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outpatient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정하란;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구본기;김경민;남석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112-120
    • /
    • 2014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과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습관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8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4개 항목의 야간 식이증후군 설문지(NEQ)를 자가 보고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신체 질량 지수(BMI), 주관석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에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inge Eating Scale(BES),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등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얻었다. 결 과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 중 야간 식이증후군의 유병률은 14.3%(84명 중 12명)이었다. NES와 Non-NES군 사이에서는 경제적 상태와 동반되는 내과 질환을 제외한 성별, 나이, 교육 년 수, 결혼 및 직업 상태, 흡연, 음주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Non-NES 군에 비해 NES군에서 폭식이 많았고 비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 결 론 이번 연구는 야간식이를 보이는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비록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의NES군에서 뚜렷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특성이 많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NES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볼 때 임상에서 양극성 장애 환자 평가 시 비만 여부에 관계 없이 NES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 남석현;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박형종;이지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93-103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식이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 NES)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1명의 조현병 환자들을 14 문항의 자기보고 형식인 야간식이증후군 설문지(Night Eating Questionnaire : NEQ)로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과 체 질량 지수(BMI)을 조사하였고, 주관적인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 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각각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와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 증후군의 유병률은 10.4%(201명 중 21명)이었다. NES 군과 non-NES 군간에 나이를 제외하면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ES 군이 Non-NES 군에 비해 보다 우울했고, 수면과 폭식 양상, 체중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장애를 나타냈다. '아침 식욕부진'과 '지연된 아침식사'(NEQ에서 NES 핵심 항목 5개 중 2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야간 섭식', '야간 식욕항진' 그리고 '기분/수면'은 NES 군에서 더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NES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대해 기술한 최초의시도이다. 비록 NES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NES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군 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과 일반 외래 환자군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Patients with Military Service Issues versus General Psychiatric Outpatients)

  • 심승연;최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43-154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군 복무 적합성 판정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인지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 외래 환자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에 병사용 진단을 위해 내원한 군 집단 108명과 일반 외래 집단 80명으로 총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집단 간에 인지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와 절단점을 초과하는 사례수의 비율을 알아보는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군 집단에서 보이는 심리적 특성이 검사 시기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인지 알아보기 위해 집단 내 검사 시기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대응표본 t검증을 시행하였다. 결 과 군 집단과 일반 외래 집단은 인지적 특성을 평가하는 WAIS-IV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타당도에서는 군 집단에서는 일반 외래 환자군에 비해 비전형 반응(F-r)과 비전형 정신병리 반응(Fp-r) 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적응 타당도(K-r) 척도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더불어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BDI와 MMPI-2-RF에서 일부 하위 척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의기소침(RCd), 낮은 긍정 정서(RC2), 냉소적 태도(RC3), 인지적 증상 호소(COG), 무력감/무망감(HLP), 자기 회의(SFD), 효능감 결여(NFC), 스트레스/걱정(STW), 사회적 회피(SAV), 수줍음(SHY), 관계 단절(DSF),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INTR-r) 척도에서 군 집단이 유의미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 집단의 검사 시기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는 군 집단이 일반 외래 집단에 비해 증상에 대해 더 과대보고 경향성이 더 높고, 우울 및 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후기 황체기 불쾌기분 장애의 평가 방법 및 진단에 관한 예비 연구 - 정신과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Method for Evaluation and Diagnosis of Late Luteal Phase Dysphoric Disorder in Women - Focusing on Psychiatric Outpatients -)

