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Med

검색결과 1,568건 처리시간 0.026초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 (Assessment Tools of Sensory Processing for Preschool-Age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김명희;신현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종류를 알아보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감각처리 평가도구는 PubMed, Cochrane, CINAHL, PsycINFO와 같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논문을 검색한 뒤, 초록과 원문 검토를 통해 포함기준에 적합한 평가도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결과 : 총 38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으며, 8개의 평가도구가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Sensory Processing Measure-Preschool(SPM-P)이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부족한 도구로 는 Sensory Experiences Questionnaire(SEQ), Sense & Self-Regulation Checklist(SSRC), 그리고 Sensory Processing Scale Assessment(SPSA)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이 학령전기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처리 평가도구를 선정할 때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Inappropriate Survey Design Analysi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y Produce Biased Results

  • Kim, Yangho;Park, Sunmin;Kim, Nam-Soo;Lee, Byung-Ko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2호
    • /
    • pp.96-104
    • /
    • 2013
  • Objectives: The inherent natur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esign requires special analysis by incorporating sample weight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not used in ordinary statistical procedure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ortion of research papers that have used an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ology out of the research papers analyzing the KNHANES cited in the PubMed online system from 2007 to 2012. We also compared differences in mean and regression estimates between the ordinary statistical data analyses without sampling weight and design-based data analyses using the KNHANES 2008 to 2010. Results: Of the 247 research articles cited in PubMed, only 19.8% of all articles used survey design analysis, compared with 80.2% of articles that used ordinary statistical analysis, treating KNHANES data as if it were collected using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Means and standard errors differed between the ordinary statistical data analyses and design-based analyses, and the standard errors in the design-based analyses tended to be larger than those in the ordinary statistical data analyses. Conclusions: Ignoring complex survey design can result in biased estimates and overstated significance levels. Sample weight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of the design must be incorporated into analyses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stimates and standard errors of these estimates.

참조연계 서비스 구현을 위한 참고문헌 식별자 매칭 시스템 (The Reference Identifier Matching System for Developing Reference Linking Service)

  • 이용식;이상기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191-209
    • /
    • 2010
  • 서로 다른 정보자원 간의 연결을 의미하는 참조연계 서비스를 위해서는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식별자 매칭 작업이 필요하다. CrossRef, PubMed, Web Of Science 등의 많은 해외 기관들은 Inera의 eXstyles, Parity Computings의 Reference Extractor 등의 자동화 도구들을 이용하여 DOI, PMID 등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는 참조연계 체제를 구축하였다. 국내에서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연구재단 등의 여러 기관에서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각 단체별로 채택하고 있는 다양한 참고문헌 기술 형식 때문에 망라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에 참고문헌을 자동으로 파싱하여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DOI, PMID, KOI의 식별자를 매칭하는 Citation Matcher 시스템을 개발하여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치매의 침치료에 대한 해외 RCT 연구 동향 - pubmed의 2000~2018년 검색을 통하여 - (Recent RCT Research on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Dementia - Based on a PubMed Search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18)

  • 김은지;최기훈;정희경;권오훈;박주헌;김상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8-34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dementia. Method: We searched RC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the database PubMed (2000-2018). Clinical RCT studies of acupuncture used to treat dementia in humans were included. Ni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Results: Various acupoints such as Baihui (GV20), Sishencong (EX-HN1), Fengchi (GB20), and Shenting (GV24) were used to treat symptoms. The studies reported a decrease in evaluation criteria, such as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y. The acupuncture process, the results for outcome measure, and the effectiveness of studies were analyzed. We then assessed "risk of bias." Conclusions: Through this review, we found that acupuncture is applicable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This can be used for future study.

