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검색결과 733건 처리시간 0.024초

Pseudomonas sp. strain DJ77 균주에서 extradiol dioxygenase 를 암호화하고 있는 phnE 유전자의 염기배열

  • 김영창;신명수;윤길상;박영순;김욱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4
    • /
    • 1992
  • Pseudomonas sp. DJ77로부터 extradiol dioxygenase 유전자(phnE)를 클로닝하고 염기배열을 결정하였다. 921 bp의 open reading frame (ORF) 이 존재하였고 개시코돈 앞에서 Shine-Dalgarno sequence를 발견하였다. phnE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PhnE 단백질은 분자량이 34,449 Da 인데 SDS-poly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과 일치하였다. PhnE는 NahH, XylE, DmpB 등과 아미노산 배열의 상동성의 약 50% 였다. DJ77에는 bphC와 같은 3형의 extradiol dioxygenase 유전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DJ77 과 JM101(pPE17)은 catechol, 3-methylcatechol, 4-methylcatechol, 2, 3-dihydroxybiphenyl 등의 기질을 meta-cleavage 하여 노란색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Exo-inulinase 생산 균주의 분리ㆍ동정 및 효소 생산의 최적화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xo-Inulinase Producing Bacterium and Optimization of the Enzyme Production)

  • 김병우;이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28
    • /
    • 1999
  • A bacterium producing exo-inulinase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Pseudomonas sp. and named as Pseudomonas sp. NO5.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exo-inulinase from Pseudomonas sp. NO5 were obtained by cultivating with the medium 1$\%$ sucrose, 0.5$\%$ yeast extract, 0.5$\%$ $(NH_4)_2$$HPO_4$, 0.05$\%$ $MgSO_4$$7H_2$0, 0.001$\%$ and $FeSO_4$$7H_2$0 at $37^{\circ}C$ in initial pH 7.0 for 20 hours. The enzyme was induced maximally in the presence of sucrose or inulin at early stationary phase about 20 hour after cultivation.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sp. CMC-50 Producing Carboxymethyl Cellulase and Characterization of Its Crude Enzyme

  • Kim, Hyun-Joong;Kim, Hae-Ye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74-78
    • /
    • 2000
  • A strain that produces a high level of carboxymethyl cellulase was isolated from rotten leaves. The isolated strain was revealed to be gram-negative, oxidase-positive, and catalase-negative. From the electron microscopic features, it was identified as a rod-shaped bacterium with peritrichous flagella and did not form spores.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e Pseudomonas species. However, carbon utilization test showed differe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is new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CMC-50. CMCase produced by this strain showed a strong activity in neutral and weak acidic conditions and maximum activity at $50^{\circ}C$.

  • PDF

이탄 토양으로부터 식물생육촉진세균 Pseudomonas sp. SH-26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seudomonas sp. SH-26 from Peat Soil)

  • 신호용;김다솜;이창호;이동석;한송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9-207
    • /
    • 2024
  • 이탄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의 유기물 분해능, 항균 활성 및 식물생육촉진능을 확인하고 다기능성 유용 미생물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48 균주를 대상으로 β-glucosidase, cellulase, amylase, protease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SH-23, SH-26, SH-29 그리고 SH-33 균주가 우수 균주로 선발되었다. 선발된 유기물 분해 우수 세균 4 균주는 식물병원성곰팡이(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하고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SH-26 균주를 최종 우수균주로 선발 하였다. 선발된 SH-26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을 결정한 결과, Pseudomonas knackmussii HG322950 B13T, Pseudomonas citronellolis BCZY01000096 NBRC 103043T, 그리고 Pseudomonas delhiensis jgi.1118306 RLD-1T와 100%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SH-26 균주는 siderophore 생성능, 질소고정능과 Indole-3-acetic acid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합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염소화 페놀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Phenols by a Mixed Culture)

