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Policy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3초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조직적 측면을 중심- (A Study on Policy for Public Libraries of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44
    • /
    • 2017
  • 본 연구는 도서관을 움직이는 핵심요소인 시설 (설치에 대한 법률적 근거), 경영(전담부서), 인적자원, 예산을 중심으로 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미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국가법령정보센터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활용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행정기구가 달라서 도서관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의 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전담부서의 도서관업무는 보조업무로서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하다. 또한 소수직렬 승진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사무관의 총 정원의 확대와 전체 예산대비 도서관 투입예산의 증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 - 국립세종도서관의 운영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Spatial Configuration Suggestions Based on Interpretation of Library Programs: A Study on Operations Plan i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 천혜선;이정미;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3-387
    • /
    • 2013
  • 세종시에 건립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으로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도서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세종도서관의 공간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째, 국립도서관으로서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공간요소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구성 및 동선계획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립도서관인 동시에 공공도서관으로서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정보서비스와 어린이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구성과 동선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건축도면상에서 각 층별 공간구성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운영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고 서비스라인과 이용자 동선계획에 중점을 두었다.

공공도서관 평가 영향 요인 분석 - 충청남도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Public Library Evaluation: Public Libraries In Chungcheongnam-do)

  • 신배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07-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의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공공도서관의 소속기관과 규모에 따른 평가그룹간 평균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방문객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충청남도에서 2020년에 실시한 공공도서관 평가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정량평가 4개 영역과 9개 세부항목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Regree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소속기관과 규모에 따른 평가그룹의 평균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정책수립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혁신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a Mid-to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Based on Jeongseon-gun's Library Policy Innovation Strategy)

  • 장인호;노영희;강지혜;곽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5-320
    • /
    • 2023
  • 정선군에는 사북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17개소, 정선교육도서관이 있으며, 2023년에는 정선군립도서관이 준공됨에 따라, 도서관발전을 위하여 정선군립도서관을 구축으로 한 지역별 균형을 고려한 도서관 정책 혁신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공공도서관이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적절한 전략을 제시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선군의 지역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정선군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선군민을 대상으로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개선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 특성, 도서관 현황, 지역주민의 요구 등을 종합하여 해당 지역에 최적화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전 달성을 위한 운영목표에는 "군민의 건강한 삶을 함께하는 생활밀착형 도서관"으로 설정하고 정선군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일상 가까이에서 함께하는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운영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전략과제를 "지역주민과 성장하는 도서관", "복합문화 교류를 제공하는 도서관",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도서관",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도서관"으로 표현하였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brary Cultural Program: Focused on Eco Generation)

  • 이경아;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1
    • /
    • 2018
  • 본 연구는 에코 세대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및 인식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코 세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및 그 분석을 통해 문화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기저에서 드러나는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이 타 기관의 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성 높은 원인으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의 결여가 지목되었다. 따라서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 강화를 위한 향후 연구,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협력, 지역 내 문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정책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대도시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분석과 제언 (Analysis and Implication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Public Libraries in Major Cities)

  • 윤희윤;김종애;오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1-75
    • /
    • 2020
  • 모든 공공도서관은 장서 기반의 지식문화서비스 기관이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수립해야 할 필수적 정책인 동시에 전략적 메뉴가 장서개발정책이다. 특히 시도 단위의 종합지식정보센터 및 공동보존서고로서의 법정 업무를 수행해야 할 지역대표도서관은 최적 장서개발정책을 수립·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대도시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과 국내의 권역별 지역대표도서관 장서개발지침(안) 및 규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 선진국의 정책은 구성체계 및 내용적 측면에서 충실한 반면에 국내는 공식화된 정책문서가 없는 실무지침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모든 지역대표도서관은 장서개발의 중요성 인식, 미래지향적 사고, 전략적 판단 등을 전제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문서화해야 하며, 이를 위한 기본원칙과 구성체계를 제언하였다.

평생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조건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quirements of the public library for life-long education : centering around the facilities)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37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much more the facilities an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performance of its func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in to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collections, service facilities i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ed a tentative plan on the basis of every kinds of statistics. The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w, 227, 11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re so many that 181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largely deficient state. To solve, a n.0, pplied for Armstrong's standards (5, 00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nd the number of an elementary school 5, 412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 the former case should be establish 8, 221 public libraries, in the latter case should be established at least 5, 412 public libraries. 2. The public library in Korea is possessed of building areas of 82, 267 pyong (468 pyong per library). They are very poor state comparing with population. Therefore, the building area should be expand according to population by region. Also, the reading facilities of 88, 455 seats, 465 population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seat, are largely insufficient of situation. And consequently they should be secured at least 205, 535 seats with standards of five seats per 1, 000 population. 3.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keep collection of 4, 517, 280 volumes. As there are 11 volumes per 100 persons, they are very deficient state in figure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ed Schenk's standard (1 volume per a person) and IFLA standard (2 volumes per a pers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however, they should be secure at least 41, 106, 993 volumes with a Schenk's standard of one volume per a person. To meet this kind of necessary conditions, there must not only be a national policy but also be a facility for every residents to utilize for educational place, and to every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they have to do their best to open their library to every citizens, when needed, with their self-conceit. Cooperating with policy-makers, users, and librarians, making every endeavors to develope Korean libraries, we can promise the hope that our public library will be progressed towards future.

  • PDF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 집행 요인에 대한 연구 -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 First Library in My Life'(내 생애 첫 도서관) Policy: Based on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by Lipsky)

  • 유진선;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36
    • /
    • 2013
  • 시민사회의 정보요구가 점차로 다양해짐에 따라, 각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도서관 정보정책의 경우, 정책과정보다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이용하여, 경기도에서 진행 중인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 집행단계의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선관료제 모형을 기반으로 정책 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도서관 정보정책 집행 분석에 있어서의 일선관료제 모형의 유용성과, 이에 기반한 성공적인 정책 집행을 위한 집행과정에서의 주요 요인을 파악한다. 일선관료제 모형은 집행 현장에서 정책 집행의 다양한 효과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였으며, 간접적인 사회, 경제적 요인들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재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9-8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발전방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이용현황은 대부분 소설대출이나 개인공부를 목적으로 방문하고, 도서관관련 정보나 행사는 오프라인을 통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서비스사용기간이나 웹사이트 방문빈도는 낮았으나, 컴퓨터 설치확대와 홈엑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DB의 기술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사회의 서비스중요성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도서관 운영지표 중 지역서비스의 중요성(m=3.86)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참고데스크(m=2.87), 체크아웃데스크(m=2.41), 컴퓨터가용성(m=2.47) 및 최신자료유용성(m=2.64)에서는 평균값이 3.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운영정책이 실질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조직 진단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조직모델 설계 연구 - 김해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rganizational Model Design for Organization Diagnosis and Operation Improvement of Public Libraries: The Case of Gimhae Public Library)

  • 차성종;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25-155
    • /
    • 2019
  • 본 연구는 김해시 공공도서관 조직의 진단 및 분석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 모델을 설계할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FGI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모델을 설계하고 조직 재편에 따른 단위도서관별 인력을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조직 모델은 최종적으로 관련업무 통합 측면 조직, 정책기능 강화 측면 조직, 행정 효율성 강화 측면 조직의 3가지 대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거시적 및 미시적 접근을 바탕으로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필요 인력을 산출한 결과, '벤치마킹 대상 지자체 비교' 방법으로 산출된 필요인원을 가장 실증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하고 단위도서관별 적정인원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