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dvertisement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42초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효과적인 광고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Advertisement System using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 송은지;강민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0-873
    • /
    • 2012
  • 최근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방식의 광고들이 현저하게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D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DID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한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Advertisement Offer System using Digital Information Display)

  • 강민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3-80
    • /
    • 2013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 Digital Information Display)는 공공정보 게시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총칭한다. 최근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의 광고들이 현저하게 늘고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DID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DID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광고주에게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도록 하여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한 광고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효과적인 웹툰 광고제작과 매체집행 전략: 태도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ive Webtoon Advertising Production and Media Execution Strategy: Focusing on Attitudes Effec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85-595
    • /
    • 2022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웹툰 광고를 제작하고 매체 집행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에서 태도요소들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웹툰 광고의 형태가 실사형과 웹툰형에 관계없이 광고태도만이 광고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웹툰 광고의 형태가 실사형일 때 광고태도와 제품태도가 광고 클릭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웹툰 광고의 게재위치가 웹툰 중간에 삽입될 때 광고태도가 광고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웹툰 광고의 제품이 경험재품일 때, 광고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광고태도였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통해 웹툰 광고의 제작 및 매체 집행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가치가 있다.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Advertisement Business(S Telecom Case)

  • Koh, Bong-Sung;Lee, Seok-W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1호
    • /
    • pp.81-96
    • /
    • 2007
  • The headline of advertisements holds the important position in advertisement recognition and receptivity.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headlines as several types with measuring the response effects for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ustomer's behavior. Also we conducted the decision tree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The decision tree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es and the customer's demographic information.

  • PDF

게임 광고 방법에 대한 고찰 (The Thought on Method of Game Advertisement)

  • 박무원;정광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7-41
    • /
    • 2001
  • Ad(advertisement) is a gateway that makes the public recognize enterprises, and a tool that can maximize customers' interest. How this kind of Ad is delivered to consumers governs an enterprise's image or goods' reliability. That's why enterprises spend much money in advertising their products in various ways such as TV Ad, newspaper Ad, magazine Ad, placards and so on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Game Ad among a number of Ads, which enables game users to enjoy games at low expense and at the same time makes them naturally recognize enterprises images or product PR.

  • PDF

공익광고를 통한 금연교육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Public Advertisement on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 서미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1-163
    • /
    • 2000
  • Adopting the theory of enter-educ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vent the smok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not started smoking yet. A famous pop music singer with high popularity among teenagers was cast on the public sponsored advertisement (PSA) on smoking prevention. This PSA was televised through major TV stations for two months.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was evaluated seven times. The effectiveness of the PSA, the role of the cast singer, the rate of seeing the PSA, and the impression about the PSA were evaluated. The viewer survey since the second period of the PSA revealed that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79~94 percent) watched it. Among TV stations, MBC recorded the highest viewer rate as 69.6~72.0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tched the PSA at least once from this station. Also, the viewer rates of such cable TV stations as Mnet and OCN were quite high for their advertisement prices. The overall impression about the PSA was favorable. The contribution of the singer to this positive outcome was 60 percent and over.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was also high as 93.7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not start smoking. However, since this study dealt with the general public, it wa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effect of other factors systematically. Also, we could not measure the differences bewteen the pre-PSA and the post-PSA periods, so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has some limitation.

  • PDF

The Exploratory Study on Prevention of illegal Medical Advertisement in Healthcare Market

  • Jeun, Young-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5-110
    • /
    • 2017
  • It is natural that the medical advertisement should be guaranteed as part of the basic commercial activities of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e general public are non-specialist and they have less informed about medical care than medical specialists, and it is not easy to judge and select medical information. Also, if someone damaged by illegal medical advertising, it cannot be recovered to the original. In this regard, medical advertising has been legislated so that medical organizations can pre - screen the medical laws. However, In December 2015,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unconstitutional preliminary censorship, it became virtually impossible to pre-screen. In recent years, illegal medical advertisement have been on the rise, and false and exaggerated medical advertising are increasing the damage to medical consumers. Therefore it is urgent to take countermeasures about this. Thus, this paper try t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commercial and other medical advertisements and looks for alternatives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illegal medical advertisements and institutional weaknesses by analyzing the regulatory trends in medical advertising.