  • 오희목;이완석;정상욱;박찬선;윤병대;김장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1
    • /
    • 2001
  • 복합미생물제재를 사용하여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소화 페놀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에서 8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복합미생물제재의 주된 미생물인 Pseudomonas sp. BM은 Gram-negative, catalase- 그리고 oxidase-positive, rod 형이며 $41^{\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않았다. Pseudomonas sp. BM은 단일 탄소원으로서의 PCP(pentachlorophenol) 500mg/l의 농도로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배양 3일 후에 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복합미생물제재에 여러 가지 종류의 유기탄소 및 질소원을 첨가한 후 PCP의 분해효율을 관찰하였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Pseudomonas sp. BM은 pH 5에서 8까지 넓은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으나 pH 7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류가 다른 염소화 페놀을 함유한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분해시험은 7일간 배양후 최저 분해효율 73%(2,4-DCP)에서 최대 96%(2-CP)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속배양 실험에서, 활성 슬러지와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한 것의 PCP 분해효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활성 슬러지만을 첨가한 대조구에 비해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하였을 때는 약 2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염소화 페놀이 함유된 폐수에 복합미생물제재의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 PDF

Pseudomonas sp. EML8 균주를 이용한 폐식용류로부터 medium-chain-length poly(3-hydroxyalkanoates) 생합성 (Production of Medium-chain-length Poly (3-hydroxyalkanoates) by Pseudomonas sp. EML8 from Waste Frying Oil)

  • 김태경;김종식;정정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0-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poly (3-hydroxyalkanoate) (PHA)의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 Pseudomonas sp. EML8을 이용하여 폐 튀김유(waste frying oil, WFO)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여 균주의 최적 생장 및 PHA의 생합성 조건을 확립하였다. WFO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Pseudomonas sp. EML8에 의해 생합성된 PHA를 gas chromatography (GC)와 GC mass spectrometry로 분석한 결과, 7.28 mol% 3-hydrxoyhexanoate, 39.04 mol% 3-hydroxyoctanoate, 37.11 mol% 3-hydroxydecanoate 및 16.58 mol% 3-hydoryxdodecanoate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medium-chain-length PHA (mcl-PHAWFO)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플라스크로 배양한 결과, Pseudomonas sp. EML8의 최대 건조세포중량(dry cell weight, DCW) 및 mcl-PHAWFO의 최대 생산수율(g/l)은 WFO 20 g/l, (NH4)2SO4 0.5 g/l, pH 7 및 25℃의 조건에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3 l 발효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배양한 후에 가장 높은 DCW, mcl-PHAWFO의 함량 및 mcl-PHAWFO의 생산수율(3.0 g/l, 62 wt% 및 1.9 g/l)을 얻었다. 대조군인 신선한 튀김유(fresh frying oil, FFO) 20 g/l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DCW, mcl-PHAFFO의 함량 및 mcl-PHAFFO의 생산수율(2.7 g/l, 62 wt%, 1.6 g/l)을 확인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mcl-PHAWFO 및 mcl-PHAFFO의 평균 분자량이 165-175 kDa인 것을 확인했으며, 열중량을 분석한 결과, mcl-PHAWFO 및 mcl-PHAFFO는 각각 260 및 274.7℃의 분해온도값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ML8과 WFO는 mcl-PHA의 생산을 위한 새로운 균주와 탄소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폐광지역에서 분리한 Benzoate 분해세균 Pseudomonas sp. NEQ-1에서 정제된 Catechol 1,2-Dioxygen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atechol l,2-Dioxygenase Purified from the Benzoate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NFQ-l Isolated from Dead Coal Pit Areas)

