student a place of sweet memories and romance imprinted by a positive image of a cozy atmosphere of unique eating establishments or student hectic activities that used to take place.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at facilities are open for all of the students and other users including the handicapp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tudent convenient facilities and to provide an improvement guideline for the wellbeing of students and other user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For that purpose, eight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an investigation and 81 surve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supportive, adaptable, accessible, and safety-oriented design. The analysis found that accessibility to main entry areas, main entry doors, stairs, and handicapped parking were positively evaluated, while information system for handicapped, handicapped public bath, and corridors lacked some notion of supportive and accessible desig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some useful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an extensive and precis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concept.

<도가니>의 참여적인 관객성을 위한 재현전략 (Representation Strategy for Participatory Spectatorship in Silence)

  • 계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85-92
    • /
    • 2014
  • 본 논문은 <도가니>가 어떠한 재현전략으로 대중성을 확보하는지에 관하여 짚어낸다. <도가니>의 '집단적 기억의 환기', '고전적인 내러티브', '영화의 자기반영성'은 관객을 분노하게 하여 사이버 공론장으로 모이게 했으며, 더 나아가 '참여적인 관객성'을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요인들이다. 그런데 관객의 분노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던 이 영화의 장치들은 윤리적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도가니>가 다양한 재현전략을 통해 '참여적인 관객성'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원인분석을 목표로 한다.

반도체 산업의 작업환경과 질병의 경험들 (Work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s of Diseases in Semiconductor Industry)

  • 공유정옥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2-41
    • /
    • 2012
  • Objectives: Information of chemical in electronics industry has not been known enough, although workers' health hazards by chemicals in this industry have been regarded serious. The who always contribute to reveal and control the health hazards and risks in electronics industry have not been the industry but the occupational or environmental victims and grassroot organizations. The similar phenomena can be observed in Korea. Methods: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workers on the occua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semiconductor factory were heard separately and integrated with related literatures. Result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s largely base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 workers of semiconductor factories, mainly from S semiconductor. Common features of those experiences can be a good resource for detail understanding of the workplace, especially under the situation without any transparent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the governments or the companies.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several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control of exposure in workplac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and workforce, types of chemicals used, and the way of using the chemicals. Then the current social issues on work-relatedness of cancers of S semiconductor workers are presented briefly. Conclusions: As a conclusion, current OSH situations and issues in Korean electronics industry raise the need of changes in OSH culture. General adaptation of precautionary principle, internalization of costs, and extended responsibility of producers are needed urgently. The OSH professionals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support these agendas under their social obligation to protect workers' health.

"And not just the men, but the women and the children, too": Gendered Images of Violence in Indonesian, Vietnamese, and Cambodian Cold War Museums

  • Vann, Michael G.
    • 수완나부미
    • /
    • 제12권1호
    • /
    • pp.7-47
    • /
    • 2020
  • This article is a sub-section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depictions of violence in Jakarta's Museum of the Indonesian Communist Party's Treachery, Ho Chi Minh City's War Remnants Museum, and Phnom Penh's Tuol Sleng Genocide Museum. In comparing these public history sites, I analyze how memories of mass violence were central to state formation in both Suharto's anti-Communist New Order (1966-1998),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1976-present), and Cambodia since the collapse of Democratic Kampuchea (1979-present). While this comparison points out specific distinctions about the role of the military, the nature of revolution, and conceptions of gender, it argues for a central similarity in the use of a mythology of victimization in building these post-conflict nation-states. This article focuses on my gendered analysis of the use of images of women and children in each museum. Depending on context and political purpose, these museums cast women as tragic victim, revolutionary heroine, or threat to the social order. My analysis of gender places stereotypical image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trope of women and children as the ultimate victims) in conversation with dark fantasies of women as perpetrators of savage violence and heroic images of women liberated by participation in violence.

  • PDF

소셜 미디어 사회연결성의 팬덤 공동체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방탄소년단 사례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Social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Build a Fandom Communit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TS Fandom)

  • 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12
    • /
    • 2021
  •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와 중국 미국 한국인 팬들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스타와 팬이 소셜 미디어의 사회연결성을 토대로 글로벌 팬덤 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양상을 탐색했다. 스타와 팬은 소셜 미디어의 연결성을 활용해 공과 사를 넘나드는 유사-사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방탄소년단은 자신이 수상했음에도 팬클럽인 아미에게 "축하한다"라며 각 팬 개개인이 주체가 되도록 담화 방식을 구성해낸다. 팬으로서는 자신에게 사적으로 건네는 트윗처럼 여겨지게 되는데, 이는 비단 텍스트 구성 방식에만 적용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공식적인 활동이나 기념일과 같은 공적인 행사가 없는 날에는 사적인 트윗 혹은 이전의 기억을 끌어올리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소통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처럼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이 팬들이 서로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