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Recovery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2초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신체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매개효과 중심 (Relationship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Body Image with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 김민주;박효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QOL)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body image with QOL. Methods: In this study, 160 stroke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n outpatient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and rehabilitation clinic of a long-term care hospita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L, body image, interpersonal relation, and QOL.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Results: The mean scores were 91.01 (range 6~100) for ADL, 61.19 (range 40~79) for body image, 87.53 (range 29~123)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186.67 (range 71~243) for QO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DL, body imag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after strok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OL among stroke patients (p<.05). There were no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s of ADL and body image with QOL (p>.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need fo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recovery to improve the QOL of stroke patients.

Effects of a Forest Therapy Program on Reducing PTSD and Depression and Improving Mood States in Fire Officers

  • Park, Choong-hee;Chun, Juhyeon;Hahm, Yumi;Kang, Deok Ho;Park, Bum-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3-705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on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epression and improving mood states in fire officers. Methods: To determine PTSD, depression, and mood states before and after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survey results of 185 fire officer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PTS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TSD from 10.65 ± 12.00 to 5.64 ± 8.29 after the program. Depression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3.21 ± 4.00 to 2.21 ± 3.47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mood stat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n increase in positive factors and a decrease in negative factors. Total mood disturbance (TMD)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5.78 ± 17.37 to -7.38 ± 10.35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can bring psychological changes to fire officer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ress management and relief of fire officers.

Transfer anxiety in parents of children transferred from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in South Korea: a hybrid concept analysis

  • Park, Jisu;Choi, Eun Kyou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54-16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 of transfer anxiety in parents of children transferred from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Methods: The hybrid model by Schwarz-Barcott and Kim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 anxiety in parents of children transferred from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Results: Transfer anxiety was defined by the following attributes: 1) stress concerning the adaptation process, 2) concern about the child's condition worsening due to the parent's caregiving, and 3) involuntary changes in daily life due to the treatment. Transfer anxiety has the following antecedents: 1) uncertainty; 2)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illness, medical devices, and caregiving; and 3) a lack of social support. It resulted in 1) caregiver burden, 2) a decrease in the capacity for coping with caregiving, 3) delays in the child's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covery, and 4) decreas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that considers the attributes of transfer anxiety in parents of children transferred from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Furthermor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ransfer anxiety.

편마비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불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Anxiety in Hemiplegic Patients)

  • 이명해;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0-62
    • /
    • 199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ausal factors of Anxiety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anxiety in hemiplegic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hospitalized hemiplegic patients at Kyung - Hee Oriental medicine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interview with questionaire from Jan. 15 to Mar, 31, 1990. The measurement tools used by this researcher were Kang's family support scale, Spielberger's trait anxiety scale and the other anxiety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p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The analysis of causal factor of anxiety higher anxiety these three cases ; \circled1 1st causal factor was the delayed recovery of paralyzed upper limbs(2.42$\pm$1.27). \circled2 End causal factor was the dysfunction of physical ability(2.30$\pm$1.29). \circled3 3rd causal factor was difficulty for walking(2.30$\pm$0.83) and the anxiety level(2.02$\pm$0.83) of physical factor was the highest level than any other factors. 2)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perceived family support level is the less anxiety level of patient was supported(r=-.29, p=.003). 3)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xerting influences on anxiety level patients ; (sex, age, marrital status, religious, education level, occupation, economic statu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care giver, the period of hospitalizatiot side of paralysis). In this analysis, any factor h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p>.05). 4)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bout effective factors of family support level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sex, age, marrital status, religious, education level, occupation, economic statu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care giver,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side of paralysis). In this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ceived family support between married and bereaved patients(t=-2.68, p= .009) As a result of this study, anxiety level of physical factor was higher than any other factors (psychological factor, social factor) and the delayed recovery of paralyzed upper limbs is the largest causal factor of anxiety of physical factor.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and the level of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but the degree of relationship was low. Therefore, one can infer from this study that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recovery of physical problems and family support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reducing anxiety in hemiplegic patient.

