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양앵두나무 궤양병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김경희;노일섭;허재선;이승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80-84
    • /
    • 2005
  • 2003년 충북 괴산의 양앵두나무(Prunus avium L.) 재배 포장에서 궤양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궤양병 증상은 이른 봄에 병든 나무의 주지나 어린 가지 부위가 적갈색으로 마르면서 껍질이 쪼개지고 세균유출액이 흘러 나왔다. 잎에는 갈색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고 심하게 감염된 나무의 주지 또는 어린 가지에는 낙엽이 졌다. 궤양병 증상이 심한 주지를 잘라 보면 목질부의 조직들이 파괴되어 불규칙하게 적갈색으로 변색된 전형적인 궤양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환부로부터 병원세균을 분리하여 형태적 특성 및 생리${\cdot}$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세균은 양앵두나무와 매실나무의 잎에 병원성을 나타내었지만 복숭아나무, 벚나무와 참다래나무의 잎에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P.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해 양앵두나무에 발생하는 이 병은 궤양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매실의 세균성궤양성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김두영;한효심;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5-139
    • /
    • 2005
  • 한국의 남부지방에 소재하는 대부분의 매실 과수원에서 매실궤양병이 발견되었다. 감염된 나무에서는 과실에 검은 반점과 함께 잎에는 갈색 병반을 보이며, 감염된 줄기나 가지의 균열에서 붉은색의 세균 유출액이 흘러나오는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궤양병의 징후가 나타났다. 16지역에서 분리한 38개 균주에 대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LOPAT과 GATTa실험)조사하고 16S rDNA 및 ITS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매실궤앙병의 원인 세균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와 병원성 검정을 통해 한국에서 매실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은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nnorum임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종자로부터 PCR을 이용한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의 검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CR-Based Detection for Pseudomonas syrinage pv. tomato in Tomato Seeds)

  • 조정희;임규옥;이혁인;예미지;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76-380
    • /
    • 2011
  • P. syringae pv. tomato는 토마토에서 bacterial speck병을 일으키는 종자전염 세균으로, 감수성 품종에서 주로 발병하여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입힌다. 따라서 P. syringae pv. tomato는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식물 검역대상 세균으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토마토 종자로부터 PCR을 이용하여 Pst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P. syringae pv. tomato의 hrpZ 유전자에서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라이머는 P. syringae pv. tomato에서만 501 bp 크기의 특이적 DNA를 증폭하였으며, P. syringae pv. glycinea, P. syringae pv. maculicola, P. syringae pv. atropurpurea, P. syringae pv. morsprunorum와 같은 다른 토마토 세균병원균과 P. syringae pathovar 균주들에서는 증폭되지 않았다. Nested PCR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에서도 오직 P. syringae pv. tomato에서만 119 bp 크기의 특이적 DNA가 증폭되었고, 토마토 종자에서 P. syringae pv. tomato을 정확하고 민감하게 검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Pst의 검출방법의 민감도를 비교한 최초의 보고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CR방법들은 토마토 종자에서 Pst을 검출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Genetic Diversity Among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Isolates from Prunus mume in Korea and Japan by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Gene

  • Lee, Young-Sun;Koh, Hyun-Seok;Sohn, San-Ho;Koh, Young-Jin;Jung, Jae-S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295-298
    • /
    • 2012
  • Genetic diversity among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isolates from Prunus mume in Korea and Japan was investigated by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The strains included 24 field isolates recovered from P. mume in Korea along with seven Japanese strains. Two strains isolated from P. salicina in Japan, one strain from P. avium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pathotype strain were also used for comparison with their 16S rRNA gene sequences. Nearly complete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sequenced in all 35 strains, and three sequence types, designated types I, II and III, were identified. Eleven strains consisting of five Korean isolates, five Japanese strains, and one strain from the United Kingdom belonged to type I, whereas the pathotype strain and another 19 Korean isolates belonged to type III. Another four Japanese strains belonged to type II. Type I showed 98.9% sequence homology with type III. Type I and II had only two heterogeneous bases. The 16S rRNA sequence types were correlated with the races of P. syringae pv. morsprunorum. Type I and II strains belonged to race 1, whereas type III isolates were included in race 2. Sequence analyses of the 16S rRNA gene from P. syringae pv. morsprunorum were useful in identifying the races and can further be used for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of this pathogen.

Occurrence of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Kim, G. H.;I. S. Nou;Y. J. Ko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8.2-99
    • /
    • 2003
  •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Prunus cerasus L.) was observed in farmers' orchard in Goesan, Chungbuk in 2003. Typical canker symptom occurred on the branches or twigs of sweet cherry in early spring and bacterial exudates oozed out of the cracked barks of diseased trees. Watersoaked brown symptom appeared on the leaves and severe infection caused thorough defoliation on the branches or twigs of sweet cherry. When cut the severely infected branches or twigs, irregular and rusty-colored symptoms in sapwood and heartwood were clearly found, indicating that they could serve as specific symptoms of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The gram negative, aerobic bacterium isolated from the lesion produced fluorescent pigments on King's B agar medium but did not grow at 37$^{\circ}C$ The bacterium formed Levan-type colonies, and showed negative reactions in oxidase reaction, arginine dihydrolysis test, and pectolytic activity Based on the biochem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This is the first report on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