  • 이상규;조숙행;곽동일
    • 정신신체의학
    • /
    • 제3권2호
    • /
    • pp.115-125
    • /
    • 1995
  • Reports about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mptoms state that occurs in 20 to 100% of most reproductive-age women.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affective disorders as well as same some other psychiatric disorders. Late luteal phase dysphoric disorder (LLPDD) is a premenstrual condition defined in DSM-III-R by severe mood changes and other symptoms that repeatedly occur only in the luteal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However, DSM-III-R does not specify how to compute the change from the follicular to the luteal phase or how to determine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great enough to warrant the diagnosis nor how to determine occupational or social functional impair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ature, severity and magnitude of premenstrual syndrome in women with current psychiatric disorders by using prospective Daily Rating Form(DRF), and to measure symptom changes according to three scoring methods for diagnosing LLPDD. Our study obtains the data about premenstrual changes estimated by DRF from 22 women with psychiatric disorders who had met criteria for major depressive syndrome on the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PAF). The data was scored by each three methods and was determined to meet criteria A for LLPD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when scored according to the percent change method, effect size method and absolute severity method, met the DSM-III-R criteria A for LLPDD in 36.4% (8 subjects), 14% (3 subjects) and 4.5% (1 subject) of the cases respectively. 2) The items of irritability, anger and impatience were occurred most frequently on the DRF, when it was scored according to the three scoring methods. And the item of breast pain was next frequent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method and the percent change method but according to the absolute severity method. 3) The PAF item of impaired social functioning was reported by 16 (73%) of the subjects. 4) 4 (18%) of the subjects met criteria A for LLPDD and reported impaired social functioning. The prevalency of LLPDD according to each method varied. The percent change method yielded the greatest (36.4%), and the absolute seventy method yielded the laest (4.5%), The effect size method yielded an intermediate frequency (14%). Therefore, for maximizing the diagnostic accuracy of LLPDD, a diagnostic procedure including a measure of change (e.q., effect size method, percent change method) as well as confirmed diagnosis by DRF, will be needed. Also, an accurate tool to evaluate impaired social functioning will be required.

  • PDF

한방소아·청소년과 외래 환자 주소증의 최근 경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ent Trend of Chief Complaint of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Outpatients)

