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bagrus fulvidraco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I. 골격형질의 다변량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the Bagrid Catfish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III. Multivariate Analysis of Osteological Characters)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7
    • /
    • 1989
  • 우리 나라 서남해안에 유입되는 하천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자개과 어류 110 개체의 골격표본을 중심으로 12개 골격형질을 추출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는 종전의 4속에서 2속으로 즉 Pseudobagrus속과 Leiocassi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Pseudobagrus속에는 P. fulvidraco, Pseudobagrus sp., P. brevicorpus이고 Leiocassis속에는 L. nitidus와 L. ussuriensis가 해당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P. brevicorpus는 Pseudobagrus sp.와 가까운 관계로 알고 있었으나 그 보다는 오히려 P. fulvidraco와 더욱 가까운계통관계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 이충렬;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7
    • /
    • 1990
  • 우리나라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는 하천 및 각 수계에 서식하는 동자개과 어류를 재검토한 결과 모두 2속 6종 즉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sp. nov., P. brevicorpus, Leiocassis nitidus, L. ussuriensis, L. longirostris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P. koreanus sp. nov.와 P. brevicorpus는 한국특산 어종이다. 지금까지 Pseudobagrus sp. 로 기재해온 눈동자개는 독립종으로 하여 Pseudobagrus koreanus Uchida로 명명하였다.

  • PDF

한국산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의 정세포변형과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Siluriformes: Bagridae)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iogenesis and Spermatozoa of Pseudobagrus fulvidraco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 김구환;권덕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1-86
    • /
    • 2009
  • 한국산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정세포변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구조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세포변형은 측면에서 발생되는 편모, 핵의 회전, 염색물질로 채워진 핵의 함입과 핵와의 형성이 특징적이었다. 성숙한 정자의 구조는 첨체가 없는 둥근두부와 짧은중편 그리고 긴 편모로 구성되어 있었다. 짧은 중편에는 다수의 미토콘드리아가 있으며 cytoplasmic canal에 의하여 편모와 분리되어 있었다.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이며 axonemal fins를 가지고 있었다. Axonemal fins는 동자개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질로 여겨지며 그 외 다른 특징을 경골어류에서 비교하였다.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에서의 tamoxifen 첨가 먹이 공급 효과. 1. 성장

  • 오흥식;구재근;박인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7-188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 양식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를 대상으로 양식 산업성 증대를 목적으로, tamoxifen에 의한 성장에 연관된 항목 즉, 체중, 체장, 비만도, 일일성장률 및 사료효율을 조사하여 동자개에서의 tamoxifen에 의한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중략)

  • PDF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암컷과 동자개 P. fulvidraco $\times$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잡종 수컷간 역교배체의 초기 생존을 및 염색체 핵형 (Early Survival and Karyotype of Backcross Bullhead Hybrid between Pseudobagrus fulvidraco Female and P. fulvidraco $\times$ Leiocassis ussuriensis Hybrid Male)

  • 박상용;강언종;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4-78
    • /
    • 2009
  • 동자개(PF) 암컷과 대농갱이(LU) 수컷에 의해 유도된 잡종(FU)을 대상으로 동자개 및 대농갱이 암컷과 역교배체(PFU, LFU)를 유도하여 수정률, 부화율, 초기생존을, 염색체 수 및 핵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도된 PFU ($PF{\times}FU$)의 수정률은 86.8%, 부화율은 70.7% 및 생존율은 76.4%로 양친으로 사용된 PF 및 LU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FU를 사용한 LFU ($PF{\times}FU$)는 모두 사망하였다. PF (2n=52)와 FU(2n=52)간의 PFU의 염색체 수는 2n = 52로 양친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핵형분석 결과 22 metacentrics + 20 submetacentric + 10 acrocentric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의 생식소 발달에 수온과 광주기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on Gondal Development in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임상구;한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854-861
    • /
    • 2012
  • To investigate the role of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dos as environmental cues regulating reproductive rhythm in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rear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veral rearing regimes conbined with changes in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during growing and spawning periods. GSI of $23^{\circ}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8^{\circ}C$ in female, but 9 light of 18 and $23^{\circ}C$ were no difference in male. In case of estradiol, $18^{\circ}C$ and 15 L was higher than other experintal precinct after 20 days. But, end of the experiment, all of experimental precinct were no difference. Testosteron of female was no difference in $18^{\circ}C$-9 and 15 L after 20 days. Testosteron of male was no difference in $18^{\circ}C$-9 L. In case of 11-KT, control level was $0.39{\pm}0.03$ ng/mL and $18^{\circ}C$-9 L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fter 20 days. But, 15 L was higher than other experimental precinct.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와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간 유도된 잡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an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and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김동준;이윤아;노충환;김동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6
    • /
    • 2006
  •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 및 이들간 잡종의 염색체수는 모두 2n=52로 동일하였으나, 핵형은 서로 상이하여 동자개가 22 metacentrics (M)+22 submetacentric (SM)+8 acrocentric (A) chromosome으로, 대농갱이는 22M+14SM+16A, 그리고 잡종은 22M+18SM+12A로 구성되어 있었다. 잡종은 동자개, 대농갱이 각각의 반수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적혈구 세포 및 핵의 크기, 표면적 및 체적을 측정한 결과 유도된 잡종은 양친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동자개, 대농갱이 및 잡종의 DNA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동자개는 2.06 pg/cell, 대농갱이는 2.09 pg/cell, 동자개와 대농갱이 잡종은 2.08 pg/cell로 나타나, 잡종의 DNA 함량은 양친의 중간값으로 나타났다.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에 노출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혈액적 (Di-2-ethylhexyl Phthalate Induced Haematological Effects i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After Short Term Exposure)

  • 지정훈;금유화;강주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13-318
    • /
    • 2004
  •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는 내분비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in vitro에서 혈구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를 대상으로 DEHP 급성 노출에 따른 혈액학적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어체중 당 300 및 1,000 mg의 DEHP를 복강주사하였다. DEHP (1,000 mg b.w. $^{-1}$에 노출된 동자개는 적혈구수와 혈색소 농도 및 적혈구 용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내 유기성분인 총단백질량, 콜레스테를 수치는 300 및 1,000 mg 주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농도는 1,000 mg 주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무기성분인 칼슘농도와 혈액 삼투압 농도는 1,000 mg DEHP 노출구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동자재 자.치어의 섭식 습성 (Feeding Habits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 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01
  • The larvae of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satiated with the food uptake equivalent to 13% of its body weight and required 2.5, 11 and 15 hrs to digest 50, 90 and 100% of the consumed food. The juveniles were satiated with food equivalent to 0.65% of its body weight and required 9 and 19 hrs to digest 50 and 90% of the consumer. Apparently, daily food intake perceptibly decrease with the larvae grew to juvenile stage. Both larvae (8.3-14.0mm TL) and juvenile (41.1-65.7mm TL) tend to feed frequently than to get satiated once a day and appeared to be nocturnal fee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