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Mechanism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4초

Critical Hazard Factors in the Risk Assessments of Industrial Robots: Causal Analysis and Case Studies

  • Lee, Kangdon;Shin, Jaeho;Lim, Jae-Yo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96-504
    • /
    • 2021
  • Background: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industrial robots and the "noncontact" trend, it is an appropriate point in time to examine whether risk assessments conducted for robot operations are performed effectively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risks of injury or harm to operators. This study discusses why robot accidents resulting in harm to operators occur repetitively despite implementing control measures and proposes corrective actions for risk assessment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369 operator-injured robot accidents in Korea over the last decade and reconstructed them into the mechanism of injury, work being undertaken, and bodily location of the injury. Then, through the techniques of Systematic Cause Analysis Technique (SCAT) and Root Cause Analysis (RCA), this study analyzed the root and direct causes of robot accidents that had occurred. Causes identified included physical hazards and complex combinations of hazards, such as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errors. The requirements of risk assessments regarding robot operations were examined, and three case studies of robot-involved tasks were investigated. The three assessments presented were: camera module processing,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a panel-flipping robot installation. Results: After conducting RCA and comparing the three assessments, it was found that two-thirds of injury-occurring from robot accidents, causative factors included psychological and personal traits of robot operators. However, there were no evaluations of the identifications of personal aspects in the three assessment cases. Conclus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ersonal factors of operators,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risk assessments so far, need to be included in future risk assessments on robot operations.

성과 연령에 따른 서두름 행동 특성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Hasteful Behavior)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4호
    • /
    • pp.365-380
    • /
    • 2011
  • 본 연구는 연령대를 확대한 경우에도 서두름 행동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성과 연령에 따른 서두름 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602명의 성인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5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5개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것은 다시 2구조를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을 확대해도 서두름 행동의 구성요인과 구조는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녀의 서두름 행동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의 서두름 행동 수준이 남성의 서두름 행동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서두름 행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를 통해 남녀의 서두름 행동 차이의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서두름 행동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속도저하가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 기제와도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로 제시하였다.

  • PDF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perceive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emotional eating

  • Yesol Um;Jisun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30-340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Emotional eating is one of the eating behaviors in which negative emotions affect eating. During the luteal phase,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can appear in some women, and a few of them suffer from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a severe form of PMS. Some women diagnosed with PMS/PMDD experience emotional eating during the luteal phase, which may be a coping mechanism for psychological stres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PMS/PMDD and negatively perceived stress are related to emotional eating. SUBJECTS/METHODS: A total of 409 women aged 20 to 39 yrs with a body mass index (BMI) ranging from 18.5 to 29.9 kg/m2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ho responded to all the questions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Negative Perceived Stress Scale, and Emotional Eater Questionnaire were divided into a PMDD and a non-PMDD group according to the cut-off value for PMDD diagnosis. Independent t-tests and medi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2 group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were found in terms of BMI; however, the average values for emotional eating, PMS, and negative perceived stress of the PMD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PMDD group. Only negative perceived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ating in the non-PMDD group. In the PMDD group, P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negative perceived stress and emotional eating mediated by negative perceived stress. Consequently, it appeared to have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on depending on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PMDD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anaging negative perceived stress to control emotional eating in PMS/PMDD for improved women's health.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NS Addiction)

  • 김수성;이영순;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33-44
    • /
    • 2017
  •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정서조절곤란 ${\rightarrow}$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의 고위험군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 여성 집단에서 이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기제가 나타났지만 20대 남성 집단에서는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SNS 중독'의 관계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인지치료나 20대 여성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정서치료가 SNS 중독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신경망을 이용한 다중 심리-생체 정보 기반의 부정 감성 분류 (Classification of Negative Emotions based on Arousal Score and Physiological Signals using Neural Network)

  • 김아영;장은혜;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77-186
    • /
    • 2018
  • 감성은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 평가 척도의 하나인 각성(arousal) 지표와 다중 생체신호에서 추출된 생체지표 반응을 이용하여 중립 및 부정 감성(슬픔, 공포, 놀람)의 분류하였다. 이를 위하여 감성에 따른 생체지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다중 신경망 알고리즘 기반의 감성 인식기를 적용하여 이들 감성이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총 146명의 실험 참가자(평균 연령 $20.1{\pm}4.0$, 남성 41%)를 대상으로 감성 유발 자극을 제시하고 동시에 생체신호(심전도, 혈류맥파, 피부전기활동)를 측정하였다. 또한 감성 유발 자극에 대한 심리 반응을 감성 평가 척도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생체신호에서 심박률(HR), NN 간격의 표준편차(SDNN), 혈류량(BVP), 맥파전달시간(PTT), 피부전도수준(SCL), 피부전도반응(SCR)을 추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감성 자극에 대한 각성도와 안정 상태와 감성 상태의 생체지표 반응을 활용하였다. 또한 감성 분류를 위하여 다중 신경망 기반의 감성 인식기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감성에 따른 생체지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들 감성의 분류 성능은 각성도와 모든 생체지표 특징들을 조합하였을 때 정확도가 가장 높음(86.9%)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 및 생체지표 추출과 기계학습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부정 감성을 분류할 수 있음을 제안하며, 이는 인간의 감성을 탐지하는 감성 인식 기술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 강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73-97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How Retirees'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Affects Effectiveness of Their New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 Lim, Jeoung-sook;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8-28
    • /
    • 2021
  • This study surveyed how retirees'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affects the effectiveness their new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personal factors such as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starting cap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using questionnaires.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rapidly changing new business environments and retirees' initial intent to start a business so as to verify basic hypothesis about relation between retirees'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effec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ir new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and confirm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business acts as a medium between the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PLS-MGA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correlations among test factor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kind of job the target retirees had. Having examined the basic thesis, it was found t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busines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Having analyze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new business acted as a media between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as a medium. Having studied whether the kind of job of the retirees controlled or affected the relations among evaluation of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effectiveness of new business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office job retiree group, the greater economic factor led to increase of effectiveness of new business, whil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In the physical labor group, the higher social factor resulted in higher effectiveness of new business, whi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Having researched about which element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in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the most important element was found to be dish/menu, followed by staff management, accounting management, business management, and service education. Having analyzed relation between accomplishment and important consideration for starting food service business, "managers with entrepreneurship," "appropriate distribution of time to prepare for starting business," and "operation of practical field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importance compar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so it is needed to more concentrate on the above matters. This study intends to raise retirees' awareness of starting business and help them live better lif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further suggest detailed mechanism and specific operations of factors affecting retirees' decision making on starting business, such that they can use the information as basic materials to make better choices that can lead to successful business.