How Compliant are Tobacco Vendors to India's Tobacco Control Legislation on Ban of Advertisments at Point of Sale? A Three Jurisdictions Review

  • Goel, Sonu;Kumar, Ravinder;Lal, Pranay;Tripathi, J.P.;Singh, Rana J.;Rathinam, Arul;Christian, Anan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637-10642
    • /
    • 2015
  • Background: Section 5 of India's tobacco control legislation "Cigarettes and Other Tobacco Products Act (COTPA), 2003"comprehensively prohibits all kinds of tobacco advertisement, promotion and sponsorship (TAPS), but permits advertisments at the point-of-sale (POS) under certain conditions. This provision has been exploited by the tobacco companies to promote their products. Objective: To measure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s of Section 5 of Indian tobacco control legislation (COTPA, 2003) at point of sale.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using an observation checklist was conducted in 1860 POS across three jurisdictions (Chennai city, District Vadodara and District Mohali) in India. Results: The most common mode of advertisement of tobacco products was product showcasing (51.1%), followed by dangles (49.6%), stickers (33.8%) and boards (27.1%). More than one fourth of POS were found violating legal provision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boards in one or other forms (oversized, extended to full body lenth of POS, displayed brandname/packshot and promotional messages). Advertisement boards (16.3%) without health warnings were also found and wherever found, more than 90% health warning were not as per the specification in respect to size, font and background color. Conclusions: Point of sale advertising is aggressively used by the tobacco industry to promote their products. There is an urgent need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ban on tobacco product advertisement, promotion and sponsorship at point of sale.

광고에 등장하는 소품(小品, Props)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y in the Application of Advertisement Properties - Focused on the Advertisement in Magazine -)

  • 전종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59-68
    • /
    • 2001
  • 잡지광고 디자인은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또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광고에서 여태까지 별로 관심거리가 되지 못한 소품(小品)이 현 광고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 여성지를 조사하여 제품의 속성과 소품의 상관관계, 비주얼(Visual)과 소품의 상관 관계, 카피(copy)와 소품의 상관 관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자회사의 제품이 경쟁사제품과 차별화 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되 제품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목적과 소구대상을 면밀히 검토, 아이디어 전개과정에서부터 소품의 적절한 선택을 생각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광고물을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아이디어가 끝나고 시안이 확정되면 다음 단계로 촬영이라는 중차대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보통 디자이너는 사진작가의 예술성에 억눌려 시안의 방향이 아닌 사진자가의 예술성으로 빠져드는 경우를 종종 경험한다. 사진작가의 말에 제동을 걸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사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여 광고의 방향을 충분히 사진작가에게 전달하는 것만이 최선일 것이다. 광고의 방향에 꼭 맞는 사진작업이야 말로 초를 다투는 광고 시장에서 시간을 벌 수 있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셋째, 환영이 끝나면 다시 한번 시안을 카피라이터와 기획자, 그리고 디자이너의 충분한 재검토로 제품과 카피, 비주얼과의 상관관계에 무리가 없는지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쉬운 광고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신선한 시각언어로서 기억되기 위한 소품의 표현 전략으로서는 ·광고 메시지의 주제를 확인한다. ·소구대상과 소품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소품을 선정한다. ·카피가 제시하고 있는 주장과 소품이 제시하는 주장이 일치하도록 하여 독자로 하여금 진실성을 느끼게 한다. 제품의 특징과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소풍의 적절한 활용은 시각적 요소 및 비언어적 전달요소에 의한 정보전달을 중심으로 주목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그에 뒤따르는 소구과정의 단계를 증폭시키고 가속화시킨다. 또한 소품의 사용은 광고물의 분위기나 가치, 신념 등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많은 새로운 모험과 실험이 많아질수록 광고의 미래전망이 밝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