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seudomonas sp. P2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aracterization of the pcbD Gene Encoding 2-Hydroxy-6-Ox0-6-Phenylgexa-2,4-Dienoate Hydrolase from Pseudomonas sp. P20

  • Lim, Jong-Chul;Lee, Jeong-Rai;Lim, Jai-Yun;Min, Kyung-Rak;Kim, Chi-Kyung;Ki, Yo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258-263
    • /
    • 2000
  • 2-Hydroxy-6-oxo-6phenylhexa-2,4-dienoate (HOPDA) hydrolase catalyzes the hydrolytic cleavage of HOPDA to bemzpate and 2-hydroxypenta-2, 4-dienoate (HPD) during microbial catabolism of biphenyl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A HOPDA hydrolase gene (pcbD) was isolated from the genomic library of Pseudomonas sp. P20 and designated as pCNUO1201; a 7.5-kb XbaI DNA fragment from Pseudomonas sp. P20 was inserted into the pBluescript SK(+) XbaI site. E. coli HB101 harboring pCNU1201 exhibited HOPDA hydrolase activity. The open reading frame (ORF) corresponding to the pcbD gene consisted of 855 base pairs with an ATG initiation codon and a TGA termination codon. The ORF was preceded by a rebosome-binding sequence of 5'-TGGAGC-3' and its G+C content was 55 mol%. The pcbD gene of Pseudomonas sp. P20 was located immedeately downstream of the pcbC gene encoding 2,3- dihydroxybiphenyl 1,2-dioxygenase, and approximately 4-kb upstream of the pcbE gene encoding HPD hydratase. The pcbK gene was able to encode a polypeptide with a molecular weight of 31,732 containing 284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HOPDA hydrolase of Pseudomonas sp. P20 exhibited high identity (62%) with those of the HOPDA hydrolases of P. putida KF715, P. pseudoalcaligenes KF707, and Burkholderia cepacia LB400, and also significant homology with those of other hydrolytic enzymes including esterase, transferase, and peptidase.

  • PDF

다양한 중금속이 인 축적 미생물 (Pseudomonas sp.)의 생장과 인 제거에 대한 효과 (Effect of the Various Heavy Metals on the Growth and Phosphorus (P) Removal Capacity of the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 김희정;유리비;한석순;우선희;이문순;백기태;정근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9-196
    • /
    • 2010
  • The removal of phosphorus (P) in the wastewater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eutrophication in the river and stream.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various heavy metals on the growth and P removal capacity of Pseudomonas sp., which was well known as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PAO's) in the EBPR(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process. The five heavy metals used in the study were Cu, As, Zn, Ni, and Cd. The growth rate of Pseudomonas sp. was the greatest at $25^{\circ}C$, but the removal efficiency of P was the highest at $30^{\circ}C$. The $IC_{50}$ (median Inhibition Concentration) values of Pseudomonas sp. for the Cu, As, Zn, Ni, and Cd were 2.35, 11.04, 1.80, 4.92, and 0.24 mg/L, respectively.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sensitivity of the heavy metals to Pseudomonas sp. was in the following order: Cd> Zn> Cu> Ni> AS. Also, the P removal efficiencies by Pseudomonas sp. were corresponding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increased.

