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tubule cell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8초

새로운 Platinum(II)Complex ([Pt(II)(cis-dach)(DPPP)].$(NO_3)_2$의 항암효과 및 신독성 (In Vitro Antitumor Activity and Nephrotoxicity of the Novel Platinum(II) Coordination Complex Containing Cis-dach/Diphosphine)

  • 정지창;임성빈;박승준;정주호;고계창;장성구;노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102
    • /
    • 1996
  • 일부 malignant tumor에 Pt-complex의 임상 응용 과정에서 신장독성등의 심한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cisplatin보다 항암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을 감소시킨 새로운 Pt complex의 개발에 역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Pt(II) complex는 carrier ligand로서 1,2-diaminocyclohexane(dach)을 사용하였고, leaving group으로는 diphosphine류인 1,3-bis (diphenylphosphine의 propane(DPPP) 을 도입하였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dinitrate로 만들었다. 새로이 합성한 [Pt(II)(cia-dach)(DPPP)].$(NO_3)_2$ 은 원소 분석, IR 및 $^{13}C-NMR$ 분석 data에 의하여 위의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PC-1은 MTT assay method에 의한 항암활성 연구를 통하여 SKOV-3, OVCAR-3 human ovarian adenocarcinoma cells에서 항암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이 항암효과는 대조 약물로 사용된 cisplatin과 유사하였다. PC-1은 토끼의 신세뇨관 세포와 인체의 신피질 세포를 이용한 cytotoxity 및 thymidine 섭취율과 인체 신피질 조직 배양을 이용한 glucose consumption 실험을 통하여 모두 cisplatin보다 신장독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t(II) complex는 carrier ligand와 leaving group의 선택에 따라 항암활성의 증가와 신독성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보여지며, 이 연구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Pt(II) complex는 앞으로 다각적인 검토를 거쳐 새로운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 of Membrane-Free Stem Cell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LLC-PK1 Cells)

  • 김민정;김지현;박혜숙;김영실;조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03-312
    • /
    • 2019
  • 신장에서 발생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조직을 손상시키고 이는 만성신장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LC-$PK_1$ 신장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LLC-$PK_1$ 세포에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체내 항산화 단백질인 heme-oxygenase-1, thioredoxin reductase 1, 및 NADPH quinine oxidoreductase-1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LLC-$PK_1$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기 위하여 3-morpholinosydnonimine (SIN-1)을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세포가 손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2.5{\mu}g/mL$에서 세포생존율이 58.84%에서 64.43%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은 LLC-$PK_1$ 세포에서 SIN-1으로 유도된 염증 및 세포사멸을 조절하였다. 염증 관련 단백질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cyclooxygenase-2는 무막줄기세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고, 세포사멸과 관련된 B-cell lymphoma-2-associated X protein/B-cell lymphoma-2 비율과 cleaved caspase-3, cleaved-poly (ADP-ribose) polymeras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무막줄기세포출물은 SIN-1을 처리한 LLC-$PK_1$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초대배양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ANG II의 Na+ uptake 촉진효과에 대한 dopamine의 효과 (Effects of dopamine on angiotensin II-induced stimulation of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고현주;박수현;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18-52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dopamine(DA)과 angiotensin II(ANG II)가 $Na^{+}/H^{+}$ 상호운반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있어서 DA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A은 농도의존적으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10^{-6}M$ ; $83.2{\pm}7.2%$, $10^{-3}M$ ; $67.2{\pm}3.8%$ vs. control)(p<0.05). $DA_1$ 작동제(SKF 38393, $10^{-6}M$)는 대조군의 $81.4{\pm}6.7%$ 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나(p < 0.05) $DA_2$ 작동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A_1$ 길항제(SCH 23390, $10^{-6}M$)에 의해 DA의 $Na^+$ uptake 억제효과는 차단되었으나 $DA_2$ 길항제(spiperone, $10^{-6}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DA과 대조적으로 $10^{-11}M$ ANG II는 $AT_1$ 수용체를 통하여 대조군의 $120.7{\pm}4.9%$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촉진하였다. (p < 0.05). DA 및 $10^{-11}M$ ANG II를 병합처리하였을 때 DA은 농도의존적으로 ANG II에 유도된 $Na^+$ uptake 촉진효과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다(p<0.05). 한편 ANG II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촉진작용은 $DA_1$ 또는 $DA_2$ 작동제에 의해 차단되었으나 DA에 의한 차단 효과는 $DA_1$$DA_2$ 길항제를 병합처리하였을 때만 반전되었다. 결론적으로 DA은 $DA_1$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억제하였으나 ANG II에 의한 $Na^+$ uptake 촉진작용의 억제에는 $DA_1$$DA_2$ 수용체 모두가 관여하였다.

  • PDF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대한 norepinephrine 과 angiotensin II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II on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박수현;고현주;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5-53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norepinephrine(NE)과 angiotensin II(ANG II)는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함으로써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관계에 대해선 연구보고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세포를 이용한 $Na^+$ uptake 실험을 통하여 NE이 어떠한 수용체를 통하여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있어서 NE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NE(>$10^{-9}M$)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10^{-9}M$ NE : $27{\pm}4%$ increase vs. Control;p < 0.05). $\alpha$ 길항제(phentolamine, $10^{-10}M$)는 NE($10^{-9}M$)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 (phentolamine+NE : $29{\pm}5%$ inhibition vs. NE ; p〈 0.05), ${\alpha}_1$ (pra-zosin, $10^{-10}M$) 및 ${\alpha}_2$ 길항제(yohimb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beta}$ 길항제(propra-nolol, $10^{-10}M$)도 역시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propranolol+NE : $24{\pm}6%$ inhibition vs. NE ; p< 0.05), ${\beta}_1$(atenolol, $10^{-10}M$) 및 ${\beta}_2$ 길항제(butoxam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 증가작용은 ${\alpha}$(${\alpha}_1$${\alpha}_2$ )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 모두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ANG II($10^{-11}M$) 또는 NE(${\alpha}_1$, ${\alpha}_2$, ${\beta}_1$, ${\beta}_2$ 작동제) 단독처리군의 $Na^+$ uptake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ANG II : $23{\pm}9%$ increase vs. Control; p < 0.05), 병합처리시 상승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lpha}$ 또는 ${\beta}$ 길항제 처리시 NE 및 ANG II에 의해 유도되었던 $Na^+$ uptake 증가는 유의성 있게 차단되었다(phentolamine+NE+ANG II : $25{\pm}3%$ inhibition, propranolol+NE+ANG II : $24{\pm}6%$ inhibition vs. NE+ANG II, respectively ; p〈 0.05). 이 결과들은 $Na^+$ uptake에 있어서 ${\alpha}$(${\alpha}_1$${\alpha}_2$)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와 ANG II의 관련성을 시사해 준다. 결론적으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E은 ${\alpha}_1$, ${\alpha}_2$, ${\beta}_1$${\beta}_2$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증가시켰으며 이들 수용체는 ANG II $Na^+$ uptake 증가작용에 관여하였다.

  • PDF