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P2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3초

Terephthalic Acid 분해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rephthalic Acid-degrading Bacteria)

  • 김재화;이창호;우철주;주길재;서승교;박희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8-123
    • /
    • 1999
  • A bacterial strain, designated T116, degrading terephthalic acid (TPA) was isolated from the soil around Taegu industrial area into which dye works wastewater flow.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egradation of TPA by the strain T116 was confirmed with UV scanning and HPLC. About 90% and 98% of TPA were degraded after 36 and 60 hours, respectively, during the culture in a liquid medium containing 0.1% TPA. Addition of KH2PO4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0ppm enhanced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removal rate about 50% from dye works wastewater by Pseudomonas sp. T116.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COD reduction from wastewater were 7.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bacterium was applied to the continuous culture for the treatment of dye works wastewater whose TPA concentration and CODMn were 2,200ppm and 1,620ppm,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90-95% of COD was eliminated after 4 days culture in the continuous culture with a retention time of 37 or 47 hours.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staphylococcal Substance from Pseudomonas sp. KUH-001

  • Hwang, Se-Young;Lee, So-Hee;Song, Kook-Jong;Kim, Yong-Pil;Kawahara, Kazuyos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11-118
    • /
    • 1998
  • A bacterium producing unique antistaphylococcal substance (ASS)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The isolated strain KUH-001 was identified to belong to Pseudomonas species from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its fluorescence and cellular 3-hydroxy fatty acid composition, etc. The ASS component was purified by procedures employ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with silica gel, preparative TLC and HPLC. This compound could also be purified mainly by repeating of trituration and precipitation with chilled ether. Purified ASS with a m.p. value of $140~142^{\circ}C$ showed marked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at $121^{\circ}C$ for 10 min) and extreme pHs (in 1N HC1 and 1N NaOH for 1 day) without significant loss of antibiotic activity. From spectral data of UV, IR, NMR, and FAB-MS, the compound was elucidated as 2-heptyl-4-hydroxyquinoline N-oxide (HHQO).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HHQO exhibited a narrow antimicrobial spectrum. active particularl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ncluding the methicillin resistant strain. Moreover, it did not induce resistance, and besides, interacted synergistically with certain antibiotics such as vancomycin or erythromycin.

  • PDF

재조합균주 E. coli CK1092가 생산하는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의 정제 및 특성

  • 박효남;김영수;김영창;김치경;임재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2-289
    • /
    • 1996
  • 2,3-DHBP dioxygenase was purified from E. coli CK1092 carrying the pcbC gene, which was cloned from 4-chlorobiphenyl-degrading Pseudomonas sp. P20. Purification of this enzyme was done by acetone precipitation, DEAE- Sephadex A-25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weight of subunit was 34 kDa determined by SDS-PAGE, and that of native enzyme was about 270 kDa. It suggests that this enzyme consist of eight identical subunits. This enzyme was specifically active against only 2,3-DHBP as a substrate with 18 $\mu$M of Km value, but not catechol, 3-methylcatechol, 4-methylcatechol and 4-chlorocatechol.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of 2,3-DHBP dioxygenase were pH 8.0 and 40-60$\circ$C. The enzyme was inhibited by Cu$^{2+}$, Fe$^{2+}$ and Fe$^{3+}$ ions, and was inactivated by H$_{2}$0$_{2}$2 and EDTA. The lower concentrations of some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and ethanol don't stabilize the activity of 2,3-DHBP dioxygenase. The enzyme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adding the reagents such as N-bromosuccinimide, iodine and p- diazobenzene sulfonic acid.