Pseudomonas sp. DJ77 균주에서 Extradiol Dioxygenase를 암호화하는 phnQ 유전자의 클로닝과 대장균에서의 발현 (Cloning of phnQ Gene Encoding Extradiol Dioxygenase from Pseudomonas sp. DJ77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 신희정;박용춘;민경희;김치경;임재윤;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26
    • /
    • 1997
  • Pseudomonas sp. DJ77의 게놈 library로부터 phenanthrene 분해에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하는 약 5-kb의 XhoI 절편을 pBLUESCRIPT SK(+)로 클로닝하였으며, 이 재조합 plasmid를 pUPX5라 명명하였다. 이 재조합 균주에 catechol과 2,3-dihydroxybiphenyl 용액을 분무하면 노란색의 meta-cleavage 화합물이 생성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techol에서보다 2,3-dihydroxybiphenyl에 더 큰 활성을 나타냈다. 이 부분에 존재하는 2,3-dihydroxybiphenyl 1,2-dioxygenase 유전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유전자를 phnQ라 명명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P2 Degrading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 Kim, Jung Ho;Sang Ki Choi;Moon Ki Park;Young Ho Kim;Seung Kyo Suh;Cheol Joo Woo;Heui Dong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67-172
    • /
    • 1996
  • The bacterial strain P2 degrading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was isolated from the soil around the Shinchun stream in Taegu after enrichment culture in a media containing biphenyl as the sole carbon source.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Pseudomonas sp.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al conditions of initial pH of media and temperature for growth were 7.0 and $30^{\circ}C$, respectively. Degradation of biphenyl and PCBs was confirmed by GC during the culture of Pseudomonas sp. P2 in a media containing them at a concentration of 500 mg/I. It was observed that Pseudomonas sp. P2 could degrade 97.0$%$ of biphenyl and 60.0$%$ of PCBs after 160 h culture.

  • PDF

여수주변해역에서 분리한 유류분해세균 Pseudomonas sp. BCK-1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Oil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BCK-1 Isola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osu, Korea)

  • 구헌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5-150
    • /
    • 2001
  • 한국 남해안 유류 오염지역인 전남 여수시 소리도 지역 해수로부터 유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으며, Pseudomonas sp. BCK-1으로 명명하였다. 균성장에 대한 최적배양온도, pH, NaCl 농도는 각각 $30^{\circ}C$, 7.0, $3\%$(w/v)였으며, $2\%$ (w/v) arabian light crude oil과 bunker C oil을 기질로 72시간 및 168시간 배양한 결과 arabian light crude oil는 $92\%$ (w/w), bunker, C oil은 $72\%$ (w/w)가 각각 생분해되었다.

  • PDF

양파 부패병변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Rotted Onions (Allium cepa))

  • 이찬중;임시규;김병천;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8-254
    • /
    • 2005
  • 경남 창녕, 의령, 함양지역의 양파 주산지에서 수집한 부패 양파로부터 분리한 세균 139 균주의 약 $18\%$가 CMCase 활성을, $53\%$가 PGase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분리균중 PGase를 생성하는 균주를 중심으로 선별한 45 균주 중에서 31 균주가 양파 부패 활성을 나타냈고, FAMEs분석에 의해 Pseudomonas속 18주, Bacillus속 11주, Yersinia속 7주 및 기타 9주로 분류되었다. 이 dendrogram상에서 Pseudomonas는 부패 활성 유무에 따라 clustering이 가능하였다. Bacillus속은 CMCase와 PGase활성이 높았으나 부패 활성은 약했으며, Pseudomonas속은 Bacillus속에 비해PGase의 활성이 훨씬 약했으나 양파 전체 조직을 연화시켜 물렁하게 만드는 강력한 부패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2}$ cfu 정도만 접종하여도 부패증상을 일으켰다. 병원성이 강한 Pseudomonas는 P. gladioli로 동정되었는데 양파부패균으로서 국내에서 분리 동정은 첫 보고로 생각된다. P. gladioli는 B. subtilis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균의 생육과 PGase활성이 양호하였다. 또 B. subtilis PGase의 활성 최적 pH가 9.0인데 비해 P. gladioli는 양파의 산도인 pH $5.0\∼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Pseudomonas속 세균이 저온 저장 중의 양파의 주요 부패 원인균의 하나라 추정된다.

