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iscovery of the Creative Healing Properties in the Unconscious of Alcoholic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알코올 중독에서 발견되는 무의식의 창조적 치유 활동: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 Kihong Baek (Department of Pychiatry, Ulsan Christian Hospital)
  • Received : 2024.03.30
  • Accepted : 2024.05.11
  • Published : 2024.06.25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et closer to the psychological truth of alcohol addiction. After reviewing previous related studies, the experiences of Korean alcoholics were examined, encompassing both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spects. In order to approach the unconsciou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series of dreams that the patients reported, from the perspective of Jungian dream analysis. Working with dreams brought considerable benefits in increasing patient's involvement in the therapeutic process and fostering therapist-patient alliance. It also helped to understand patients' conscious and unconscious aspects furt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 the conscious level, patients showed a long-standing alienation from their true emotional needs, a lack of sufficient experience in genuinely expressing and being accepted with one's own emotion, resulting in the need for emotional re-experience, along with the intense longing for maternal affection. This also meant that they were in need for maternal re-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associated paternal re-experience. Furthermore, the researcher identified that certain powerful archetypal complexes had been activated in the patient's unconscious in response to their conscious situations, triggering the destructive shadows to emerge and exert a strong influence on their conscious lives. The series of reported dreams shows how the unconscious always properly and diligently compensates, modifying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of the conscious and gradually opening the doors to healing, even for alcoholic patients. This indicates that the unconscious carries out a specific and consistent guidance role so the conscious can realize and adequately respond to it, and that it also provides the creative force for transforming the conscious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cohol addiction is a psychological condition that can jeopardize one's life by allowing the powerful energy of the unconscious to penetrate the conscious, but at the same time, have the purpose and direction to urge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one's conscious lif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rst step towards true recovery is for the individual to turn their attention towards the psychological truth occurring within themselves. In this regard, the therapist's role is crucial. This also suggests that various attempts in the field of addiction treatment will blossom their real values when they contribut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evelopment of one's self-awareness since as long as one continues to turn away from the psychological truth and persist in craving for false objects, their creative healing properties in the unconscious could rather have negative and destructive impacts on their life.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의 심적 진실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여러 알코올 환자들의 경험 지평을 의식뿐 아니라 무의식도 포괄하며 살펴보았다. 무의식 측면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환자들이 보고한 일련의 꿈들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꿈 분석은 치료 작업에의 환자의 참여, 치료자-환자 동맹 관계에도 유익하였으며, 환자의 무의식과 의식 모두를 함께 보다 잘 살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자는 환자들의 의식에 자리한 문제로서 진솔한 감정 표현의 오랜 소외, 감정 재경험의 필요성, 모성의 품에 대한 오랜 갈망과 모성 재경험의 필요성, 이에 동반되는 부성 재경험의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무의식 심층에서부터 이런 의식의 상황에 반응하여 강력한 원형적 정신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이에 수반하여 파괴적인 그림자 콤플렉스의 문제 또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고된 꿈들은 의식의 관점·태도를 수정하며 치유적 변화를 이끌어가는 무의식의 섬세한 보상 과정이 알코올 중독에서도 일어나고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무의식은 알코올 중독에서도 의식의 변화를 위한 창조적 에너지를 비축하고 이에 의식이 반응하도록 인도하는 작용을 성실히 전개하고 있었다. 종합해 볼 때 알코올 중독은 의식에 범람하는 무의식의 에너지로 인해 현실의 삶이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의식성과 새로운 삶의 지평을 창조하고자 하는 전체적 정신활동의 의도와 목적이 담긴 조건이기도 했다. 이는, 진정한 회복은 당사자가 내면의 심적 진실에 눈을 돌리는 것에서 시작되며 이를 돕는 데 있어 치료자의 중요한 역할이 있음을, 다양한 치료적 방편들도 결국은 이러한 성찰에 이바지하게 될 때 더욱 값진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심적 진실을 외면하며 그릇된 대상에만 집착하는 한, 무의식의 창조성은 활용되지 못하고 오히려 왜곡되어 부정적·파괴적 영향을 삶에 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철중 (2007): "남성의 모성콤플렉스", ≪심성연구≫, 22(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2. 노명선 (2022): "민담 '주인집을 망하게 한 하인'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트릭스터 원형을 중심으로", ≪심성연구≫, 37(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3. 박신, 김계희 (2015): ≪부성 콤플렉스-분석심리학적 이해≫, 학지사, 서울.
  4.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5. 이부영 (2011): ≪분석심리학≫ 제3판, 일조각, 서울.
  6. 이유경 (2018): ≪한국민담의 여성성≫,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7.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9): ≪중독정신의학≫, (주)엠엘커뮤니케이션, 서울.
  8. Barbara H (2006): The archetypal symbolism of animals, Chiron Publications, Illinois.
  9. Wilson B, A. A. 한국연합(역) (2015):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한국 A.A. G.S.O. 서울.
  10. Shoen DE (2009): The War of the Gods in Addiction, Spring Journal Books, New Orleans.
  11. Gabbard GO, 이정태.채영래(역) (2016): ≪역동정신의학≫ 4판, 하나의학사, 서울.
  12. Addenbrooke M (2011): Survivors of Addiction, Routledge, East Sussex.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3. McCabe I (2018): Carl Jung and Alcoholics Anonymous, Routledge, New York.
  14.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1): C.G. 융 기본저작집 제1권,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출판사, 서울.
  15.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a):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16.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b): C.G. 융 기본저작집 제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솔출판사, 서울.
  17. Jung CG (2008): Children's drea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8. Jung CG (1957): CW 1, Psychiatric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9. Jung CG (1968): CW 9i,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0. Jung CG (1969): CW 8,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1. Jung CG (1989): CW 14, Mysterium coniunction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2. Leonard LS (1989): Witness to the Fire: Creativity & the Veil of Addiction, Shambhala Inc., Boston.
  23. Flores PJ, 김갑중.박춘삼(역) (2010):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도서출판 NUN, 서울.
  24. Perera SB (2001): Celtic Queen Maeve and Addiction, Nicolas-Hays, Inc., York Beach, Maine.
  25. Von Franz ML, 이도희 (역) (2020): ≪황금당나귀≫,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