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 - 영국의 작은 공공도서관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Small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48
    • /
    • 2007
  •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수는 최초의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지난 40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공도서관 시설은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여전히 많은 차이가 나고 또 절대적으로 크게 부족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대규모 형태의 공공도서관 건립 방식이 도서관을 확충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을 짧은 시간 내에 획기적으로 확충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경우처럼 작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즉, 몇 개의 큰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큰 도서관을 건립할 비용을 쪼개어 여러 개의 작은 도서관을 건립 운영하도록 한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77-398
    • /
    • 2013
  • 대규모 도서관을 몇 개 건립하는 것보다 소규모 도서관을 많이 건립하는 것이 단기간에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큰 규모로 건립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중 대규모로 건립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791개 공공도서관의 연면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평균 연면적은 $2,495m^2$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규모 측면에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려해야할 도서관 건립 정책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지역네트워크 및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twork and Space Planning of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City for Construction of Knowledge-Information infrastructur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236-244
    • /
    • 2011
  • As th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for the public library system in the contemporary age, expectations and demands surrounding the public library system are growing rapidly as the place of exchange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and culture, and as the place of life-long learning. In addition, a new kind of information & culture services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contemporary men and women, who are exploring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undergoes rapid changes - from increase in the volume of digital publications, to increase in the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resources, to strides made in the media industry. The public library will continue to play its role and function by providing to all users all available information, whether it's available online or offline, whether it's in a physical format or in a digital format. As such, design and management of a space appropriate as a new information environment are needed. It is deemed that 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Daegu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gion and can increase user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in this information age is needed, as well as reorganization of the pertinent environment. Therefore more public libraries have to be built in Daegu as a necessity, and it is urgently needed that the information services be expanded through an organic linkage between local libraries such as between the central library and the branch librari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To establish 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Daegu, a direction is give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network of public libraries and ways for improvement are explored.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first, it helps in the planning of a local network of public libraries,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improving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s well as the level of their use; and second, it helps in setting up guidelines for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ser space. As for the method, quantitative review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s to be done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ublic library network in Daegu from the perspectives of region, facility, and space, in order to present a method of user-centered spatial configuration that meets the changes in social roles and forms of inform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오선경;이재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9-124
    • /
    • 2016
  • 어느 지역이든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서비스 대상인구에 대한 인식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비중과 중요성, 이용실태와 비이용 이유, 독서프로그램 참여 및 비참여 이유, 도서관 확충(신설) 요망지역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 관계법령, 국민 독서실태조사, 전국문화기반 시설 총람, 대구시민 의식조사, 대구 도시브랜드 시민의식 조사, 광역시도 및 대구시 기초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현황 등과 비교하여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인프라 충실화 및 이용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현황 및 격차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y in Chungcheongnam-do)

  • 오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15-239
    • /
    • 2022
  • 모든 공공도서관은 공비운영, 무료공개, 만인제공을 이념적 지주로 삼는 지방공공재이며 문화기반시설이다. 이러한 정체성은 공공도서관이 서비스 권역 내의 지역주민에게 각종 지식정보, 다양한 프로그램, 커뮤니티 공간 등을 제공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국가 및 사회의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때 정당화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법적 기준에 부합하는 개체수를 확충하고, 유능한 전문인력을 배치하며, 접근·이용이 편리한 시설과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지역별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인프라와 서비스에 격차가 존재하면 주민의 접근·이용에 불평등을 초래하고 이는 정보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지역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공공도서관의 균형발전 및 역량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시도별 및 충남지역 시군별 입지계수, 핵심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충남지역의 취약한 시군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격차 요소를 접근성, 핵심 인프라, 서비스로 나누어 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Public Library Cooperation in Incheon)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9-98
    • /
    • 2010
  •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의 협력망 사업과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일반 현황과 협력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확충과 범위의 확대라는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상호협력의 기반으로서 단위공공도서관의 인프라 강화, (2)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강화 및 도서관정책수립 기구의 실효성 있는 운영, (3) 운영주체의 다원화 극복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4) 거점도서관의 지정 운영, (5)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추진, (6) 기존의 공공도서관 협력사업의 개선 및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방안 (Confusion and Overcoming Plans of the Public Library Identity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20
    • /
    • 2017
  • 모든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정체성은 당대 및 후대의 통시적 접근 이용을 보장하는 지식정보센터이다. 그럼에도 최근에 평생학습 산실, 문화활동 거점, 정보게이트웨이, 커뮤니티센터, 지방공공재, 정보공통체, 민주주의 요람, 제2의 거실 등으로 회자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각종 관계법령, 지방행정기구, 정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실상과 증거를 제시한 후에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의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차제에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센터를 기반으로 지역문화 향유 확산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정립되려면 집단주의, 귀속주의, 편의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y in Seoul)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거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핵심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와 글로벌 경쟁도시의 격차를 비교하고, 미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시 및 광역시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어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을 연계하여 공공도서관 정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식문화 수도를 위한 브랜드화, 도서관 핵심역량 및 시스템의 선진화, 시민중심의 지식문화 생태계 조성, 시민의 서비스 만족도 및 기대편익 극대화를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미래지향적 정책과제로 제시하였다.

복합용도건축물 내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Mixed-Use Complex -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95-414
    • /
    • 2014
  • 본 연구는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이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인프라 확충 방안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서울에 있는 112개 모든 공립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복합화 여부를 현장방문과 전화문의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도서관의 약 50%에 해당하는 55개 도서관이 복합건축물형이다.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규모, 위치, 공간구성에 대해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더 많은 상업시설, 학교시설 그리고 관시설과의 복합화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