  • 주정수;윤경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5-281
    • /
    • 2004
  • Quinoline (2,3-benzopyridine)을 유일한 탄소원과 질소원, 그리고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Pseudomonas sp. NEQ-1을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균주로부터 catechol 1,2-dioxygenase (C1,2O)를 유도하기 위하여 탄소원으로 benzoate를사 용하였다. C1,2O의 효소학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benzoate에서 배양한 Pseudomonas sp. NFQ-1을 초음파 분쇄기로 파쇄하고, ammonium sulfate침전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및 Source 15Q의 과정을 실시하여 C1,2O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정제된 C1,2O의 특이활성(specific activity)은 14.21 unit/mg으로 나타났으며, SDS-PAGE에 의해 조사된 C1,2O의 분자량은 약 33 kDa이었다. Cl,2O는 catechol과 4-methylcatechol 및 3-methylcatechol에 대해서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1,2O의 Km은 38.54 ${\mu}M$로 측정되었고, Vmax는 $25.10\;{\mu}mol{\cdot}min^{-1}{\cdot}mg^{-1}$으로 나타났다. C1,2O는 $30^{\circ}C$와 pH 8.5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Ag^+,\;Hg^+,\;Ca^{2+}$,그리고 $Cu^{2+}$는 C1,2O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분석되어진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1TVKISQSASIQKFFEEA^{17}$이었으며, Pseudomonas aeruginosa PA01과 $82\%$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고 Pseudomonas arvilla C-1와는 $71\%,$ Pseudomonas putida KT2440과는 $59\%,$ 그리고 Pseudomonas sp. CA10과는 $53\%$의 상동성이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G19에 의한 배추의 염 스트레스 경감 및 생장 촉진 (Pseudomonas sp. G19 Alleviates Salt Stress and Promotes Growth of Chinese Cabbage)

  • 이건웅;이귀재;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8-371
    • /
    • 2014
  • 염 스트레스를 비롯한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장저해와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계화도 간척지 토양에서 식물생장 촉진 세균을 분리하여 Pseudomonas sp. G19로 명명하였다. G19 균주는 36시간 배양 후 $7.5{\mu}g/ml$의 indole acetic acid를 생산하고 불용성인산을 25% 가용화시켰으며, 식물의 에틸렌 감소와 관련된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를 발현하였다. 또한 150 mM NaCl에 침지된 염 조건의 토양에서 재배된 유묘기 배추를 이용한 실증실험에서 G19 균주는 배추의 생체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염 스트레스의 경감 및 생장 촉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 를 분해하는 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Degrading Bacteria)

  • 박영두;음진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1
    • /
    • 2000
  • 화합물을 분해하는 우수균주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대전 근교 지역의 논과 밭에서 채취한 토양 표품으로부터 100균주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그 중 2,4,5-T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는 고체 최소 배지에서 잘 자라는 균주 1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를 등정한 결과 Pseudomonas속이 11균주 Acinetobacter속이 4균주, Alcaligenes속이 1균주이고 3균주는 미동정되었다. Pseudomonas속으로 밝혀진 MU19와 MU92는 네가지 염소계 화합물들(2,4-D, 2,4,5-T, MCPA 그리고 3CB)을 모두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Acinetobacter로 동정된 MU38균주가 접종 48시간 후에 가장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었고, MUl9, MU57, MU73과 MU92는 그 다음으로 높은 분해도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선별된 19균주 중 Acinetobacter sp. MU38 그리고 Pseudomonas sp. MU19과 MU92는 염소계 방향쪽 화합물에 대한 넓은 분해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2,4,5-T에 대한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한국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된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및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의 가용화(可溶化)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 by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and Aspergillus niger Isolated from Korean Soils)

  • 서장선;이상규;김광식;성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8-286
    • /
    • 1995
  •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되어 있는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을 이용(利用)하고자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을 가지고 있는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 및 Aspergillus niger를 우리 나라 주요(主要)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하여 이들 균(菌)의 용해능(溶解能)을 측정(測定)하였다. 인산염(燐酸鹽) 용해량(溶解量)은 배지내(培地內)의 pH 저하(低下)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었다.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에 비(比)해 Aspergillus niger의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이 높았다.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인산염(燐酸鹽) 종류별(種類別) 최대(最大) 가용화량(可溶化量)은 질소원(窒素源)이 $KNO_3$일 때는 aluminium phosphate 776ppm, hydroxyapatite 665ppm, tai-calcium phosphate 593ppm이었으며 인광석(燐鑛石)은 질소원(窒素源)이 $(NH_4)_2SO_4$일 때 411pp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