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patients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3초

Modification of Severe Violent and Aggressive Behavior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through the Use of a Short-Term Token Economy

  • Park, Jae Soon;Lee, Kyunghe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62-1069
    • /
    • 2012
  • Purpose: Meager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oken economy among patients behaving violently in mental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hort-Term Token Economy (STTE) on violent behavior among chronic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method was utilized.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n=22) and control group (n=22) took part in this study from January to April, 2008. Observation on aggressive behavior among male in-patients in one hospital as a baseline was made during the week before the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and measurement of aggressive behavior was done using the Overt Aggression Scale (OAS), which includes verbal attacks, property damage and physical attacks. Results: The aggressive behavio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those of the control group, scores showed an increase after the eight-week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utilizing STT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TT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aggressive behavior among male in-patients in psychiatric hospitals. The outcome of this study should be helpful in reducing the use of coercive measures or psychoactive medication in controlling the violent behavior among in-patients in hospitals.

자살을 시도한 정신과 환자에서 낮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와 심각한 자살 수행과의 연관성 (Lower Serum Cholesterol Level is Associated with More Serious Injury in Psychiatric Patients with Suicide Attempt)

  • 김용구;이헌정;김지연;최소현;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2호
    • /
    • pp.227-234
    • /
    • 1999
  • 자살 시도군 231명, 환자 대조군 231명, 정상대조군 231명을 대상으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자살 시도군이 환자대조군 혹은 정상대조군보다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2) 진단별로는 우울증과 인격장애에서 자살 시도군이 환자대조군보다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한 저하를 보였으나,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정동장애 조증형에선 차이가 없었다. 3) 자살 시도군의 남녀별로 비교시, 남자가 여자보다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한 저하를 보였으며, 진단별로는 우울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자살 시도군에서 낮은 콜레스테롤 농도는 심각한 자살 수행과 연관성이 있었다. 5) 자살 시도군에서 치료전에 비해 치료후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살 시도의 예측인자로서 혈청 콜레스테롤이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변인들을 통제한 전향적 방법을 통해 원인적 측면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와 세로토닌, 인터루킨-2, 멜라토닌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심리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 김진성;배대석;이광헌;서정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44-254
    • /
    • 1999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영남대학교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내원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90명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과 외래 환자 6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와 질병행동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면적 인성검사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정신과 외래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유사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양군에서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척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질병행동 설문지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이 정신과 외래환자군보다 질병집착심과 정서적 혼란 소척도에서 성적이 낮게 나왔으며, 다른 소척도들은 비슷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중다변인 군집분석한 결과, 정신과 외래의 신경증환자와 같은 집단<집단 1>, 정상인과 같은 집단<집단 2>,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류된 집단들 간의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 비교에서,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은,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강박증, 정신분열증 등의 소척도 점수가 높게 나왔다(P<.05). 신경증적인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의 질병행동 설문지 결과를 보면 다른 집단들과 정서적 억압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 즉, 건강염려증, 질병집착심, 심리적 대 신체적 관심, 정서적 혼란, 부정, 자극과민성 등의 척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집단 3>처럼 심한 신경증적인 질병행동을 보이는 군은 정신의학적 접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집단이다.

  • PDF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의 다음증 및 물중독 유병률 및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lydipsia and Water Intox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 조애화;조연수;노재우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4호
    • /
    • pp.246-255
    • /
    • 2009
  •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olydipsia and water intoxication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of polydipsia and water intox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 Methods : 1,108 Psychiatric inpatients at 2 mental hospitals in Yongin city were studied from September, 2008 to January, 2009. We diagnosed 'polydipsia' using staff reports(fluid intake>3L/day) or by specific gravity of urine(SPGU<1.008) and diagnosed 'at risk for water intoxication' using normalized diurnal weight gain (NDWG>4%). We attempted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 Two hundred forty seven patients(22.3%) were polydipsic. Sixty eight patients(6.1%) were at risk for water intoxicat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lydipsia were lithium, smoking, younger age and increased smoking amoun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for water intoxication were valproic acid and polydipsia. Conclusion : Polydipsia and water intox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are not rare conditions. Therefore, clinician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se conditions.