저신뢰 사회를 만드는 고신뢰 기대? 가족확장성과 신뢰기준의 역할 (Can High Trust Expectation Cause Low Trust? The Roles of Trust Criteria and Family Expansionism)

  • 허용회 ;박선웅 ;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1호
    • /
    • pp.75-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 대한 저신뢰 평가에 기여하는 문화심리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신뢰 평가가 한국인 스스로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에 귀인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신뢰 판단의 기준을 형성하는 데 한국의 문화심리적 특성인 가족확장성(Korean Family Expansionism)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540명의 한국 성인에게 부모,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신뢰의 기준 및 실제 신뢰 정도와 그들의 가족확장성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키는 처치가 신뢰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에 대한 신뢰 기준은 부모에 대한 신뢰 기준보다 더 높았고, 특히 관계(친밀성)요인이 아닌 대상(책임성)요인에서 정치와 사법 현실을 고려할 때 일반인들이 정치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가 다소 비현실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에 대한 신뢰기준에 비해 정치인이나 사법부에 대한 신뢰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실제 그들에 대한 신뢰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상대적 신뢰 수준/기준(부모 대비)은 가족확장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가족확장성이 높을수록 부모에 비해 사법부/정치인에 대한 더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신 또한 높았다. 또한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켰을 때 신뢰의 기준이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사회가 저신뢰 사회라는 전제 하에 그 원인을 밝히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저신뢰 사회라는 인식이 형성되는 이유와 그 속에서 가족확장성이라는 문화심리적 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명하여 한국 사회의 신뢰 현상의 심층적 의미를 논하였다.

싱잉볼 소리의 특성 및 임상적인 기전 (Acoustic Property and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 김성찬;홍금나;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51
    • /
    • 2022
  • 배경: 싱잉볼은 그릇 모양의 타악기로 명상 및 치유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으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기전이 명확하지 않다. 목적: 본 논문에서는 싱잉볼 소리의 독특한 음향학적인 특성을 개관하고, 싱잉볼의 효과를 유도하는 물리적인 기전에 대해 토의했다. 방법: 문헌을 고찰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싱잉볼 소리는 인접한 다수의 피치의 소리가 포함되어 있어 맥놀이 현상이 발생한다. 싱잉볼 소리에서 느끼는 강하고 지속적인 소리의 울림은 맥놀이 현상의 결과이다. 싱잉볼 소리의 울림은 싱잉볼 악기 및 연주 방법에 좌우되며, 대체로 명상 상태에서 관찰되는 뇌파(세타파)와 유사한 리듬을 포함하며 명상 뇌파를 활성화하는 동조 현상을 유발한다.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 효과는 주로 싱잉볼 소리의 울림의 리듬과 뇌파의 동조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인 효과에 대한 기전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싱잉볼 소리의 울림에 대한 심리 및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한 남성노인의 성적욕구 표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Desire Outburst of the Male Elderly Residents Experienced by the Workers in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31-49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plore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among male elderly residents who have been living in long tenn care facilities. There are three topics covered in this study; first, in what situations and how seriously do care workers encounter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of the elderly residents? Second, what kind of negative consequences do they believe those sexual behaviors will lead to? Third, how can we implement defensive measures against the sexual behaviors? In this study, twenty three care workers working full time in five retirement and care facilities were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bove study agendas, and answer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elderly residents apparently show a variety of sexual harassment and provoking behaviors such as sticking to specific women, physically touching and attacking, and induce obscenely activities against female residents, care workers, and volunteer visitors. Second, their sexual behaviors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isolated and abandoned emotionality as well as living situation in rural areas. Third, their sexual behaviors often critically affect care work plan and facility managements by severely discouraging female care givers and community supporter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ions and defensive measures were mad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toward female workers and volunteer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programs should cove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mechanism of sexuality in later life. Second, self control plans need to be empowered toward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plans, the elderly residents shall be encouraged to evaluate primary cause and proper solutions of sexual behaviors of their peering residents. Third, combination of healthy housing and care facilities for frail elderly need to be integrated in a neighboring location, so that when residents and workers encounter extreme episodes of sexuality of healthy residents in a housing facility, the problematic sexual residents are partially transferred into a neighboring care facility and thereafter other residents and cafe givers are relieved from stressful contacts with the extremely sexual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