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Empowerment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초

내재적 동기요인,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감적 몰입 및 서비스품질 간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종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rinsic Motivators, Psychological Empowerment, Affective Commitment and Service Quality)

  • 최영숙;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111-122
    • /
    • 2013
  • 본 연구는 호텔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내재적 동기요인,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감적 몰입 및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울시 소재 6개 특급호텔에 종사하는 233명의 호텔종사자들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요인인 직무도전성과 직무자율성은 호텔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직무다양성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도전성, 직무다양성 및 직무자율성의 세 내재적 동기요인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모두 호텔종사자의 정감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정감적 몰입의 두 변수 모두 호텔종사자의 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남희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175-1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사회복지 이용 및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215명을 대상으로 편의모집(purposive sampling)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조직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규명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있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은 직무만족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에 있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의미성은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권한에서도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역량 역시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검증결과를 통하여 앞서 제시한 4개의 가설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검증결과를 통한 연구의 함의는 우선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임파워먼트가 조직에 유용한 관리기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효율적인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임파워먼트의 증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llective Leadership on Follower's Work Engagement: Examining the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lf-efficacy)

  • 엄기성;유태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15-433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집합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집합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집합적 리더십과 직무열의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그리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7개 기업 2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21.0과 M-Plus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 과정에서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합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촉진하고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객실승무원의 심리적임파워먼트가 CSM기반과 CSM초월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ight Attendant's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Service Behavior 'by and beyond' CSM)

  • 이수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7-1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심리적임파워먼트가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와 CSM(Cabin Service Manual)기반 서비스행동, CSM초월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모형과 관련 가설은 구조방정식 모델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임파워먼트는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와 객실승무원의 CSM기반 서비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CSM초월 서비스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는 CSM기반 서비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CSM초월 서비스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는 심리적임파워먼트와 CSM기반 서비스행동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심리적임파워먼트와 CSM초월 서비스행동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객실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해서 고객 접점에 있는 객실승무원의 심리적임파워먼트와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심리적임파워먼트는 고객중심 업무수행자세가 전제될 때 CSM기반 서비스행동을 강화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가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gagemen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on Proactive Behavior)

  • 박은혜;김미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7-140
    • /
    • 2022
  •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보다 차별화된 전략과 경영 변화를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행동이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함을 전제로 조직 전체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개인적인 요소로서 주도적 행동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주도적 행동의 성격을 고려하여 일정규모 이상인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00개의 표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유능성,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주도적 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주도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열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 받음으로써 직장 내에서 스스로가 활력과 몰두, 헌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가 높을수록 주도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주도적 행동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살펴봄으로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인적자원의 잠재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고취시키고 이를 통하여 주도적 행동을 높이므로, 관리자들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유능하고 역량을 갖춘 구성원 스스로 잠재력을 개발하고 인식하여 조직을 쇄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동인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reativity)

  • 최익성;장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71-3586
    • /
    • 2014
  •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12개 기업의 구성원 및 리더들을 대상으로 웹과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418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332부 샘플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내재적 동기와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개인 창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을 부분매개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 중 내재적 동기에 집중하여 이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 정서적 기제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조직 구성원의 개인 창의성 발휘를 위해 조직 차원의 실무적 시사점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에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오옥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1호
    • /
    • pp.45-65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심리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부정 정서의 경우 연령, 결혼 연수, 본인의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도 연령, 결혼연수, 본인 및 배우자의 최종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 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부정 정서-임파워먼트, 부정 정서-삶의 만족, 심리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부정 정서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나아가 삶의 만족도라는 3가지 차원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심리적 요인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위 연구결과는 향후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 PDF

[Retracted]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Resourcefulness Lead to Innovation? Mediation Model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Nadeem, AKHTA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2호
    • /
    • pp.61-7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 JR, and Innovation, and to explore the role of job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 companies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PLS-SEM 4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100 valid respon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loyee empowerment (EMPOW)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fulness (JR) and Innovation (INNOV). The total effect of JR on INNOV is also significant, with a beta coefficient of 0.234 and a t-value of 3.375. However, when the mediating influence of EMPOW is taken into account, the effect of JR on INNOV is no longer significant, with a beta coefficient of 0.100 and a t-value of 1.610. This suggests that EMPOW plays a ke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R and INNOV and that JR may not have a direct impact on Innovation. The study informs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or strategies for promot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s by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facilitate or inhibit the innovation process. The study furth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new theories or mod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resourceful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Innovation.

Linking Knowledge Sharing to Innovative Work Behaviour: The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ALMULHIM, Abdullah F.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549-560
    • /
    • 202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 worker as a moderator to explain the link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within the telecommunication sector of Saudi Arabia. This study is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having collected data through a series of questionnaires develop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applied Smart-Partial Least Squares (PLS)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The knowledge sharing increases the competencies of the workers, bringing about more creativeness and perfection. Furthermore, this study elaborates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or in making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nnovative work behaviour in any organisation depends on the practice, experience, and capabilities of the workers and, most importantly, the interdepartmental knowledge shared amongst them. The sharing of knowledge psychologically empowers the worker to bring creativity, modernization and excellence in the work that affects the marginal productivity, profit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t a great extent. These factors provide long-run sustainability to business in a highly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규만;최준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339-36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 인식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강원지역의 기업체에 근무하는 305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고 있지만 이들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조직구성원은 리더와의 좋은 관계유지를 통해 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이고 나아가 조직몰입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구성원의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조직차원의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