  • PDF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Toxic Effects of Heavy Metals on the Growth and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of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s (PAOs)

  • Sin, Da Hee;Kim, Deok Hyeon;Kim, Jong In;Lee, Moon-Soon;Chung, Keun-Yo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3-680
    • /
    • 2013
  •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s (PAOs) are influenc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vy met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lected heavy metals on the growth and phosphorus removal capacity of Bacillus sp. 3434 BRRJ, Pseudomonas aerunogisa, and Bacillus Subtilis, well known as PAOs. The heavy metal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Cu, Cd, As, and Zn. The $IC_{50}$ (median inhibition concentration) values of Bacillus sp. 3434 BRRJ for the Cu, Cd, As, and Zn were 8.07 mg $L^{-1}$, 0.18 mg $L^{-1}$, 73.62 mg $L^{-1}$ and 0.25 mg $L^{-1}$, respectively. The $IC_{50}$ values of Pseudomonas aerunogisa for the Cu, Cd, As, and Zn were 4.45 mg $L^{-1}$, 0.16 mg $L^{-1}$, 18.51 mg $L^{-1}$ and 2.34 mg $L^{-1}$, respectively. The $IC_{50}$ values of Bacillus Subtilis for the Cu, Cd, As, and Zn were 3.81 mg $L^{-1}$, 0.18 mg $L^{-1}$, 11.31 mg $L^{-1}$ and 0.47 mg $L^{-1}$, respectively.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ies of the three bacteria, Bacillus sp. 3434 BRRJ, Pseudomonas aerunogisa, and Bacillus subtilis were 93.12%, 71.81%, and 65.31%,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ree PAOs obtained from the study, it appears that Bacillus sp. 3434BRRJ may have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their growth rate and P removal efficiencies.

식물병원성 진균을 억제하는 근권세균의 항진균능과 식물생장촉진능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Rhizobacteria Inhibiting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i)

  • 정택경;김지현;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6-21
    • /
    • 2012
  • 여러 식물의 근권에서 세균 균주들을 분리하여 이들의 항진균성 물질 생성능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중 Fusarium oxysproum을 포함한 5가지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장저해가 우수한 7개 균주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Paenibacillus peoriae RhAn32, Pseudomonas otitidis TK1과 Bacillus cereus TK2가 가장 넓은 생장 저해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항진균성 물질 중 siderophore 생성능은 P. otitidis TK1이 3.21 mM/ml로 가장 높았고 HCN은 Pseudomonas koreensis Rh2와 Rh7 균주만이 생성하였으며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 EnA9와 P. peoriae RhAn32는 각각 1558.9와 $1436.7{\mu}M$ glucose/min/mg protein의 높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P. otitidis TK1과 P. peoriae RhAn32의 항진균능을 진균과의 공동배양을 통해 정량분석한 결과 세 종류의 Fusarium oxysproum의 생장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다. P. otitidis TK1은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auxin의 생성능도 가장 높았는데 이 균주를 4주 자란 토마토 유묘에 F. oxysporum f. sp. lycopersici와 동시에 접종하여 8주간 재배하였을 때 줄기와 뿌리 길이 및 습윤 중량이 비접종 대조군에 비해 각각 45.7, 64.9와 118%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하면서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제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염류수준별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식물생육보진미생물(植物生育保進微生物) 접종효과 (Effect of Plant-Growth-Promoting-Bacterial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with Different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Level)

  • 이영한;양민석;윤한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6-402
    • /
    • 1996
  • 식물생육촉진 유용미생물을 지리산 일대의 침엽수와 활엽수 밑의 부엽토(腐葉土)에서 선발하고, 고추에 접종하였을때 고추 묘소질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배양결과 Pseudomonas P배지는 $25^{\circ}C$에 Micrococcus sp., Enterobacter agglomerans,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등 4균주, Sabouraud dextrose배지에서는 $35^{\circ}C$에서 Bacillus subtilis, Cellulomonas sp., Bacillus megaterium, Staphylococcus xylosus등 4균주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 분지수등은 증가하였고,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작아진 반면, 분지수는 혼합균주 처리 58일(日) 이후 EC 2.9ds/m에 비해 EC 8.6 dS/m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수량은 혼합균주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13% 증수되었고,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시험후 토양의 EC, $P_2O_5$, K, Ca, Mg, $NO_3-N$은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OM 및 $NH_4{^+}-N$은 낮은 반면, EC, $P_2O_5$, K, Ca, Mg, $NO_3-N$은 높은 경향이었다. 4. 시험후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수분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EC 수준이 높아 질수록 가밀도 수분율, 공극율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과실과 엽에서 T-N, $P_2O_5$, $K_2O$, CaO, MgO함량이 높았으며,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P_2O_5$, $K_2O$, MgO 함량은 증가한 반면, CaO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폴리비닐 말콜 분해균 Pseudomonas cepaia G5Y의 Polyvinyl alcohol oxidase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yvinyl Alcohol Oxidase from Pseucomonas cepacia G5Y)