임상의사의 진료목적 정보원 이용과 장애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s' Use of Clinical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김순;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5-75
    • /
    • 2016
  • 본 논문은 임상의사가 선호하는 임상정보원의 특성과 정보검색 시 장애요인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환자 진료를 위한 정보검색은 환자치료방법 결정, 최신 경향 파악, 내부 컨퍼런스 발표자료 준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검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주제 배경지식, 진료 경험, 직급, 검색 능력, DB 이용교육, 도서관 홈페이지 친숙도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임상정보원은 익숙하고 신뢰성이 높고 방대한 정보의 양 때문에 PubMed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속도가 빠르고 쓰기 쉬운 구글도 많이 사용되었다. 정보내용의 정확성과 최신성이 정보원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적용되었으며, 시간이 많이 부족한 관계로 검색방법의 용이성, 정보에 대한 접근 편이성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사용하기 불편한 검색시스템, 생소한 주제나 용어의 검색 어려움, 너무나 방대한 자료, 원문 접근의 어려움, 복잡한 고급검색 기능 등이 장애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도서관 서비스 개선이나 임상의사의 정보검색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거울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Mirror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 박진혁;허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15-222
    • /
    • 2014
  • 본 연구는 국외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한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고 2013년 10월 이전까지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는 'mirror therapy', 'mirror neuron', 'stroke', 'paresis', 'hemiplegia', 'upper extremity를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737편이었으나 프로토콜을 거쳐 선정된 9편의 연구가 선정 되었다. 다양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결과로 거울치료를 받은 실험군이 고식적인 치료나 위상치료를 받은 대조군보다 상지의 원위부인 손 기능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중재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거울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거울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의사의 임상질문 해결을 위한 온라인 정보검색과정 연구 (An Analysis of Physicians'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cess at the Point of Care)

  • 김순;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7-193
    • /
    • 2016
  • 본 논문은 임상의사가 환자치료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상에서 정보검색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병원 내과 전문의 10명을 대상으로 관찰조사와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Wilson의 문제 해결 모형을 기반으로 임상의사가 임상질문 해결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별 특성과 정보검색의 효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의사는 사전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즉각적인 임상질문을 구성하지만, 실제 검색에서는 대부분 기본 검색전략만 사용하였으며, 본인에게 익숙한 특정 정보원만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검색 평균 만족도는 7점 리커트 스케일 기준 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검색 후에 문제해결지수가 상승하였다. 임상의사는 잘 정리된 근거 중심의 신뢰성 높은 정보를 빠르고 쉽게 이용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환자 진료시스템에서 바로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의 연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글이나 PubMed 외에 다른 온라인 정보원에 대한 인지도는 현격히 낮게 나타나 다른 정보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활용교육의 활성화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과 GST 유전자 다형성의 메타분석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enes and Autoimmune Diseases in Asian Population: a Meta-analysis)

  • 김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48-663
    • /
    • 2017
  • 아시아인종에서 GSTM1/GSTT1 유전자 다형성과 자가면역질환과 관련된 감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5년 12월까지 EMBASE, Google, KISS, MEDLINE, PubMed에 발표된 18편의 논문들을 메타분석에 인용하였다. GSTM1/GSTT1 유전자의 null, present 유형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인구에서 GST 다형성과 자가면역질환 사이에 연관성이 발견되었다(GSTM1, OR=1.334, 95% CI=1.137-1.567, p=0.000, GSTT1, OR=1.212, 95% CI=1.012-1.452, p=0.037).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 특히 vitiligo와 아토피 피부염(p<0.05)에서 GSTM1 유전자와의 연관성이 있었고, RA와 SLE에서 GSTT1 유전자와의 연관성은 없었다(p>0.05). GSTM1 null 유형과 GSTT1 present 유형은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이 있었다(p<0.05). 자가면역질환과 GSTM1-GSTT1 다형성 조합 null 유형의 빈도는 대조군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GSTM1-GSTT1 다형성 조합 null 유형이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다.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홍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18-330
    • /
    • 2013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치료 방법과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논문은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이었고,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사용한 검색어는 'occupation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lints' OR 'self-help devices' OR 'early intervention(education)' OR 'parents/education' OR 'parents/psychology' OR 'professional family relations' OR 'play and playthings' OR 'upper extremity' AND 'cerebral palsy'이었다. 분석대상논문은 총 18개이었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방법은 보조기 26.2%, 부모교육 26.2%, 환경조정 9.6%, 감각운동기능 훈련 19.0%, 일상생활활동 19.0%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효과는 보조기 40.0%, 부모교육 42.9%, 환경조정 4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치료에 있어서 근거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간질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 Systematic Review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pilepsy: Systematic Review)

  • 유하나;윤오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19-22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간질 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들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을 밝혀 추후 간질아동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PRISMA 문헌선택 흐름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Ovid-MEDLINE, EMBASE,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KMbase, and Koreamed)를 통해 454개의 논문들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의해 7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2명의 연구자가 분석에 포함된 모든 연구를 독립적으로 검토하였고,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위해 코크란의 Risk of Bias 도구와 국내의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도구를 이용하였다. 결과 중재 전략의 형태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교육; 상담; 인지행동치료; 신체활동. 중재의 목표들은 매우 다양하였다. 결론 각각의 중재들은 간질관련 건강 결과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불충분한 중재 정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결과 측정법, 적은 표본 수, 연구 설계의 제한점과 같은 방법론적인 약점들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