  • PDF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에 관한 연구 -기독교·가톨릭인 회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irituality Experience of Recovering Drug Addicts)

  • 임해영;김학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98-112
    • /
    • 2018
  •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이들의 영성 체험은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2가지 본질 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이란 본질 주제는 '두렵고 무서운 존재', '매달리는 대상', '품어주는 존재'란 3가지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내재적 초월 경험'은 '실존의 직면', '심리적 재구성', '정신적 성숙', '혼자서가야 하는 길' 이란 4가지 하위 주제로 개념화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의 영성 체험은 종교 그 자체가 이들의 영성체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 이들의 영성체험은 인간성 회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과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영성 체험의 2가지 본질적 주제가 상호 순환적 관계 속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계가 숙고해 볼 수 있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온라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충성의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권 예약.발권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nline Service Qualit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tention -About Booking and Issuing Air Tickets on Website-)

  • 박종기;고도은;이승창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3호
    • /
    • pp.71-1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항공권 예약 발권 웹사이트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 뿐만 아니라 서비스 회복도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회복이 고객만족 및 충성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서비스 품질과 온라인 서비스 회복의 측정을 위해 Parasuraman, Zeithaml, & Malhotra(2005)가 개발한 E-S-QUAL과 E-RecS-QUAL을 사용했으며, 했다. E-S-QUAL은 온라인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효율성, 시스템 이용가능성, 이행성, 프라이버시의 4개 차원 22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E-RecS-QUAL은 온라인 서비스 회복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반응, 보상, 접촉의 3개 차원 11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항공사나 여행사의 웹사이트를 통해 국내 외 항공권을 구입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총 40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34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AMOS 7.0과 SPSS 15.0을 사용하였다. 먼저, SPSS 15.0을 사용하여, 요인점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으로 가설검증을 한 결과, <가설 I-1, 2, 3, 4, II-1, 2, 3, III-1, IV-1>이 전부 채택되었다. 온라인 서비스 품질과 온라인 서비스 회복의 각 차원은 모두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 역시 충성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AMOS 7.0을 사용하여 모형 분석을 하였는데, 모형의 적합도는 가설검증을 하기에 합당한 수치가 나왔다. 이를 토대로 가설검증을 한 결과, <가설 I-1, 3, II-1, 3, III-1, IV-1>은 채택되었고, <가설 I-2, 4, II-2>는 기각되었다. 이 결과는 Parasuraman et al.(2005)이 주장한 것처럼 E-S-QUAL을 나타내는 데는 요인점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 PDF

알코올 중독에서 발견되는 무의식의 창조적 치유 활동: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A Discovery of the Creative Healing Properties in the Unconscious of Alcoholic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백기홍
    • 심성연구
    • /
    • 제39권1호
    • /
    • pp.129-183
    • /
    • 2024
  •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의 심적 진실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여러 알코올 환자들의 경험 지평을 의식뿐 아니라 무의식도 포괄하며 살펴보았다. 무의식 측면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환자들이 보고한 일련의 꿈들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꿈 분석은 치료 작업에의 환자의 참여, 치료자-환자 동맹 관계에도 유익하였으며, 환자의 무의식과 의식 모두를 함께 보다 잘 살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자는 환자들의 의식에 자리한 문제로서 진솔한 감정 표현의 오랜 소외, 감정 재경험의 필요성, 모성의 품에 대한 오랜 갈망과 모성 재경험의 필요성, 이에 동반되는 부성 재경험의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무의식 심층에서부터 이런 의식의 상황에 반응하여 강력한 원형적 정신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이에 수반하여 파괴적인 그림자 콤플렉스의 문제 또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고된 꿈들은 의식의 관점·태도를 수정하며 치유적 변화를 이끌어가는 무의식의 섬세한 보상 과정이 알코올 중독에서도 일어나고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무의식은 알코올 중독에서도 의식의 변화를 위한 창조적 에너지를 비축하고 이에 의식이 반응하도록 인도하는 작용을 성실히 전개하고 있었다. 종합해 볼 때 알코올 중독은 의식에 범람하는 무의식의 에너지로 인해 현실의 삶이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의식성과 새로운 삶의 지평을 창조하고자 하는 전체적 정신활동의 의도와 목적이 담긴 조건이기도 했다. 이는, 진정한 회복은 당사자가 내면의 심적 진실에 눈을 돌리는 것에서 시작되며 이를 돕는 데 있어 치료자의 중요한 역할이 있음을, 다양한 치료적 방편들도 결국은 이러한 성찰에 이바지하게 될 때 더욱 값진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심적 진실을 외면하며 그릇된 대상에만 집착하는 한, 무의식의 창조성은 활용되지 못하고 오히려 왜곡되어 부정적·파괴적 영향을 삶에 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낙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tago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Fall Prevention in Disabled Elderly)

