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 Gu, Min Ky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7-266
    • /
    • 2018
  • Purpose: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150 elderly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 tools that were used includ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perceived health status,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GDSS-K),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loneliness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dows version 21.0 program.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ffection for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s significant (F=14.6, p<.001). The value of the adjusted $R^2$ is 0.55, which accounts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55.4%. The predictor that has been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clude perceived health status, followed by monthly allowance (10,000 won), psychological well-being, economic status, religion, depression, family structure, and lonelines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and practice for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perceived health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loneliness should be considered.

기혼취업남녀의 일가족양립 인식도와 심리적 복지 (Married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이선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499-514
    • /
    • 2016
  •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eneral trends with respect to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related variables,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lated variables, and understand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rried employees. The subjects were 300 married employees living in G city.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of men and women's self-esteem were higher than the median. Men had a mor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nd higher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level than women. The scores of men and women's depression were lower and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Second, the scores of men and women's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working hours. Men'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ale of work place and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household working time. Third, depression in married employe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Fourth, men's depression were influenced by self-esteem, social care service,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Depression in women were influenced by health state, self-esteem, gender role attitude,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Men's life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health state, economic state, and self-esteem. Women's life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health state, economic state, weekly working hours, self-esteem, and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of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tness Participating Adult Woman)

  • 김유진;임승현;남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54-364
    • /
    • 2015
  • 본 연구는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대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헬스참여 성인 여성 472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우울 척도, 심리적 행복감 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압력만이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일반적 내재화는 쾌락적 즐거움과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정보는 쾌락적 즐거움과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 내재화는 유능감과 자아실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우울은 심리적 행복감의 쾌락적 즐거움, 유능감,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tire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윤현숙;이미진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393-408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도 「고령화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1세 이상 노인 1,625명을 대상으로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의 심리적 안녕은 Lawton의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의 17개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는 비은퇴자에 비해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으며,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 및 사회관계, 사회활동에서 보다 열악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상태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는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은퇴여부는 심리적 안녕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은퇴자와 비은퇴자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나, 은퇴자의 경우 사회활동과 취미생활에 대한 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은퇴자의 경우 학습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으로 더 안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은퇴 여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집단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도시숲과 학교숲 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 and School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

  • 김희란;구창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1-353
    • /
    • 2019
  •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east Cancer Survivors in Jordan

  • Abu-Helalah, Munir;Al-Hanaqta, Motasem;Alshraideh, Hussam;Abdulbaqi, Nada;Hijazeen, Jamee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927-5936
    • /
    • 2014
  • Introduction: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Jordanians. Breast cancer patients suffer from several negative consequences after treatment and these include pain, fatigue, sexual problems, appearance and body image concerns, with psychological dysfunction. This could affect the patient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published quantitative data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Jord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uch data and assess predictors with calculated score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in Jordan diagnosed in 2009 and 2010,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C30), the Breast Module (QLQ-BR23)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Clinical,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indicators that could predict patient quality of life scor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terviewed was 236 (mean age=$50.7{\pm}10.7$ years). The mean Global Health score for the QLQ-C30 was $63.7{\pm}20.2$ SD. Among functional scales, "social functioning" scored the highest ($mean=78.1{\pm}28.6$ SD), whereas "emotional functioning" scored the lowest ($mean=59.0{\pm}SD\;33.5$). For the QLQ-BR23, the worst scores within the functional scales were for "body image" ($mean=52.1{\pm}36.8$ SD) and "future perspective" ($mean=52.9{\pm}38.5$ SD). The worst symptom was "upset by hair loss" ($mean=69.8{\pm}43.0$). The mean HADS scores was $18.{\pm}9.0$ SD. Out of study participants, 53% scored abnormal on the anxiety scale and 45% on the depression scale. Severe depression and severe anxiety were detected among 8% and 14% of study participant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scores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published studies, such as the presence of recurrence since baseline, family history of cancer, low educational status, current social problems, extent of the disease, presence of financial difficulties, and employment statu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reast cancer survivors in Jordan have overall good quality of life scores when compared with patients from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s more impair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sychosocial support programs and psychological screening and consulta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at hospitals of the Ministry of Health in Jordan.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 김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09-1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e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e self-esteem and reduce anxiety for these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iv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thirteen sessions that were held between September 25, 2002 and December 17, 2002.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10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by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instruments used in the tests were the Anxie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In addition, HND (Here and Now Drawing) was adopted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in reducing their anxiety. Second, there was a qualitative change in children's HND (Here and Now Drawing) after the therapy program, which proves that the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Female Teachers)

  • 정혜영;오윤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7-199
    • /
    • 2007
  • 교직이 점차 여성화됨에 따라 기혼 여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반면 여교사 자신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관한 정보는 지극히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교사를 개인 및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정도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심리적 복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초등학교 재직중인 기혼여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 경향은 전체영역은 3.32(5점 척도)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생활만족도는 3.82로 높게, 우울은 2.64로서 낮게 나타났다. 2) 기혼여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 결혼상태, 주관적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한 배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관적 생활수준, 가족관계 심리정서적 건강성, 주관적 행복도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더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복지수준이 높은 교사가 건강한 청소년교육 및 지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교사연수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정신과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sychiatric Nurse)

  • 최재은;배정이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2
    • /
    • 2022
  •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9년 2월 18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행하였다. 경남에 있는 정신과 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정신과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측정, 대인관계 반응지수, 회복력 척도,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 능력, 회복 탄력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2.34점~ 3.33점 범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회복 탄력성과 안녕감 수준은 40대 이상, 기혼, 종교가 있을 때, 간호사 경력 10년 이상, 보통 이상의 경제 수준, 정신과 관련 자격을 가지고 있을 때, 책임간호사 이상, 탄력성 등의 교육에 참여자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 수준과 회복탄력성에 있었다(𝛽 = .76, p < .001). 이들 요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은 67%였다. 경제 수준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었다. 따라서 정신과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안녕감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The Impact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Ko, Eun;Kim, Hye Young;Kang, Hee Sun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3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45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a national university in S cit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regard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academic resilience scal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linear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P),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OP),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PP),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64.64±12.78, 53.62±8.90, 56.98±8.96, 92.60±19.55, and 82.93±9.72, respectively. SP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 .27, p<.001), while academic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20, p=.001).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PP, and academic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explained about 22%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accordingly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