  • 이은주;이보람;이지홍;장규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chief complaints of Korean pediatrics and adolescent outpatients in the ${\bigcirc}{\bigcirc}$ university hospital for their recent trend. Methods The study was composed of 4,677 new patients aged between 1 month and 20 years who had been visited pediatrics in ${\bigcirc}{\bigcirc}$ university hospital from 2012 January to 2015 December. Results 1. Among those patients, majority was early childhood as 51.4%, followed by early childhood, late childhood, infancy, and adolescence. 2. Chief complaints in this population have been recorded in the fall the most as 29.6%, but the distribution was inconsistent. 3. To categorize, digestive-related chief complaints were the highest as 30.6%, followed by respiratory, supplemental use, growth, psychiatrics. Respiratory-related chief complaint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fall. 4.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digestive/respiratory complaints were common, whereas, growth complaints were common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5. Digestive/respiratory complaints have been over 50% out of all chief complaints annually. Psychiatric and growth-related complaints have been trending up, whereas, supplemental/skin complaints have decreased every year. 6. Specifically, anorexia were the most common in digestive complaints, and rhinitis/sinusitis were top among respiratory complaints. Precocious pubert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increased every year. Conclusions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s were digestive and respiratory-related, and precocious puberty and growth issues have been trending up lately. Based on this result, more studies that targets precocious puberty and growth problems are needed.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에서 리질리언스와 감사 성향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Gratitud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 민정아;이원희;정영은;홍현미;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6-31
    • /
    • 2022
  • Objective : The levels of resilience and gratitude were examined in psychiatric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associations of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gratitude on resilience in this patient population. Methods : The participants included a general population sample (n=155) and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n=108).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the Gratitude Questionnaire-Six-Item Form (GQ-6), th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PANAS),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Results : The CD-RISC and GQ-6 scores of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the patient popu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while controlling for a range of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Conclusion :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 generally had lower resilience and gratitude. Moreover, our findings showed that gratitude could influence the levels of resilienc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정신질환자들에 동반된 기능성 위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 강등현;장승호;류한승;최석채;노승호;백영석;이혜진;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 동반된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Rome III questionnaire - Korean version에 따라 FGID를 선별하여 1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결 과 FGID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chi}^2=10.139$, p=0.017). FGID 집단에 따른 정신질환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11.408$, p=0.022) IBS 집단은 불안(t=-3.106, p=0.002), 우울증상(t=-2.105, p=0.037), 신체증상(t=-3.565, p<0.001), 특성분노(t=-3.683, p<0.001), 분노-억제(t=-2.463, p=0.015), 분노-표출(t=-2.355, p=0.020)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집단에서는 불안(t=-4.893, p<0.001), 우울증상(t=-3.459, p<0.001), 신체증상(t=-7.906, p<0.001), 특성분노(t=-4.148, p<0.001), 상태분노(t=-2.181, p=0.031), 분노-억제(t=-2.684, p=0.008), 분노-표출(t=-3.005, p=0.003)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증(Nonerosive reflux disease) 집단에서는 불안(t=-4.286, p<0.001), 우울증상(t=-3.402, p<0.001), 신체증상(t=-7.162, p<0.001), 특성분노(t=-2.994, p=0.003), 상태분노(t=-2.259, p=0.025), 분노-억제(t=-2.772, p=0.006), 분노-표출(t=-2.958, p=0.00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서 FGID의 유병률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정신사회적 변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의학적 접근은 FGID 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공황장애 외래 환자의 아동기 외상과 약물치료 유지 (Childhood Trauma and Pharmacotherapy Retention among Out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김동주;김대호;이진복;김예슬;손수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53-62
    • /
    • 2020
  • 연구목적 최근 공황장애와 초기 외상 사건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는데, 아직까지 공황장애의 경과나 치료와 아동기 외상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 연구는 공황장애 외래 환자에서 아동기 외상 병력과 약물치료 유지 기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 법 이 횡단적 연구는 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일생의 외상력, 우울, 불안 및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약물치료 기간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2016년 2월까지 총 135명의 공황장애 외래 초진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이중 53명(39%)이 거절하거나 불완전한 설문을 작성하여 나머지 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에는 외상력 선별 검사(Trauma History Screen), 벡우울척도, 벡불안척도, 간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설문지가 포함되었다. 결 과 일생 동안 경험한 외상 종류의 수와 치료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ho=-0.269, p=0.015). 외상의 아형을 볼 때는 아동기 신체 학대와 치료 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정 상관 결과를 보였다(rho=-0.298, p=0.007).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 외상, 특히 아동기의 대인관계적 외상이 공황장애의 치료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과 불량한 치료 유지를 중재하는 요인, 예를 들어 치료 관계나 치료에 대한 기대 부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복용 양상에 관한 연구 : -판별함수분석기법을 통한 결정변인 분석 -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ed on the Patterns of Antipsychotics Medication by Schizophrenic Out-patients : Using the Technique of Two Group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 김태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0-141
    • /
    • 1993
  • This study was to find out variables influenced on the medication patterns (voluntary medication, in-voluntary medication) of antipsychotics taken by schizophrenic outpatient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be identified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voluntary medication and involuntary, and that which variables had infuence on outpsychotics medi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30 patients takeing their pills voluntary (voluntary medication group), and 15 patients involuntary(involuntary medication group) at a psychiatry hospital and a psychiatric unit of 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1 through interview using questionare about antipsychotics medication. Data were analyzed by the technique of two group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using SPSS pc$^{+}$ 1) Discriminant function discriminating between voluntary medication and involuntary medication wa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0% significance (sig.=.055, p〈.10) Hit-ratio was very high (91. 1%) 2) One of General variables, SEX, was significant of discriminating between two medication patterns at the level of 10% significance. 3) One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BROTH(a number of brother), were significant between two medication patterns. (p〈.10) 4) One of Therapeutic Environmental Variables, FAMHX, was significant between two medication patterns at the level of 10% significance. 5) One of Variables Related to Drug and Medication, NECESS, was significant between two medication patterns. (p〈.05) 6)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medication patterns.s.

  • PDF

조현병 환자의 아동기 외상과 정신작용약물 사용 경향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Childhood Trauma and Patterns of Psychotropic Medication U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총기;김대호;이현지;김양석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3호
    • /
    • pp.116-121
    • /
    • 2016
  • Objectives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abuse elevates the risk of developing schizophrenia in later period of life, incid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symptomatic severity and complexity. In this context, we hypothesized that the pattern of psychotropic medication used would reflect this; those with childhood trauma will received more types and higher doses of psychotropic medication. Methods From our database of 102 outpatients diagnosed with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IV) schizophrenia, we analyzed experiences of childhood trauma measured by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and types and dose of prescribed psychotropic medication.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sexual abuse and the number of psychotropic medications (p = 0.029) and between child emotional neglect and the number of psychotropic medications other than antipsychotics (p = 0.045). Conclusions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the pattern of psychotropic use may be affected by types of childhood trauma. Further studies will have to shed light on mediating factors such as symptoms or comorbid conditions that lead to prescription of certain psychotropic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