Pseudomonas sp. BCNU 154 유래의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 (Organic Solvent-tolerant Lipase from Pseudomonas sp. BCNU 154)

  • 최혜정;황민정;서정윤;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46-1251
    • /
    • 2013
  • 산업공단지역의 폐수에서 분리한 유기용매 내성 Pseudomonas sp. BCNU 154 리파아제의 최적조건은 $37^{\circ}C$, pH8로 조사되었다. BCNU 154의 crude 리파아제는 toluene에서 2시간 반응시 효소활성 약 6.01 U/ml (117.53%)로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a^{2+}$, $Mg^{2+}$, $NH_4{^+}$, $Na^+$ 이온 및 triton X-100은 효소를 활성화시킨 반면에 $Ba^{2+}$, $Hg^{2+}$$Zn^{2+}$ 이온은 효소활성을 억제하였다. Pseudomonas sp. BCNU 154 리파아제는 상용 고정화 효소인 Novozym 435와 비교해서도 안정한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는 별도의 고정화 처리없이도 화학산업공정에서 가능성 있는 whole cell 생물촉매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Pseudomonas sp. BCNU 106이 생산하는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olvent Stable Lipase from Pseudomonas sp. BCNU 106)

  • 최혜정;황민정;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3-607
    • /
    • 2016
  • 유기용매 내성 세균 Pseudomonas sp. BCNU 106으로부터 생산된 리파아제 조효소액은 pH 4-10의 넓은 범위의 pH와 37℃에서 매우 안정적이었다. BCNU 106의 리파아제 안정성은 25% xylene, hexane, octane, toluene, chloroform 및 dodecane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업적인 고정화 효소와 비교해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Cu2+, Hg2+, Zn2+ 및 Mn2+ 존재 하에서 110% 이상의 상대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Fe2+에서는 효소활성이 억제되었다. 게다가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 및 SDS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기용매 내성 Pseudomonas sp. BCNU 106의 리파아제는 고정화 효소에 못지않은 효소 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함이 밝혀져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잠재적인 생물촉매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eudomonas sp. HJ에 의한 포도당으로부터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의 생합성에 대한 보조기질의 영향 (Effect of Cosubstrate on til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 from Glucose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고명선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86-59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탄소원인 포도당으로부터 P PHA를 생산하는 콩시균 Pseudomonas sp. HJ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하기 위하여 수치분류를 실시하 였으며, 또한 보조기질을 첨가하였을때의 PHB/HV 합성 양상을 검토하였다. Pseudomonas sp. HJ는 각 대조균주들중에서 Pseudomonas picketti와 가장 유 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8.8%). 그러나 수치 분류에 서 통일 균종에 포함될 수 있는 유샤도는 85 % 정도인 것으로 얄려져 있으므로, 본 공시균 P Pseudomonas sp. HJ는 Pseudomonas 속의 다른 종 (species)이거나 새로운 종(species)일 가능성이 높 았다. 보조기 질로 hexadecane과 propionic acid를 각각 0.4%씩 첨가했을 경우,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H HV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60.8 mol%, 44.9 mol%까지 축적되었다. PHB/HV내의 HV 함량은 p propionic acid냐 hexadecane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었다. 보조기질로 propl- onic acid 0.2 %를 대수기 중기 인 배양 18시간에 첨 가하였을때 균체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HV monomer의 비율은 대수기 말기인 배양 24시간대에 첨가하였을때 49.6 mol%로 가장 높았다.

  • PDF

사과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에 대한 Pseudomonas sp. DGUM 5051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seudomonas sp. DGUM 5051 Against Apple Bitter-rot Causing Fungus, Glomerella cingulata)

  • 김정미;이민웅;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58-465
    • /
    • 1998
  • 사과탄저병균, Glomerella cingulata에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세균을 분리한 후 형태 및 생리화학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동정하여 Pseudomonas sp. DGUM 5051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생장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0과 $30^{\circ}C$이었고, 최적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H와 온도는 각각 7.0와 $24^{\circ}C$이었다. 사용한 복합배지 중 생장 및 항균활성에 있어서는 Brucella, Brain heart infusion과 LB배지가 우수하였다. Mineral salts 배지에 유일 탄소원, 질소원 및 인산원으로 각각 Sucrose, $KNO_3$$K_2HPO_4$를 첨가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DGUM 5061의 항균활성은 배양 12시간 경과 후에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