  • PDF

일 대학병원에서 5년간 시행된 정신과 자문의뢰 분석 (Psychiatric Consultation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 김성완;김선영;김성진;김재민;신일선;윤진상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28-33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설대학병원에서 개원 이후 약 5개년간 이루어진 자문의뢰 상황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정신과에 자문 의뢰된 입원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 연구 자료는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 과: 총 1,852건의 자문의뢰 중 정신상태 변화(mental change)가 20.5%로 가장 흔한 자문사유였고, 우울기분(16.8%), 불면(12.8%), 불안(7.9%) 등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진단은 섬망(39.7%)이었고, 우울장애(28.2%), 적응장애(7.9%), 불안장애(4.1%) 등 정서적 문제도 흔하였다. 섬망으로 진단된 환자의 평균 연령이 다른 진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 환자에서는 섬망이 47.1%, 여성 환자에서는 우울증이 48.3%로 각각 가장 빈번하였다.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받지 않은 환자 보다 섬망의 발생이 유의하게 빈번하였다. 결 론: 정신과 자문의뢰 중 가장 빈번한 진단은 섬망이었고, 다음으로 우울장애였다. 섬망은 남성에서 빈번하였고, 우울장애는 여성에서 빈번하였다.

  • PDF

우리나라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장기입원 관련 요인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with Extended Hospitaliz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 서수경;김윤;박종익;이명수;장홍석;이선영;이진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6호
    • /
    • pp.416-42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and to explore patien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xtended hospitalization.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information of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ll data associated with admission and outpatient clinic visit were analysed by patient characteristics. We selected first psychiatric admission patients who diagnosed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main disease code: F10), schizophrenia and related disorders (F20-29) and mood disorders (F30~33) from January to June 2005. We analysed status of admission, mean length of stay, regular access to outpatient clinic and rates of extended hospitalization during 3 years. B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extended hospitalization. Results : The number of psychiatric patients during the first six month of 2005 was 30,678. The mean length of stay was longest for schizophrenia and related disorders but shortest for mood disorders. Patients who experienced an extended hospitalization were 18.8% of total subjects. An extended hospitalization was more common in schizophrenia and related disorders than other diagnostic group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xtended hospitalization were age, sex, diagnostic group, type of insuranc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groups. Conclusions : The study indicates the problem of an extended hospitalization for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variations in rates of extended hospitalization among medical care utilization group may need an active early intervention system in psychiatric treatment service. Particular attention needs to be devoted to planning and funding for reducing extended hospitalization.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using Simulated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Learning)

  • 김순옥;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96-408
    • /
    • 2014
  • 본 연구는 치료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정신간호사정 교육을 위해 개발한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연구로 119명의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8시간의 시뮬레이션 교육 중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은 교육만족도와 중간정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정신간호 실습교육에 있어서 모의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중심의 정신간호 실습교육 및 정신간호 임상실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위한 낙상 위험 사정도구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의 타당도 평가: 후향적 연구 (Validation of the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 for Psychiatric In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 김경영;손영선;이유지;김지은;김미경;이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3호
    • /
    • pp.270-27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 (EPFRAT) for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Data from retrospective study were collected from 670 adult inpatients in two departments of mental health medicine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by reviewing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re were 41 patients who experienced falls and 629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fall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b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for validity assessment using the IBM SPSS/WIN 26.0 program. Results: Factors affecting falls were the participant's age, guardian's residence, high-risk determina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comorbidity. At the 85 points where the point of sum of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as larges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EPFRAT were 92.7%, 79.7%, 22.9%, and 99.4%,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ROC to assess the overall validity of the tool was .92 (95% CI 0.89~0.94). Conclusion: The EPFRAT was proved to be valid and reasonable for predicting falls in psychiatric in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used for the assessment of high-risk patients for falls in psychiatric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