  • 장대균;조윤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3-208
    • /
    • 1995
  • The Polyvinyl alcohol (PVA) oxidase is a key enzyme involved in degradation of PVA with PVA hydrolase. The PVA oxidase has been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culture broth of PVA grown Pseudomonas cepacia G5Y strain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enzyme was estimated about 60, 000 daltons by SDS-polyacrylamid gel electrophoresis. The enzyme is most active at 45$\circ$C and at pH 8.5, and is stable below 55$\circ$C and between pH 6 and 9. The enzyme activity was strongly inhibited by Ag$^{2+}$ and Hg$^{2+}$.

  • PDF

원예작물(園藝作物) 모잘록병(Rhizoctonia solani $K\"{u}hn$)의 발생(發生)에 관여하는 근권길항균(根圈拮抗菌)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및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검토(檢討)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control Potentials of Rhizosphere Antagonists to Rhizoctonia solani)

  • 김희규;노명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9-97
    • /
    • 1987
  •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재배(栽培)되는 고추, 오이, 배추, 딸기 등(等)의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미생물(拮抗微生物)을 이용(利用)하여 Rhizoctonia병(病)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균(拮抗菌)은 Trichoderma viride, T. harzianum, T. hamatum, T. polysporum, Gliocladium sp., Pseudomonas fluorescens, P. stutzeri, P. cepacia, Enterobacter sp., Serratia sp., Erwinia herbicola 등(等)으로 동정(同定)되었고, in vitro에서 우수(優秀)한 길항균(措抗菌)은 T. viride, T. harzianum, Gliocladium sp., P. stutzeri, P. cepacia, Serratia sp. 등(等)이었다. In vivo에서의 길항효과(拮抗效果)는 기주(寄主)와 균주(菌株)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가 있었고, 살균토(殺菌土)에서 비살균토(非殺菌土)보다 길항효과(拮抗效果)가 더 좋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재선발(再選拔)된 6가지 길항균(拮抗菌)을 토양내(土壤內)에 접종(接種)($10^6cfu/g\;soil$) 했을 때, 길항효과(拮抗效果)가 가장 우수(優秀)한 것은 T. viride 이었다. 병원성(病原性)이 가장 강(强)한 오이 뿌리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AG 1)를 오이, 배추, 무우등(等)에 처리(處理)하여 길항균(拮抗菌)을 접종(接種)하였을 때는,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여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약(弱)한 경향(傾向)(40%)이었으나, 고추(AG 1), 고추(AG 2-1), 수도(AG 1)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각각(各各) 70% 정도의 발병(發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 PDF

Acinetobacter sp.1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의 특성 (Carbon Monoxide Dehydrogenase in Cell Extracts of an Acinetobacter Isolate)

  • 조진원;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40
    • /
    • 1986
  • 일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자가영양적으로 성장한 Acinetobacter sp. 1 의 세포추출액은 혐 기성 실험조건하에서 thionin, methylene blue, 2,6-dichlorophenol-indophenol둥올 일산화탄소의 산회를 위한 전자수용체로 사용할 수 있었으나 NAD, NADP, FAD, 또는 FMN등은 천자수용체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이 세균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 산화효소는 유도효소로 밝혀졌고, pH 7.5와 $6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효소의 활성화에너지는 6.1kcal/mol (25.5 kJ/mol)이며 일산화탄소에 대한 Km값은 $154{\mu}M$로 밝혀졌다. 그리고 잘 알려진 몇가지 금속 chelat tIng agent와 2가의 양이온들은 이 효소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Cu^{2+}$ 이온만은 이 효소의 활성을 완전히 억제시켰다. 또한 이 효소는 포도당과 숙신산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었으며, hydrogenase의 활성도 나타내었다. 그리고 Acinetobacter sp. 1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는 Pseudomonas carboxydohydrogena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와 연역학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