  • 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5-352
    • /
    • 2020
  • 본 논문은 장애 노인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낙상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기능과 자신감 회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30명으로, 두 그룹으로 할당하여, 실험군 17명, 대조군 13명이었다. 오타고 운동군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2회 각 50분씩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근력, 균형, 유연성과 낙상효능감 변수는 오타고 운동 전과 12주간 오타고 운동 중재 후에 낙상효능감, 낙상횟수와 신체적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징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두 그룹간의 분석은 독립 T 검정을 하였고, 두 그룹내 분석은 대응 T 검정를 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기능 변화에서 하지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1), 대조군은 하지근력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정적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유연성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적 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진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의 동적 균형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 실험군은 약간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노인 낙상예방에 대한 신체적기능과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입원이 불안감(Stress)으로서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f Stress Factors Experienced by the Hospitalized Patients)

  • 최옥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3-111
    • /
    • 1975
  • As the hospitalized patients will be facing new stress situation due to change of his environment from home to hospital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stress experienced by hospital patients not only for helping patients in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illness but also fulfil1ing the objectiv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by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 patients. There is no doubt that it would be very helpful for treatment of patients as well as for improvement of nursing care if we know more about psychological needs of patients and give them adequate support to meet these needs. The study to find out the causes and degree of stress events experienced by hospitalized patients, with the objective of instituting improvement of nursing care program based on the needs of patients, was conducted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1974 with 60 patients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admitted to medical and surgical wards at Yonsei Medical Center in that period The questionnaire form included 36 quest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stress events for hospital patients, and was devide into five areas namely, such events related to 1) disease itself, 2) hospital environment, 3) nursing care and treatment, 4)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and 5) family and economic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confirmed that hospitalization considered to be a stress producing factor and most patients perceived the admission to hospital as a stress factor. 2. According to the rating scale, it was found that degree of perceived stress shows a variation according to the source of stress producing event.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s were observed statistically with the perceived stress level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other variables of patients related to hospitalization. 4. Among the questions related to disease itself, "Admission for surgery" was perceived most frequently as a stress event (97.14%) by patients. 5. With regard to the questions related to hospital environment, "death of the patient room-mate" was the most serious stress event perceived by patients (90%) and "living with hospital regulations"was considered to be less serious stress event (23.33%). 6. As for the questions related to nursing care and treatment, "limitation of freedom" was perceived as a stress factor most frequently (70.91%) by the patients and "worry for wrong treatment" turned out to be less frequent stress event (50.0%). 7. As for the ques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difficulty to meet doctors when wanted"appeared to be the most frequent stress event by the respondents (75.86%) , followed by "no explanation about treatment or examination"(75.0%) and "no explanation about nursing care procedures"(71.66%). 8. With regard 111 tile questions related to family and economic problems, "inadequate finances for family living due to hospitalization"and "high cost of hospitalization" were the most frequent cause of stress mentioned by the patients. (80.0%). 9.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bout 89% was explained by those events associated with disease itself, hospital environment and family and economic problems. By adding those events related to "nursing care and treatment" and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 100% of stress associated with hospitalization was explained.

  • PDF

중년남성의 뇌졸중 후 편마비 경험 (Hemiplegic Experience after Stroke among Middle Aged Man)

  • 오수용;이정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82-593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뇌졸중 후 편마비 경험의 의미 및 본질을 이해하여 간호실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의 D병원에서 2014년 11월 24일부터 2014년 12월 6일까지 뇌졸중 후 편마비로 입원중인 중년남성 8명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경험은 '기나긴 여정의 가시밭길', '고장 난 브레이크', '마음의 갈림길', '짓눌리는 가장의 버거움', '어둠을 밝혀주는 이정표', '제2의 인생의 길' 의 6개의 범주와 이들 범주에 포함된 16개의 주제묶음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중년기에 뇌졸중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과 심리적 갈등, 역할장애 등 후유증과 합병증으로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뇌졸중 남성 환자들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간호 실무에 새로운 통찰력과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재발을 막고 회복을 도와 정신적, 신체적 건강문제뿐 아니라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역할 재정립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도록 중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